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지방정부 최초 XR메타버스에 인천의 비전을 수놓다
--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 마스터플랜 본격 추진 --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의 비전과 목표를 정의하고 10개 참여기관의 기술요소인 D-CPND(Data-Content·Platform·Network· Device)에 대한 분야별 융합기술 발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자리다.
인천시는 이를 위해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의 마스터플랜 수립 ▲디자인싱킹 기반의 리빙랩 운영 ▲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 사업 관리(PMO) 등의 과제를 수행한다.
우선 ‘시민체험 행정플랫폼’으로의 기본 계획과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현실세계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의 대 시민 서비스 실증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30명 이상의 시민참여단이 주도적으로 서비스를 발굴·기획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디자인 싱킹* 기반의 리빙 랩을 운영한다.
*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 : 사용자 중심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기술적 실현가능성, 지속가능성에 기반해 해결점을 찾아내는 혁신 프로세스
지방정부 최초로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참여 기업의 이해를 높이고 XR메타버스 구축사업 촉진을 위한 정책·기술 자문단도 구성, 운영한다.
XR메타버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책․기술 자문단은 XR메타버스의 기술요소인 D+CPND 기술의 융·복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기업간의 업무조율과 의사결정을 돕는다. 인천이음프로젝트 마스터플래너(MP)로는 김태형 단국대 교수가 위촉됐다.
안영규 행정부시장은“이번 XR메타버스 마스터플랜사업을 통해 메타버스 분야의 새로운 가치와 비전을 제시하고 가상융합기술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로드맵과 함께 기존의 시간․사람․공간에 대한 상식을 뛰어넘는 공공혁신 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전략을 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XR메타버스 인천이음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디지털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5G콘텐츠 플래그십 프로젝트’공모사업으로 지난 5월 인천광역시 컨소시엄이 선정되면서 지방정부 최초로 XR메타버스 구축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인천시는 XR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해 내년 말까지 국비 80억 원, 시비 26.3억 원, 민간 32.4억 원으로 총 138.7억 원을 투자하며, 2023년에는 수행 평가 결과에 따라 국비를 추가로 지원받게 된다.
◇ 확장현실(XR) 메타버스 : 현실세계와 동일한 크기의 디지털 가상공간 구축, 가상공간에 축척된 정보를 XR기술을 활용해 현실세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광·쇼핑·편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온-오프라인 결합 확장현실 플랫폼 * XR(확장현실, eXtended Reality)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아우르는 혼합현실(MR)을 망라한 기술 * 메타버스 :‘초월, 가상’을 의미하는 'Meta(메타)’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유니버스)’의 합성어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