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매머드급 세계적인 포럼 열린다…‘월드헬스시티포럼’조직위 공식 출범
-유정복 시장(행사 부문) 중심…유홍림 서울대 총장(보건의료 부문),-
○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올해 말 인천에서 개최 예정인 ‘월드헬스시티 포럼’
(WHCF:World Health City Forum)을 위한 조직위원회가 최근 공식 출범했다고
17일 밝혔다.
○ 오는 11월22일~24일 3일간 송도컨벤시아와 영종도 등에서 개최될 예정인 포럼은 ‘위험의 세계화, 어떻게 세계를 더 안전하게 만들 것인가?(‘Globalization of Risks, How to Make the World Safer?’)를 주제로 개최된다. 보건복지부, 외교부, 인천시,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에서 주최하고 국토교통부, 인천경제청에서 후원한다.
○ 코로나19 팬데믹, 기후 재앙, 고령화 등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보건의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컨센서스를 도출하고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미래 도시와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더 안전하고 건강한 개인과 사회, 도시와 국가를 만들기 위한 해결책 모색과 공유 등이 취지다.
○ 조직위원장에는 △유정복 인천시장(행사 부문), △유홍림 서울대 총장(보건의료 부문), △서승환 연세대 총장(도시 부문),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지속가능성 부문) 등 4명이 맡았다. 조직위원으로는 △김연수 서울대병원장,
△ 김진용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등 3명으로 구성됐다. 김진용 청장이 행사 조직위원으로 인천을 대표해 참석했다.
○ 기조 연설자로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yesus)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앙겔라 메르켈(Angela Merkel) 전 독일 총리와 앤서니 스티븐 파우치(Anthony Stephen Fauci) 전 미국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 등 세계 보건의료 리더가 참석할 예정이다. 각국의 보건의료, 도시 및 기후 변화 전문가들이 모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보건의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글로벌 컨센서스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 최초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시(Ubiquitous smart city)’이자 이번 포럼의 개최지로서 상징성을 띠고 있는 송도국제도시가 ‘월드헬스시티’ 도시 부문을 통해 눈부신 미래 지향적인 도시 인천을 전세계에 알리고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스마트시티 모델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유정복 시장은 “이번 포럼이 의료 선진국으로서 월드 리더쉽(world leadership)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인 만큼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진용 청장은 축사를 통해 “도시와 팬데믹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볼 때 도시의 성장과 한계에 직결되어온 인류의 문제였다”며 “이번 행사가 바이오메디 헬스시티를 지향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이 글로벌바이오허브(GBH)로서의 송도의 위상을
구축하고 세계적인 이슈를 주도해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 그는 또 “안전성, 편의성, 효율성이라는 3대 가치를 실현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에 있어 지속가능한 스마트 헬스시티로 사고의 지평을 연계하고 넓혀가는 것은 의학적으로나 도시공학적으로나 의미가 크다”라고 했다.
(WHCF:World Health City Forum)을 위한 조직위원회가 최근 공식 출범했다고
17일 밝혔다.
○ 오는 11월22일~24일 3일간 송도컨벤시아와 영종도 등에서 개최될 예정인 포럼은 ‘위험의 세계화, 어떻게 세계를 더 안전하게 만들 것인가?(‘Globalization of Risks, How to Make the World Safer?’)를 주제로 개최된다. 보건복지부, 외교부, 인천시,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에서 주최하고 국토교통부, 인천경제청에서 후원한다.
○ 코로나19 팬데믹, 기후 재앙, 고령화 등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보건의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컨센서스를 도출하고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미래 도시와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더 안전하고 건강한 개인과 사회, 도시와 국가를 만들기 위한 해결책 모색과 공유 등이 취지다.
○ 조직위원장에는 △유정복 인천시장(행사 부문), △유홍림 서울대 총장(보건의료 부문), △서승환 연세대 총장(도시 부문),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지속가능성 부문) 등 4명이 맡았다. 조직위원으로는 △김연수 서울대병원장,
△ 김진용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등 3명으로 구성됐다. 김진용 청장이 행사 조직위원으로 인천을 대표해 참석했다.
○ 기조 연설자로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yesus)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앙겔라 메르켈(Angela Merkel) 전 독일 총리와 앤서니 스티븐 파우치(Anthony Stephen Fauci) 전 미국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 등 세계 보건의료 리더가 참석할 예정이다. 각국의 보건의료, 도시 및 기후 변화 전문가들이 모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보건의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글로벌 컨센서스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 최초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도시(Ubiquitous smart city)’이자 이번 포럼의 개최지로서 상징성을 띠고 있는 송도국제도시가 ‘월드헬스시티’ 도시 부문을 통해 눈부신 미래 지향적인 도시 인천을 전세계에 알리고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스마트시티 모델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유정복 시장은 “이번 포럼이 의료 선진국으로서 월드 리더쉽(world leadership)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인 만큼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김진용 청장은 축사를 통해 “도시와 팬데믹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볼 때 도시의 성장과 한계에 직결되어온 인류의 문제였다”며 “이번 행사가 바이오메디 헬스시티를 지향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이 글로벌바이오허브(GBH)로서의 송도의 위상을
구축하고 세계적인 이슈를 주도해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 그는 또 “안전성, 편의성, 효율성이라는 3대 가치를 실현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에 있어 지속가능한 스마트 헬스시티로 사고의 지평을 연계하고 넓혀가는 것은 의학적으로나 도시공학적으로나 의미가 크다”라고 했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