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건축자산 보전․활용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
-- 건축자산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생각을 시민·전문가들과 공유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29일 오후 중구 아트플랫폼에서‘개항장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주제로 건축자산 보전·활용을 위한 시민·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건축자산’이란 문화재가 아니더라도 현재와 미래의 사회·경제·경관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거나 지역의 정체성을 가진 건축물, 공간환경, 기반시설을 의미한다.
인천시는 지난 2018년 5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인천시 건축자산 기초조사를 완료했고 그 결과 중구 옛 우체국, 아트플랫폼, 북성포구, 화수부두 등 총 492개의 건축자산을 목록화 했다.
인천시는 기초조사의 후속 조치로 건축자산을 어떻게 보전하고 활용할 것인가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올해 1월부터 건축자산 보전방안과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절차에 착수했다.
이번에 개최된 간담회는 건축자산과 산업유산의 가치와 보전의 중요성에 대해 개항장 및 원도심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건축자산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생각을 시민·전문가들과 공유했다.
간담회‘라운드테이블’은 개항장의 어제와 오늘, 사람들에게 공간을 잇는 길의 의미, 인천 산업유산의 의미를 주제로 6월 29일부터 8월 3일까지 총 5회에 걸쳐 진행된다. 본 행사는 건축자산에 관심 있는 전문가와 시민 총 60명이 그룹별로 나누어 건축자산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직접 돌아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민참여소통 프로그램이다.
건축자산 보전방안과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시민 참여프로그램은 ▲ 시민의견 설문조사 ▲분야별 전문가 집중인터뷰와 함께 입체적으로 진행될 예정으로 건축자산에 대한 시민참여 체계와 기반을 만들어 갈 예정이다.
심재정 시 건축계획과장은 “건축자산 보전과 관리계획 수립 추진을 위해 4명의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총괄계획가(황순우 건축사사무소 바인)와 함께 건축자산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을 공유하여 인천시의 소중한 건축자산이 보전‧활용되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건축자산’이란 문화재가 아니더라도 현재와 미래의 사회·경제·경관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거나 지역의 정체성을 가진 건축물, 공간환경, 기반시설을 의미한다.
인천시는 지난 2018년 5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인천시 건축자산 기초조사를 완료했고 그 결과 중구 옛 우체국, 아트플랫폼, 북성포구, 화수부두 등 총 492개의 건축자산을 목록화 했다.
인천시는 기초조사의 후속 조치로 건축자산을 어떻게 보전하고 활용할 것인가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올해 1월부터 건축자산 보전방안과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절차에 착수했다.
이번에 개최된 간담회는 건축자산과 산업유산의 가치와 보전의 중요성에 대해 개항장 및 원도심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건축자산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생각을 시민·전문가들과 공유했다.
간담회‘라운드테이블’은 개항장의 어제와 오늘, 사람들에게 공간을 잇는 길의 의미, 인천 산업유산의 의미를 주제로 6월 29일부터 8월 3일까지 총 5회에 걸쳐 진행된다. 본 행사는 건축자산에 관심 있는 전문가와 시민 총 60명이 그룹별로 나누어 건축자산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직접 돌아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민참여소통 프로그램이다.
건축자산 보전방안과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시민 참여프로그램은 ▲ 시민의견 설문조사 ▲분야별 전문가 집중인터뷰와 함께 입체적으로 진행될 예정으로 건축자산에 대한 시민참여 체계와 기반을 만들어 갈 예정이다.
심재정 시 건축계획과장은 “건축자산 보전과 관리계획 수립 추진을 위해 4명의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총괄계획가(황순우 건축사사무소 바인)와 함께 건축자산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을 공유하여 인천시의 소중한 건축자산이 보전‧활용되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