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다양성과 활력이 공존하는 인천, 2024 지역통계 결과 발표

-외국인 인구 전년 대비 10.8% 증가 … 외국인 친화, 글로벌 도시 인천 입증-

담당부서
정책기획관 / 심재훈 (032-440-2302)
제공일시
2025-01-03
조회수
3889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2024 인천광역시 지역통계(다문화·외국인가구통계, 노인등록통계)’ 결과를 인천시 누리집을 통해 공표했다고 3일 밝혔다.
* 인천데이터포털(https://data.incheon.go.kr> 통계정보 > 통계간행물 콘텐츠에 게재
* 다문화 인구 : 귀화의 방법(혼인, 특별, 일반 등)으로 국적을 취득한 자
* 외국인 인구 : 대한민국의 국민이 아닌 자로 외국의 국적만을 가지고 있는 자

이번 통계는 외국인과 다문화 가구, 노인 등록 현황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인천시의 인구 구성과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2023년 기준 인천시 외국인 인구는 122,050명으로, 전년 대비 10.8%(11,849명)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44.9%, 남성이 55.1%를 차지했으며, 국적별로는 한국계 중국인이 39,559명(32.4%)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인 12,987명(10.6%), 베트남인 9,898명(8.1%)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체류자격은 재외동포가 33,311명(27.3%)으로 가장 많았고, 영주 14,650명(12.0%), 비전문취업 14,062명(11.5%) 순이었다.

외국인 취업자는 총 55,022명으로 고용률은 62.6%를 기록했으며, 실업자는 4,301명으로 실업률은 4.9%로 나타났다. 외국인 인구는 연수구 26,129명(21.4%), 부평구 25,629명( 21.0%), 서구 20,142명(16.5%) 순으로 높았으며, 연령구간별로는 30대가 34,488명(28.3%)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20대 21,733명(17.8%), 40대 21,048명(17.2%)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인구는 85,029명으로, 전년 대비 5.5%(4,442명)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52.4%, 남성이 47.6%를 차지했으며, 다문화 가구는 총 30,406가구로 전년 대비 6.1%(1,749가구) 증가했다. 인천시 전체 혼인 건수 중 다문화 혼인은 1,080건으로, 이는 전체의 9.8%에 해당하며 전년 대비 22.8%(193건) 증가했다.

다문화 임금근로자의 27.7%(9,080명)는 제조업에 종사하며, 이어 건설업(17.8%, 5,850명)과 도소매업(11.0%, 3,608명)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2,927가구(47.9%)였으며, 무주택 가구는 14,065가구(52.1%)로 조사됐다. 다문화 개인이 소유한 주택 수는 총 16,200호였다.

국제결혼 가정의 초등학생은 5,164명(65.3%), 중학생은 1,812명(22.9%), 고등학생은 935명(11.8%)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다문화 아동은 1,184명으로 전년 대비 5.9%(74명)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서구가 243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평구 232명, 남동구 185명 순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인 등록 인구는 495,272명으로, 이는 2019년 대비 30.9%(116,942명), 전년 대비 7.3%(33,676명)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는 여성이 55.6%, 남성이 44.4%를 차지했다. 시도별 노인인구 비중은 전남(25.4%), 경북(23.8%), 전북 및 강원(23.4%)에 이어 인천이 16.4%로 다섯 번째로 낮았다.


노인가구 중 1인 가구는 전체의 36.5%를 차지했다. 군․구별로는 남동구(19,189가구), 부평구(18,437가구), 미추홀구(17,197가구) 순으로 많았으며, 1인 가구 비율은 옹진군(42.8%), 중구(40.4%), 동구(40.2%) 순으로 높았다.

2023년 하반기 노인 취업자는 18만 9천8백 명으로 고용률은 38.5%였으며, 실업자는 1천4백 명으로 실업률은 0.7%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하반기 고용률(34.5%) 대비 4.0% 증가한 수치다.

천준호 시 기획조정실장은 “외국인 인구가 전년 대비 10.8%, 다문화 인구가 5.5% 증가한 것은 인천시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특히 노인 1인 가구가 전체 노인 가구의 36.5%에 달하는 점을 고려해 세심한 정책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첨부파일
참고2. 노인등록통계 주요현황.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참고1. 다문화 외국인가구통계 주요현황.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2) (14시) 다양성과 활력이 공존하는 인천, 2024 지역통계 결과 발표.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