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시, 일본뇌염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 ’올해 첫 발견

--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 시기 작년대비 약 2개월 빨라--

담당부서
매개체감염병과 / 조아름 (032-440-5445)
제공일시
2021-06-09
조회수
753

인천시, 일본뇌염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 ’올해 첫 발견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지난 6월 2일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오성산 인근에서 올해 처음 발견됐다고 밝혔다.

 

올해 인천의 작은빨간집모기 첫 발견은 지난해 8월 18일에 비해 약 2개월가량 빠른 것으로 채집된 모기의 플라비바이러스* 병원체 보유 조사를 실시한 결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아 감염병 전파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 플라비바이러스 : 플라비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대부분 모기 등의 곤충을 매개로 전파돼 사람에 병원성을 나타내며 일본뇌염, 황열, 뎅기열, 지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가 대표적이다.

 

질병관리청에서는 지난 3월 22일 제주도 지역에서 작은빨간집모기를 처음 확인함에 따라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으며, 매년 기후변화 등으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첫 출현 시기가 빨라지고 있어 시민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질병관리청 감염병 포털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인천에서 일본뇌염 환자 발생은 없었고, 전국적으로는 ’19년에 34명이던 환자 발생수가 ’20년에는 7명으로 전년대비 감소했다.

 

권문주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올해 일본뇌염매개모기 첫 발견 시기가 빨라져 매개모기의 활동시기가 늘어남에 따라 감염 위험성이 높으므로, 야외 활동 및 가정 내에서도 모기예방수칙을 준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미지파일
noname13.png 미리보기 다운로드
첨부파일
(1)13 인천시 일본뇌염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 올해 첫 발견.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1)13 인천시 일본뇌염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 올해 첫 발견.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