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 흥륜사, 문체부‘전통사찰 지정’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민효영 (032-440-4028)
제공일시
2020-12-23
조회수
1573

인천 흥륜사, 문체부‘전통사찰 지정’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연수구 청량산에 소재한 대한불교 관음종 ‘흥륜사(興輪寺, 주지 법륜)’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전통사찰’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 전통사찰은 사찰들 중 역사적으로 시대적 특색을 뚜렷하게 지니고 있거나 한국 고유의 불교 ‧ 문화 ‧ 예술 및 건축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유산으로서 의의를 가진 사찰을 말한다.

 

○ 이번 흥륜사의 전통사찰 지정으로 인천시는 총 9개의 전통사찰을 보유하게 됐다. 인천에서는 1996년 전통사찰 지정에 이어 26년 만에 전통사찰로 지정되어 의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 ‘흥륜사’의 역사는 고려시대 기와편 출토와 문헌상 기록 등에 근거하여 고려 우왕2년(1376년) 나옹화상이 창건한 ‘청량사’로 거슬러 올라간다.

 

○ ‘청량사’는 210년간 전해져 내려오다 1597년 정유재란으로 소실, 1927년 하진명 스님이 절을 재창건하여 ‘인명사’로 이어지다가 1966년 현재의 법륜스님이 절을 크게 중건하면서 ‘흥륜사’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 흥륜사에는 청량사 절터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기와를 비롯하여 조선 전기의 부도와 근대기에 조성된 미륵불 입상, 석등, 편액, 주련 등 시대적 흐름이 반영된 많은 역사적 유물이 현존하고 있어 인천 불교문화 연구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이를 인정받았다.

 

○ 서상호 시 문화예술과장은 “인천불교의 역사 ‧ 문화적 상징성을 널리 알리고, 나아가 뛰어난 경관과 인천국제공항과의 접근성을 자랑하는 이곳 사찰이 국내‧외 관광객에게 한국 불교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보존‧계승해 가겠다”고 전했다.

 

<붙임> 인천시 전통사찰 현황

 
 
이미지파일
흥륜사의 낙조-(출처 흥륜사 누리집).jpg 미리보기 다운로드
첨부파일
(3)3-1 인천 흥륜사 전경사진(흥륜사 누리집).zip 미리보기 다운로드
(3)3 인천시 흥륜사 문체부 전통사찰 지정.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