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장기미집행공원 48개소... 공원조성 본격 시동 2024년까지 완료
○ 인천시가 공원으로 결정된 지 20년이 경과할 때까지 미조성 상태로 있던 48개 공원을‘내 집 앞 푸른 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공원 조성 착수를 위한 시동을 걸었다. 2024년까지 조성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19일 장기미집행공원 중 하나인‘무주골공원’에서 지역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원 조성을 위한 기공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공원조성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 문학산 동측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무주골공원은 1944년 최초 공원으로 결정된 후 방치되어오다 개발행위특례사업 대상공원으로 선정되어 민간에서 총 477억 원을 투입, 장미 100만 송이를 주제로 특성화시키는 공원으로서 2022년까지 사업을 완료하여 장미향이 가득한 정원을 시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 이날 기공식에는 박남춘 시장, 임동주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 김희철 시의원, 김국환 시의원, 김준식 시의원, 서정호 시의원, 고남석 연수구청장, 김성해 연수구의회 의장, 손경해 연수구 통장연합회 회장, 윤미경 장기미집행공원 민관협의회 대표 등이 참석했다.
○ 지난해부터 시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온 장기미집행공원 실효방지 사업은 공원으로 결정된 지 20년이 경과할 때까지 미조성 상태로 관리되고 있던 무주골공원을 포함한 48개 공원 6.18㎢중 국공유지 9개소를 제외한 39개 공원을 대상으로 민간투자 1,956억원을 포함하여 총 7,597억을 투입, 2024년까지 조성을 완료하는 사업이다.
○ 이를 위해 시에서는 지난 6월말까지 실시계획인가 등 행정절차 이행 완료를 통해 실효를 방지한 후 이날 기공식을 시작으로 시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장기미집행공원 전체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과 공원 조성에 착수할 예정이며, 특히 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변 시민들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등 행사를 통해 시민참여를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 박남춘 시장은“장기미집행공원 조성으로 내후년이 되면 시민 1인당 공원 조성 면적이 12.9 제곱미터로 늘어나면서 세종을 제외한 7개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넓어지고 친환경 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인천의 위상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그동안 잘 준비해 온 만큼 잘 마무리해서 모든 시민께‘내 집 앞 푸른 공원’을 안겨 드리는 날까지 더욱 꼼꼼히 살피고 챙기겠다.“고 말했다.
○ 한편 시는 장기미집행공원이 획일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공원으로 조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재특화와 공간특화로 구분해 공원에 다양성과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계획이다.
식재특화는 화이트모던가든, 레드가든, 옐로우가든 등 색체정원과 한계절정원, 겨울정원등 계절정원, 그리고 윈드가든, 허브가든, 암석원으로 구성되는 오감정원을 35개 공원 주요 부분에 적용하고,
공간특화계획으로는 도시농업공원, 장미공원, 실버친화공원, 반려동물공원, 미세먼지숲, 치유의 숲, 논습지, 생태공원 등의 주제를 부여하여 각 공원별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도록 할 방침이다.
<붙임> 장기미집행공원 실시계획인가 현황 및 특화계획
※ 관련 사진은 14시 행사종료 후 인천시 홈페이지‘인천시 인터넷방송’(http://tv.incheon.go.kr/)
‘포토인천’에 게시될 예정입니다.
○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19일 장기미집행공원 중 하나인‘무주골공원’에서 지역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원 조성을 위한 기공식을 개최하고 본격적인 공원조성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 문학산 동측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무주골공원은 1944년 최초 공원으로 결정된 후 방치되어오다 개발행위특례사업 대상공원으로 선정되어 민간에서 총 477억 원을 투입, 장미 100만 송이를 주제로 특성화시키는 공원으로서 2022년까지 사업을 완료하여 장미향이 가득한 정원을 시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 이날 기공식에는 박남춘 시장, 임동주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위원장, 김희철 시의원, 김국환 시의원, 김준식 시의원, 서정호 시의원, 고남석 연수구청장, 김성해 연수구의회 의장, 손경해 연수구 통장연합회 회장, 윤미경 장기미집행공원 민관협의회 대표 등이 참석했다.
○ 지난해부터 시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온 장기미집행공원 실효방지 사업은 공원으로 결정된 지 20년이 경과할 때까지 미조성 상태로 관리되고 있던 무주골공원을 포함한 48개 공원 6.18㎢중 국공유지 9개소를 제외한 39개 공원을 대상으로 민간투자 1,956억원을 포함하여 총 7,597억을 투입, 2024년까지 조성을 완료하는 사업이다.
○ 이를 위해 시에서는 지난 6월말까지 실시계획인가 등 행정절차 이행 완료를 통해 실효를 방지한 후 이날 기공식을 시작으로 시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장기미집행공원 전체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과 공원 조성에 착수할 예정이며, 특히 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변 시민들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등 행사를 통해 시민참여를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 대 상 : 공원 48개소 6.18㎢ (재정 + 특례) - 재정 36개소 2.92㎢, 5,641억원[시 3,837억원+군·구 1,245억원+국공유지유예 559억원] - 특례 3(4)개소 0.57㎢ 1,956억원 [연희(중복), 무주골, 검단16호, 송도2] - 국공유지 유예 9개소 2.69㎢[월미,소월미,선학,고잔,실은재,유아,5호,마전,옥련]
|
○ 박남춘 시장은“장기미집행공원 조성으로 내후년이 되면 시민 1인당 공원 조성 면적이 12.9 제곱미터로 늘어나면서 세종을 제외한 7개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넓어지고 친환경 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인천의 위상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그동안 잘 준비해 온 만큼 잘 마무리해서 모든 시민께‘내 집 앞 푸른 공원’을 안겨 드리는 날까지 더욱 꼼꼼히 살피고 챙기겠다.“고 말했다.
○ 한편 시는 장기미집행공원이 획일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공원으로 조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재특화와 공간특화로 구분해 공원에 다양성과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계획이다.
식재특화는 화이트모던가든, 레드가든, 옐로우가든 등 색체정원과 한계절정원, 겨울정원등 계절정원, 그리고 윈드가든, 허브가든, 암석원으로 구성되는 오감정원을 35개 공원 주요 부분에 적용하고,
공간특화계획으로는 도시농업공원, 장미공원, 실버친화공원, 반려동물공원, 미세먼지숲, 치유의 숲, 논습지, 생태공원 등의 주제를 부여하여 각 공원별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도록 할 방침이다.
<붙임> 장기미집행공원 실시계획인가 현황 및 특화계획
※ 관련 사진은 14시 행사종료 후 인천시 홈페이지‘인천시 인터넷방송’(http://tv.incheon.go.kr/)
‘포토인천’에 게시될 예정입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