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세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 첨단 클러스터 조성 박차
-- 송도-남동-영종지역을 연결하는 바이오 트라이앵글로 바이오특화단지 유치 준비-
시는 ‘인천시 글로벌 바이오 특화단지 육성계획’을 토대로, 지난 2월 29일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지정공모에 신청했으며, 4월 3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인천시가 발표한 주요 내용은,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남동 지역(바이오 원부자재 및 소부장 육성 거점)과 영종 지역(바이오 글로벌 협력 거점)을 연결하는 바이오-트라이앵글(Bio-Triangle) 특화단지 조성 전략이다.
우선, 송도는 바이오 국가첨단전략기술을 보유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 앵커기업들이 입주하면서 명실상부 바이오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에 소부장 기업, 바이오 벤처기업과 대학‧연구기관들과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해 세포유전자 치료제, 항체약물 복합체 등 첨단 바이오 분야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연구개발(R&D) 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첨단전략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9개 대학· 25개 연구기관의 연구인력과 6개 대형병원의 임상인력을 활용해 2,000명 이상의 전문 산업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한편, 남동산단을 중심으로 스타트업 및 첨단업종 전환을 희망하는 기업의 연구개발부터 상품화까지 전주기를 지원하고, 핵심 원부자재를 국산화해 공급망 자립화에 힘쓸 계획이다.
아울러 영종국제도시는 첨단바이오 연구개발(R&D) 지원 및 혁신기업 유치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기업 활동 및 국내외 기업의 활발한 교류를 위한 비즈니스 센터 건립, 신규 단지 조성을 통한 혁신기업 유치 등의 계획을 수립했다.
그간 인천시는 ‘글로벌 바이오경제 선도국가 도약’이라는 정부 정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도시로 인정받아, K-바이오 랩허브와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선정,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 등의 성과를 내며 양적 성장을 이뤄 왔다.
올해 상반기 중,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는 ▲국가첨단전략기술 보유 여부, ▲선도기업 보유 및 투자 계획, ▲지역별 산업생태계 성숙도, ▲기반시설·전문인력 확보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특화단지를 지정할 예정이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연구개발(R&D), 인력양성, 테스트베드 등 특화단지 내 혁신생태계 조성 지원,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인프라) 구축 지원, 지원사업에 대한 예타 특례 가능, 인허가 신속처리, 기술·인력·금융 등 맞춤형 패키지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유제범 시 미래산업국장은 “인천은 단일 도시 기준 세계 1위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도시로서,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경쟁의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반드시 유치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과 최선의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