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2020년 공공부문 온실가스 55.4% 감축
-- 환경부 2020년 감축목표(30%) 초과 달성 및 6년 연속 광역단체 중 1위 기대 --
* 2007~2009년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
○ 이는 전년 감축률 51.1% 대비 4.3% 추가 감축한 수치이며 환경부에서 지정한 기준배출량의 30%(10,090톤)를 줄인다는 감축 목표치보다 8,558톤을 더 감축한 결과로 기후변화 대응 선도도시로서 공공기관이 솔선수범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한 성과이다.
○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근거로 2011년에 도입되어 환경부 등 4개 부처*가 중앙정부·지자체 등 7개 유형 782개 기관**에 대해 매년 기준배출량 대비 연차별 감축 목표에 대한 이행실적을 점검하는 제도이다.
* 환경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 중앙행정기관(45), 지자체(243), 시·도 교육청(17), 공공기관(290), 지방공사·공단(140), 국·공립대학(36), 국립대학병원 및 치과병원(11)
○ 인천시는 시 본청, 직속기관 및 사업소 등 총 43개소를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연속 전국 243개 지자체 중 1위를 달성하여 온실가스 감축 우수기관으로 선정됐으며, 2018년, 2019년에는 2년 연속 전국 지자체 중 2위 및 광역단체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또한 연간 10,000톤 이상의 온실가스 배출기관 중 감축률 상위기관으로 꼽혔다. 이어 올해에도 6년 연속 광역단체 중 1위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 인천시의 주요 감축 수단으로는 조명 소등 및 냉·난방 온도준수, 청사 내 1회용품 반입금지, 직원 차량 2부제 실시 등의 행태개선으로 11,922톤을 감축했고 신재생 발전설비 설치, 고효율 LED 조명기기 교체 등의 시설개선 및 탄소포인트제*를 통한 실천적 노력으로 6,726톤을 추가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가정‧상가 등에서 전기‧상수도‧도시가스 등의 온실가스 감축실적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부여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천프로그램으로 에너지 절감분을 온실가스 감축량으로 환산하여 적용
○ 또한 지난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민·관 기후변화 대응 워킹그룹 운영, 탈석탄 동맹(Powering Past Coal Alliance, PPCA) 가입, 시·8개구 합동 탈석탄 금고 선언 등을 추진하여 탈석탄 의지를 표명하며 기후행동에 동참한 바 있다.
○ 한편 인천시는 2020년 12월에 발표한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인‘17년 배출량 대비 24.4% 감축목표 수치보다 더 감축한“제3차 인천광역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올해 3월 중 수립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과 더불어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 송현애 인천시 환경기후정책과장은 “인천시는 공공부문의 솔선수범을 통해 타 부문에서도 감축 분위기를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2050 인천광역시 탄소중립 전략 용역을 수립하여 중·장기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고 보다 체계적인 이행성과 관리를 통해 2050 탄소중립(Net-Zero) 실현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