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까지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까지

인천은 우리 민족의 역사가 동틀 무렵, 이미 한반도 서해안 지역의 중심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강화도를 비롯한 인천지역 곳곳에서 구석기를 사용하던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였고, 이들의 사회적 문화적 유산은 신석기·청동기시대를 거치는 동안 날로 새롭게 축적·확장되어 기원 전 1세기 경에는 ‘미추홀(彌鄒忽)’을 건설하도록 하는 기반을 이루고 있었던 것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2000) 강화 고인돌 유적을 비롯하여 인천 지역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고인돌들은 이를 말하고 있다. 단군(檀君)의 유향(遺香)이 강화도 곳곳에 전하고 있는 것도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겠다.

그러나 한강 중류에서 백제가 세력을 떨치고, 고구려의 평양 천도 이후 이루어진 남진정책으로 인천지역사회는 점차 그 독자적 세력을 잃어 갔다. 이들 두 세력의 신장에 밀려 더 이상 서해안지역의 중심세력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끝내 백제의 평범한 군·현으로, 이어서 고구려의 군·현으로 편입되어 간 것이다. 백제의 지배 하에서 인천지역은 대외교통의 창구가 되었는데, 고구려와는 달리 해상으로 중국과 교통할 수 밖에 없었던 백제가 그 수도를 충청도 공주로 옮길 때까지 100여 년 동안 능허대(凌虛臺 : 연수구 옥련동)를 항구로 하여 중국과의 교통을 취한 것이었다.

이후 대동강과 원산만을 연결하는 지역까지 그 영토를 넓힌 신라는 중국과의 해상교통의 거점을 당항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인천지역에는 군진[軍鎭 : 혈구진(穴口鎭)]을 설치하여 외침의 방어와 함께 해상교통의 안전을 기하는 군사기지로 삼았다. 인천지역사회가 이번에는 군사적 요충지로 부상되는 변화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