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시, 소통협력분야 주요사업 인지도·필요도‘상승’

담당부서
시민정책담당관 / 조영희 (032-440-2183)
제공일시
2020-12-30
조회수
617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지난 10일부터 3일간 만 19세 이상 인천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통협력분야 주요 추진사업’시민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인천시의 ‘전반적인 시정운영 평가’에 대해서는 35%가 긍정적으로 평가(부정평가 20.1%)함으로써 19년 1차 결과(31.2%)보다 증가했으나‘19년 2차 결과(39.4%)보다는 4.4%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시행시기에 조사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시민들의 피로감 등에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조사기관은 추정했다.

- 긍정평가 사유로는 ‘시민과의 소통을 위한 노력(24.3%)’, 교통망 확충 및 정비, 도시균형발전 추진(22.6%), 시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 추진(20.8%) 순이었고,

- 부정적 평가한 사유로는 ‘지역경제 침체 및 일자리 정책 미흡(27.8%)’을 가장 많이 꼽았다.

 

○ 또한 소통협력분야 주요 추진사업 중 대표적 온·오프라인 소통정책인 온라인 시민청원, 인천 시민시장 대토론회, 인천형 공론화위원회의 인지도 및 필요도에 대해서는 각각 평균 50.0%와 72.4점으로 19년 상하반기 조사결과에 비해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각 정책별로 보면 인지도는 ▲시민청원(52.4%) ▲인천 시민시장 대토론회(51.7%) ▲인천형 공론화위원회(46.0%) 순이고,

- 필요도는 ▲시민청원(73.8점) ▲인천 시민시장 대토론회(73.3점) ▲인천형 공론화위원회(70.0점) 순이었다.

- 다만, 인지도에 비해 필요도가 높게 나타나 시민들의 정책 수요에 따라 소통협력분야 정책을 유지할 필요는 있으나, 정책을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는 홍보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인지도: 19년 1차 40.8% → 19년 2차 49.2% → 20년 50.0%

* 필요도: 19년 1차 69.6점 → 19년 2차 70.2점 → 20년 72.4점

 

○ 인천시는 이번 시민만족도 조사 결과, 市가 시민들과 소통하려는 노력으로 소통협력분야 주요 추진사업들의 인지도와 필요도가 함께 향상되고 있는 만큼 조사결과를 면밀히 검토하여 시민들이 보다 만족하고 공감하는 시민정책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이종우 인천시 시민정책담당관은 이번 ‘소통협력분야 주요 추진사업’ 시민만족도 조사는 “민선7기 2년간 추진해 온 소통협력분야 주요정책에 대해 점검할 수 있는 유익한 조사였다”며 “그동안 추진해 왔던 정책들을 꼼꼼히 살펴 시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는 소통협력정책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만족도조사는 온라인 및 전화를 통해 만 19세 이상 인천시민 1,032명을 조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 조사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인천은 소통e가득’ 홈페이지 참조(소통현장→시민참여)








붙임   조사설계

 
































조사 대상 ▪ 인천광역시 거주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표본 크기 ▪ 1,000명

- 1,032명 조사 후 1,000명으로 가중값을 부여하였음

- 30표본 미만인 구군(동구/강화군/옹진군)에 표본 추가 배분
표본 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 3.1% Point
조사 방법 ▪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조사와 전화조사 병행

- 온라인 조사 대 전화조사 비율 = 4 : 6


  •  


▪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

(셀가중, 2020년 09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 기준)
조사 기간 ▪ 2020년 12월 10일 19:00~21:00

▪ 2020년 12월 11일 10:00~21:00

▪ 2020년 12월 12일 10:00~18:00
조사 기관 ▪ ㈜글로벌리서치


 
첨부파일
(1)2 인천시 소통협력분야 주요사업 인지도 필요도 상승.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