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시, 지역 정체성 담은 건축자산 활용방안 찾는다

담당부서
건축계획과 / 서원형 (032-440-4733)
제공일시
2020-12-30
조회수
1020
○ 인천 전역에 분포한 건축자산과 중구 개항장 근대건축물, 동구 만석동 일원의 산업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계획이 수립된다.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지역 정체성을 담은 산업유산·근대건축물 등 건축자산을 체계적으로 보전ㆍ관리하기 위한 「건축자산 보전방안과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용역」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 건축자산은 문화재가 아니더라도 현재와 미래의 사회·경제·경관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거나 지역의 정체성을 가진 건축물, 공간환경, 기반시설을 의미한다.

 

○ 금번 용역은 건축자산을 중심으로 지역 고유의 공간환경을 종합적으로 조성·관리하는 계획으로써, 2021년 1월 착수하여 2022년 7월 완료할 계획이다.

 

○ 용역은 ▲건축자산에 대한 점·선·면적 관리 방안 수립(우수건축자산 지정 및 관리방안, 도시재생사업과의 연계방안, 도시정비사업구역내 건축자산 활용, 보전방안 등) ▲지역활성화 방안 ▲건축자산 상세조사(기록화) ▲전문가와 시민참여 소통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체계적 보전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

 

○ 이에 용역에는 앞서 2019년에 시행한 건축자산 기초조사 용역에서 도출한 492개의 건축자산에 대한 구체적인 보전방향과 이를 도시재생과 연결시킨 점·선·면 단위의 관리계획이 포함된다.

 

○ 또한 중구와 동구에 대한‘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을 검토한다. 이와 관련해, 산업시설의 기능전환과 이전에 따른 유휴공간 활용방안과 도시계획 및 문화지구의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앵커시설 구축 등 산업유산을 활용한 활성화 계획 수립과 건축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한 재생거점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건축자산·도시재생·문화예술·관광산업을 접목하여 입체적이고 통합적인 계획을 주요 내용으로 담게 된다.

 

○ 심재정 시 건축계획과장은 “점·선·면 관리 방안을 마련해 보존 가치가 있는 건축자산과 산업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는 용역”이라며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이 개발에서 보전ㆍ관리 및 재생으로 변화하는 만큼 건축자산을 활용하여 도시의 정체성과 매력을 증진시키고 오래된 장소의 색다름을 즐기는 새로운 트렌드 확산에 부응하여 건축자산을 ‘낡고 불편한 존재’에서 ‘경쟁력 있는 자산’으로 보전·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붙임> 용역 개요 및 공간적 범위








붙임   건축자산 보전방안과 진흥구역 지정·관리 계획 수립 용역

 

추진 배경

 개항장 인근지역 등 인천시 전역에 분포한 건축자산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임의로 철거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보전 방안 수립과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용역 개요

 (용역기간) 2021. 1. ~ 2022. 7. (착수일로부터 18개월)

 (사 업 비) 1,220,000천원

 (사업내용)

-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

- 도시재생사업과의 연계 방안 및 지역 활성화 방안

- 건축자산 상세조사 및 점·선·면적 관리방안 수립

ㆍ우수건축자산 지정 및 관리방안

- 인문적 조사를 병행한 전문가에 의한 상세조사(기록화) 실시

- 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한 참여소통 프로그램 운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5a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50pixel, 세로 305pixel 사업추진 일정

 

공간적 범위

 건축자산 보전방안 수립: 인천광역시 전역(건축자산 492개소)

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지역
















구분 중·동구 개항장 산업유산 지역
위 치 중구 북성동 및 동구 만석동 일원
면적(㎡) 약1,824,000㎡
위 치 도 개체 연결선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첨부파일
(1)4 인천시 지역 정체성 담은 건축자산 활용방안 찾는다.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