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올해 회복과 도약 목표로‘소상공인 종합지원 강화’
-- 인천시 소상공인 서민금융복지 지원센터,‘소상공인의 사회안전망’역할 톡톡 --
○ 시는 소상공인 및 금융소외계층 등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고 소상공인의 체계적인 육성·지원을 위하여 지난 2018년 4월 인천시 소상공인 서민금융복지 지원센터(센터장 엄기종, 이하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 2018년 지원센터 개설 이후, 소상공인 생애를 진입기·성장기·퇴로기로 구분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사업을 추진하여 소상공인의 자생력을 키우고 서민 경제 안정 및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하여 힘쓰고 있으며,
▣ 지난해에는 사상 유래 없는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에 처한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지역의 허브로써, 2020년 한 해 동안 총 27개 소상공인 지원 사업을 실시하였다.
○ 주요 성과로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경영컨설팅, 경영환경개선사업, 바우처사업 등으로 673개 업체 및 19개 상인회에 맞춤형 지원을 실시했으며 ▲특히 코로나19 관련 착한 임대료 확산 운동으로 90개 업체가 임대료 인하·동결 등의 혜택을 받는 등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경영과 상권을 회복하는데 주력하였다.
○ 시는 또 ▲코로나19로 과중한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금융소외자를 위한 채무상담 2,690건과 463명 769억원의 채무감면을 지원했으며 ▲불공정거래·상가임대차 피해와 관련된 849건의 상담과 43건의 법률적 구제지원을 완료하였다.
○ 특히 ▲2020년부터는 중앙과의 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시행하는 총사업비 30억원 규모의‘소공인 집적지구 지정 및 공동기반시설 구축’공모사업에 선정되어 도시형 소공인의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공모사업 선정에 따라 시는 올해 동구 송현동·송림동 일대에 소공인 공동기반시설을 구축해, 소공인의 조직화와 협업화를 유도하고 지역제조업의 토대인 소공인 육성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 2021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오프라인 소비 감소와 비대면 경제 확대 등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밀착 컨설팅과 맞춤형 집중지원을 실시하여 창업 및 재창업 성공률을 제고하고, 폐업으로 인한 손실 최소화 및 신속한 재기지원 등을 위한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 주요 사업으로는 ▲대학과 협업해 민간·공공·대학과 연계한 특화 상품 개발, 사업방식 개선, 마케팅 등 연간 120명의 소상공인 전문경영인을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신설하고 ▲소상공인의 경영과 상권을 회복하는 소상공인 역량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 또한 ▲소상공인의 지적재산권 분야의 권리 보호 및 경영안정을 위해 특허청과 지원센터의 사업을 연계하여 지식재산 컨설팅 및 상표출원 등 지원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 이와 더불어 ▲소상공인의 폐업 부담 경감과 신속한 재기를 위해 세무·법률 자문 확대 및 ▲소상공인의 효과적인 채무조정을 비롯한 채무문제의 사전 예방 및 수요자중심 지원체계 확립을 위하여 금융소외계층 경제적 재기지원 및 사전예방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 김석철 시 소상공인정책과장은 “올해 인천시는 소상공인을 ‘회복과 도약’의 주역으로 만들고, 지역경제에 다시금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소상공인의 의견과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현장·소통 중심의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