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쌍둥이 가상도시가 화재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킨다
-- 디지털 트윈국토 지자체 시범사업 공모 선정, 총 14억 투입 --
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화재대응 현장지휘체계 마련을 위해 2022년 7월까지 총 14억 원(국비 7억 원, 시비 7억 원)을 투자하게 된다.
시는 이미 2013년 전국 최초로 GIS플랫폼을 도입·운영하고 있으며, 그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9년에는 3차원 디지털 가상도시를 구축해 인천에 최적화된 디지털 트윈 행정을 추진하고 있다.
소방분야에서는 2021년 디지털 트윈 확장 및 GIS데이터댐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공단소방서와 함께 ‘출동차량 현장배치 서비스’를 구현해 사용하고 있으며, 인천소방본부와 긴밀히 협업해 소방관의 요구를 파악해 기존 2차원 서비스를 사용자 친화형 플랫폼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이번 디지털 트윈국토 시범사업을 통해 ▲출동차량의 위치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현장상황에 맞게 본부에서 직관적으로 지휘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반 플랫폼 구축 ▲지휘본부에서 디지털 트윈 기반 3차원 가상도시의 실내외 위험물정보 등을 입체적으로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플랫폼 구현 ▲화재대응 출동차량이 빠르게 현장에 도착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 확인 및 현장(교통)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네트워크 데이터 구축 및 내비게이션 웹서비스 구현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인천시는 점차 대형화되고 복합화 되어가는 화재 발생 시 시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구현된 디지털 트윈 기술은 민간 기업에 제공하고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보안사항 제외)는 개방․공유함으로써, 디지털뉴딜의 핵심인 디지털 트윈 기술의 발전과 소방분야에서의 고부가가치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지영 시 스마트도시담당관은 “우리시는 이미 GIS플랫폼 기반의 디지털트윈 행정 대전환을 통해 다양한 행정 분야에서 정교하게 계획된 인천의 미래를 그리고 있다”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더 안전한 인천’이 되도록 소방본부와 함께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