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위한 국제협력 활동

-9월 8일~15일, ‘제8회 아시아-태평양 지질공원 네트워크 심포지엄’참석-

담당부서
해양환경과 / 한다익 (032-440-7883)
제공일시
2024-09-06
조회수
1324

제10회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총회(’23. 9.)

인천광역시는 2024년 2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국내 후보지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6월에 신청의향서를 제출한 데 이어 11월에는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신청서에는 백령·대청 지질공원의 국제적 가치규명, 인프라 구축, 그리고 지역사회 협력 방안이 포함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는 오는 9월 8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제8회 아시아-태평양 지질공원 네트워크 심포지엄’에 참석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백령·대청 지질공원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홍보하고, 관련 기관과의 미팅을 통해 국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포스터 발표와 소규모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백령·대청 지질공원의 학술적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세계적으로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지역이 지정된다. 2023년 12월 기준으로 전 세계 48개국에서 195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제주, 청송, 한탄강 등 5개 지역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24년에는 인천광역시가 유일한 신청 지역이다.
* 2023년 신청지역 : 경북 동해안, 충북 단양

김을수 시 해양항공국장은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통해 도시 브랜드 향상으로 세계관광명소로 도약하는 한편 주민 등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미지파일
제10회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총회(’23. 9.).png 미리보기 다운로드
첨부파일
(1) 1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위한 국제협력 활동.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