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디지털 재난사고 예방 시스템 구축’본격 시동
-- 행안부 공모사업 선정(국비 10억 확보), AI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최근 행정안전부가 주관한디지털기반 노후·위험시설 안전점검 시스템 구축”공모에 최종 선정되어 국비 10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 이번 사업은 증가하는 노후·위험시설에 대응하여 안전도시를 구현하고자 스마트 기술 기반의 원격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고, 국가안전대진단 및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사업과 연계하여 시설물 안전관리업무에 적극 활용하여 시민에게 안전한 도시생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디지털기반 노후·위험시설 안전점검 시스템 구축사업’은 인천의 노후·위험시설(건축물, 교량, 육교, 지하도 등)에 붕괴 등의 사고위험 정도를 사전에 측정할 수 있는 IoT센서(진동, 온도, 갈라짐, 기울기 등)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계측 값 수집·분석·예측·학습하는 AI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으로 시민체감 스마트도시 인프라 구축과 시민안전 관리에 중점을 두고 2021년 4월부터 12월에 걸쳐 1단계 사업을 추진하게 되며, 2025년까지 단계별로 진행한다.
- 1단계 사업은 인천시가 기 구축한 4개 플랫폼 ▲인천시 재난안전상황시스템, ▲인천시 GIS통합 플랫폼, ▲인천시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안전점검 및 시설물 통합관리 플랫폼인 디지털 기술을 안전관리에 접목하여 위험요인 사전 인지 등 재난사고 예방과 안전관리 업무 효율화를 도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올해는 우선적으로 인천시 전체 10개 군·구를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운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인천시 전체에 산재된 노후·위험시설물 ▲국가안전대진단 점검 대상, ▲헬프미 점검 대상, ▲재난위험시설, ▲제3종 시설물 중 집중관리대상, ▲학교시설, ▲항만시설, ▲기타 공공시설물 중 노후·위험도가 높은 대상에 20억 원(국비 10, 시비 10) 사업비로 130여 개소 시설물에 650개 IoT센서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모니터링을 할 예정이다.
- 또한, 인천시는 스마트한 도시로서 거듭나고자 2025년까지 노후도가 시급한 시설물 500여 개소에 IoT센서 설치 사업을 연차별로 추진할 예정이다.
○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인천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으로 도시의 물리적 지속가능성과 도시회복력 강화의 제도적 기반을 갖출 것이며, 2020년 1월 15일 국내 최초 UN에서 인정한 안전한 스마트도시 분야의 UNDRR 롤모델도시 인증으로 K-안전 선도 국제도시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UNDRR 롤모델도시란? ○ UNDRR(UN재난위험경감사무국)은 각국 도시의 재난위험경감 역량을 높이기 위해 2010년부터 “기후변화와 재난에 강한 도시 만들기(MCR : Making Cities Reseilient)” 캠페인을 추진 중이며, 회원도시 가운데 재난위험경감과 복원력에서 모범이 되는 도시를 롤모델도시로 인증 ▪ 2021년 1월 현재 전 세계 4,360개 도시(한국 175개 도시) MCR 캠페인 가입, 32개국 57개 도시 롤모델도시 인증(한국 인천, 울산, 서울) |
○ 이상범 인천시 시민안전본부장은“항만, 공항, 운하, 등을 보유한 인천시는 대한민국 인적, 물적 이동의 관문으로서 시설물의 물리적 취약성 관리에 AI기반 인천형 디지털뉴딜을 적극 추진하여 안전하고 스마트한 도시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