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IFEZ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탄력 받는다”
-총 5,218억원 투자…인천 신항 배후단지에 내년 상반기 착공·2024년 완공-
○ 인천을 수도권 냉동·냉장 물류의 핵심 지역으로 도약하게 할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특히 이 사업은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로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송도국제도시 바이오클러스터와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 된다.
○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현재 인천 신항배후단지 1-1구역에 추진 중인 국내 최대 규모의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 사업의 인허가와 관련해 최근 경관 및 교통 심의를 거쳤으며 건축 관련 인허가 등의 절차가 마무리되면 내년 상반기 착공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기업인 EMP벨스타를 비롯해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초저온 등으로 구성된 벨스타슈퍼프리즈컨소시엄은 내년부터 오는 2024년까지 3년간 총 5,218억 원을 투자, 인천 신항배후단지에 초저온 복합물류센터를 건립하고 연간 약 29만 톤의 냉동·냉장 화물을 처리할 계획이다.
○ 이에 앞서 인천경제청은 이원재 청장이 지난 2019년 12월 미국 뉴욕의 EMP벨스타를 방문, 투자유치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이 사업의 추진과 관련해 인천항만공사와 긴밀히 협력해왔다. 지난 9월말에는 밀레니엄 힐튼 서울에서 인천항만공사와 사업 추진계약을 체결한 벨스타슈퍼프리즈 컨소시엄이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을 본격화한 바 있다.
○ 벨스타슈퍼프리즈 컨소시엄은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 기간 동안 연간 일평균 약 220여 명, 운영기간 일평균 약 500여 명의 신규 일자리가 각각 창출되고, 생산유발효과는 유통, 가공, 해상운송 및 컨테이너 운송과 통관사 등에 대한 직접 효과가 약 1,000억 원에 달하며 ‘콜드체인(Cold Chain : 저온 유통체계, 냉동·냉장에 의한 신선한 식료품 등의 유통방식)’ 물류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또 초저온 복합물류센터가 건립되면 타 지역에 비해 부족한 인천 지역의 냉동·냉장 센터의 인프라 확충에 크게 기여, 인천이 수도권 냉동 냉장 물류의 주요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실제로 벨스타슈퍼프리즈 컨소시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경상도 지역이 전국 대비 45%에 달하는 358개의 충분한 냉동 냉장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인천은 비교적 적은 27개의 냉동 냉장 시설 업체가 위치하고 –75℃ 초저온 급속 동결 및 냉동 냉장 시설 규모도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와 함께 지난 2018년 기준 부산광역시가 동결 능력 측면에서 전국 기준 약 33%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인천은 약 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은 송도가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로 도약하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 의약품이 –75℃~-40℃의 초저온 보관시설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크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바이오 연관 기업들과의 시너지 형성이 기대되고 있다.
○ 벨스타슈퍼프리즈 컨소시엄 관계자는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 이후 2차 사업으로 인천신항 콜드체인 클러스터 입주 회사들을 위한 LNG 냉열 공급사업자 역할뿐만 아니라 추가 콜드체인 인프라 확장을 검토하는 등 앞으로 인천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사업을 향후 중국 및 동남아 지역을 겨냥한 아시아 콜드체인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원재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은 “컨소시엄과 인천항만공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신항 배후단지에 처음으로 건립되는 초저온 복합물류센터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현재 인천 신항배후단지 1-1구역에 추진 중인 국내 최대 규모의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 사업의 인허가와 관련해 최근 경관 및 교통 심의를 거쳤으며 건축 관련 인허가 등의 절차가 마무리되면 내년 상반기 착공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기업인 EMP벨스타를 비롯해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초저온 등으로 구성된 벨스타슈퍼프리즈컨소시엄은 내년부터 오는 2024년까지 3년간 총 5,218억 원을 투자, 인천 신항배후단지에 초저온 복합물류센터를 건립하고 연간 약 29만 톤의 냉동·냉장 화물을 처리할 계획이다.
○ 이에 앞서 인천경제청은 이원재 청장이 지난 2019년 12월 미국 뉴욕의 EMP벨스타를 방문, 투자유치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이 사업의 추진과 관련해 인천항만공사와 긴밀히 협력해왔다. 지난 9월말에는 밀레니엄 힐튼 서울에서 인천항만공사와 사업 추진계약을 체결한 벨스타슈퍼프리즈 컨소시엄이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을 본격화한 바 있다.
○ 벨스타슈퍼프리즈 컨소시엄은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 기간 동안 연간 일평균 약 220여 명, 운영기간 일평균 약 500여 명의 신규 일자리가 각각 창출되고, 생산유발효과는 유통, 가공, 해상운송 및 컨테이너 운송과 통관사 등에 대한 직접 효과가 약 1,000억 원에 달하며 ‘콜드체인(Cold Chain : 저온 유통체계, 냉동·냉장에 의한 신선한 식료품 등의 유통방식)’ 물류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또 초저온 복합물류센터가 건립되면 타 지역에 비해 부족한 인천 지역의 냉동·냉장 센터의 인프라 확충에 크게 기여, 인천이 수도권 냉동 냉장 물류의 주요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실제로 벨스타슈퍼프리즈 컨소시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경상도 지역이 전국 대비 45%에 달하는 358개의 충분한 냉동 냉장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데 반해 인천은 비교적 적은 27개의 냉동 냉장 시설 업체가 위치하고 –75℃ 초저온 급속 동결 및 냉동 냉장 시설 규모도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와 함께 지난 2018년 기준 부산광역시가 동결 능력 측면에서 전국 기준 약 33%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인천은 약 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은 송도가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로 도약하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 의약품이 –75℃~-40℃의 초저온 보관시설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크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바이오 연관 기업들과의 시너지 형성이 기대되고 있다.
○ 벨스타슈퍼프리즈 컨소시엄 관계자는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건립 이후 2차 사업으로 인천신항 콜드체인 클러스터 입주 회사들을 위한 LNG 냉열 공급사업자 역할뿐만 아니라 추가 콜드체인 인프라 확장을 검토하는 등 앞으로 인천 초저온 복합물류센터 사업을 향후 중국 및 동남아 지역을 겨냥한 아시아 콜드체인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원재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은 “컨소시엄과 인천항만공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신항 배후단지에 처음으로 건립되는 초저온 복합물류센터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