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바이오 뉴딜 통해‘바이오클러스터 조성’속도
--‘K-바이오 랩센트럴’유치 및 성공적 구축을 위한 논의 --
○ 인천형 바이오 뉴딜은 ‘세계적 롤모델로 인정받는 인천 특화형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총 26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며, 2025년까지 2.9조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3.8만개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부사업목록 → 붙임1>
□ 이번 회의에서는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유치, 송도 세브란스병원 기공 등 그간 바이오 뉴딜 사업의 핵심성과를 공유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세부내용 → 붙임2>
□ 특히 인천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의 완성을 위해서는 ‘K-바이오 랩 센트럴 구축사업’유치가 관건이라는데 참석자 모두 입을 모았다.
○ 바이오 랩 센트럴은 바이오 관련 실험공간, 공용장비, 네트워킹 등을 제공하여 스타트업, 벤처기업 등을 육성하는 사업으로, 올해 상반
기 중 정부(중소벤처기업부)의 공모가 있을 계획이다.
○ 참석자들은 인천은 이미 단일도시에서 기술개발·임상·생산까지 모두 가능한 국내 유일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와 스타트업 파크를 통해 바이오 관련 전문 인력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인천이 랩 센트럴의 실질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최적지임에 공감하였다.
□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바이오 뉴딜의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 가천대학교 최철수 교수는 인천이 가지고 있는 바이오 관련 장비, 기술, 연구자, 의료인력 등의 인프라를 관련 기관, 기업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바이오 맵 구축이 필요하며,
- 더 나아가 인천의 바이오 의료 분야 교수진이 함께 관련 전문가를 육성하는 바이오분야 융합대학원 설립도 검토해 나가자고 주장했다.
○ 연세대학교 한균희 교수는 이미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를 위한 교수진을 7명 선발하였고 올해 하반기에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임을 밝히며,
- 바이오클러스터의 기술혁신을 위해서는 바이오 관련 인적·물적 자원을 데이터화하여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셀트리온 이혁재 전무는 이미 인천이 기존 대기업 생산 중심에서 중소기업 연구·개발 중심의 바이오 생태계 조성의 모범사례가 되고 있으며, 관내 기관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바이오 앵커기업으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고 클러스터를 선도하는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안영규 행정부시장은 “바이오 산업은 인천의 미래먹거리 발굴을 위한 핵심 산업”이라면서,
○ “앞으로 인천이 글로벌 바이오 시장을 선도하는 롤모델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할 것이며, 바이오 랩 센트럴 유치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