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시, ‘송유관 및 유류저장시설’ 전면 실태 조사 나서

-- 8.16일~9월말까지, 송유관 15개소(저유시설 유류이송), 유류저장시설 613개소 --

담당부서
생활환경과 / 한창삼 (032-440-3542)
제공일시
2021-08-11
조회수
615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8월 16일부터 9월말까지 인천지역 전체 송유관 및 유류저장시설에 대한 관리 실태를 전면적으로 조사한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4월과 6월에 인천공항 내 송유관 급유시설 및 덕적도 도우항에서 유류가 유출되어 토양오염이 반복 발생됨에 따른 조치다.

 

인천공항은 TPH가 2,941㎎/㎏(기준2,000), 도우항은 TPH(총석유계탄화수소)가 21,628㎎/㎏(기준 2,000)으로 환경부가 정한 토양 오염우려 기준을 초과함에 따라 현재 군‧구의 정밀조사명령, 정화명령 처분에 따른 정밀조사와 오염토양 정화가 진행 중에 있다.



송유관, 유류저장시설로 인한 토양오염은 조기발견이 어렵고 유류유출시 토양오염을 비롯해 지하수오염, 해양오염 등 오염 범위가 넓어 환경복구 책임 및 비용 추산이 어려워 무엇보다 사전예방이 중요하다.

 

인천시가 수립한 “송유관 및 유류저장시설 관리실태 조사계획”에 따르면 인천지역 내 설치되어 있는 송유관은 총 15개소(저유시설 유류이송)이며 유류저장시설은 613개소이다. 이중 도서지역에 설치된 유류저장시설은 51개소로 옹진군 46개소, 강화 5개소(삼산, 서도, 교동만 포함)이다.

 

이번 관리실태조사에서는 토양환경전문가를 포함해 시․군․구 합동으로 송유관 및 도서지역 유류저장시설에 대해 점검을 실시하고, 기타 유류저장시설에 대해서는 경제청, 군․구에서 해당기간 중 자체적으로 점검을 실시할 계획으로,

 

지하매설 저장시설 누출측정기기 설치 여부, 토양오염도 및 누출검사 실시여부 등을 확인하고 옥내 외 저장시설 부식방지를 위한 도장 등 토양오염 방지시설에 대한 관리개선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유훈수 시 환경국장은 “이번 송유관 및 유류저장시설 관리 실태를 통해 개선대책을 강구함으로써 토양오염을 사전에 철저히 차단하고 송유관시설의 노후화에 따른 부식산화 관리, 누출감지, 토양오염 시 확산방지 대책 등 문제점 발굴 및 제도개선 등으로 토양오염 재발방지에 철저를 기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1)3 인천시 송유관 및 유류저장시설 전면 실태조사 나서.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1)3 인천시 송유관 및 유류저장시설 전면 실태조사 나서.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