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시,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대응 강화

-- 드론 활용, 축사지붕 등 소독 사각지대 바이러스 제거 --

담당부서
농축산유통과 / 이윤미 (032-440-4394)
제공일시
2021-02-09
조회수
735

인천시,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대응 강화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최근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고, 고병원성 AI가 심각했던 ‘16~‘17년 동절기와 비교했을 때도 검출건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야외 바이러스의 농장 유입을 막기 위해 농장 중심 차단방역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동절기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검출(1월 4주차까지) : ‘16/’17년 46건, ‘20/’21년 142건

 

○ 고병원성 AI는 지난해 10월 천안 봉강천 야생조류에서 처음 검출된 이후 가금농장에서 88건(8개 시‧도, 43개 시‧군), 야생조류에서 163건이 발생(‘21.2.8. 0시 기준)했으며, 인천은 지난해 12월 27일 중구 영종도 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데 이어, 최근(2.5.) 남동구 승기천의 흼뺨검둥오리 폐사체에서 H5 항원이 검출되어 고병원성 여부를 검사 중이다.

 

○ 인천시는 공동방제단 운영, 거점소독시설 및 축산시설 소독 지원, 예찰검사 및 방역수칙 이행실태 점검 등 선제적 방역조치로 현재까지 농장 발생은 한 건도 없으나, 야생조류에서 AI 항원이 검출됨에 따라 농장 밖은 바이러스 오염지역으로 보고 농장 단위 차단방역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 우선 지난 주말(2.6.~2.7.) 실시했던 가금농장 내 바이러스 없애기 캠페인을 2월말까지 연장하고, 설 명절 전 위험요인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알 생산 가금농장 16개소(산란계 9, 종계장 3, 메추리 4)에 대해 2월 10일까지 일제검사를 실시한다.

 

○ 특히 축산시설이 밀집한 강화군은 사람과 차량의 이동이 많아지는 명절 전후로 2회에 거쳐 드론을 이용한 무인항공방제를 지원한다. 3천수 이상 전업규모 가금농가 34개소를 대상으로 철새 분변에 오염되기 쉬운 축사 지붕과 방역차량 진입이 어려운 사각지대에 드론을 이용해 소독약을 살포함으로써 농장 주변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와 함께 시는 지난 해 10월부터 AI 방역대책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고, 3천수 이상 가금사육농가와 단톡방을 운영해 매일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방역수칙 전파, 일시이동중지명령 등 발생상황 정보를 공유해 왔다.

 

○ 또한 보건환경연구원 및 군·구에서 보유한 광역방제기 및 소독방제차량(11대)을 활용하여 관내 야생조류 출현지, 도계장, 가금농가, 농가 주변 소하천 및 저수지, 농장 진입로, 도축장 등을 집중 소독하고, 방역시설이 취약한 소규모 농가에 대해서는 축협 공동방제단(6개반)을 투입해 빈틈없는 소독을 지원하고 있다.

 

○ 이동기 시 농축산유통과장은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 항원이 검출되고 있어, 약간의 빈틈이 농장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가금농장은 외부 사람·차량의 출입을 최대한 금지하고, 동별 전용 장화 갈아신기, 생석회 벨트 구축, 매일 청소·소독 등 차단방역에 최선을 다해 주시고, 일반 시민도 철새서식지에서의 낚시나 산책을 자제하여 AI 확산 예방에 적극 동참해 주실 것”을 당부했다.
 
이미지파일
noname08.png 미리보기 다운로드
첨부파일
(4)3 인천시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대응 강화.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4)3 인천시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대응 강화.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인천시 가금농장 드론방역 사진.zi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