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시, 해외유입 감염병 매개모기 추적관리 강화 나선다

-- 유전자와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해외유입 근거자료 확보 --

담당부서
매개체감염병과 / 이원식 (0324405446)
제공일시
2022-06-08
조회수
490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인천광역시는 모기매개 감염병 해외유입 차단을 위해 2022년 6월부터 5년간 인천국제 공항 및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주변에서 채집되는 흰줄숲모기*와 반점날개집모기**의 유전자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해외유입 매개체 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 흰줄숲모기: 뎅기열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매개모기
** 반점날개집모기: 2019년 을왕산 뎅기열 바이러스 유전자 확인

보건환경연구원은 2009년부터 지속적으로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감시를 실시하고 있으나 항공기를 통한 감염병 매개모기의 해외유입여부 판단을 위한 근거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연구원에서는 모기매개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근거자료 확보를 위해 종의 이동 및 계통분류에 이용되는 유전자 서열분석과 서식환경에 따라 다른 비를 가지는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을 실시한다.

국내모기 분석은 2026년까지 매년 100건 이상을 진행할 예정이고, 2024년부터는 해외서식 모기 확보 및 분석도 병행해, 뎅기열 등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확산 제어를 위한 기반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권문주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국제교류 활성화로 인한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다각적인 대응방안으로 매개체 전파 감염병 유입차단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파일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png 미리보기 다운로드
첨부파일
(1) 4 (보건환경연구원) 인천시 해외유입 감염병 매개모기 추적관리 강화 나선다.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1) 4 (보건환경연구원) 인천시 해외유입 감염병 매개모기 추적관리 강화 나선다.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