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민, 주식정보제공 피해 관련 소비자상담 급증
-- 인천시, 「2021년 인천지역 소비자상담 맞춤형 정보 분석」 발표 --
지난해 인천시민들의 주식리딩방 관련 피해 등 유사투자자문 소비자 상담이 급증했다.
인천광역시가 한국소비자원 인천지원, 인천소비자단체협의회과 함께 발표한 「2021년 인천지역 소비자상담 맞춤형 정보 분석」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인천지역 소비자상담 건수는 총 35,989건으로 나타났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함.
「2021년 인천지역 소비자상담 맞춤형 정보 분석」의 분야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상담건수> 소비자상담 건은 전년 대비 1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인천시 소비자상담은 35,989건*으로 전년(2020년, 40,347건) 대비 10.8%(4,358건) 감소했다. 이는 전국 소비자상담의 약 5.8%를 차지한다.
* 2022년 1월 5일 조회기준이며, 상담 처리기한(30일) 내 수치 변동 가능
전체 35,989건에서 기초자치단체 확인이 가능한 15,833건 중 서구가 3,04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평구(2,879건), 남동구(2,721건), 연수구(2,293건) 등의 순으로 접수됐다.
▲ <상담 다발 품목> 소비자 상담 품목은 ‘유사투자자문’, ‘신유형상품권’, ‘헬스장·휘트니스센터’ 순으로 많았다.
상담 접수 상위 5개 품목으로는 유사투자자문(1,734건)이 가장 많았고, 모바일 할인권 등 신유형상품권(1,384건), 헬스장·휘트니스센터(1,341건), 의류·섬유(1,137건), 이동전화서비스(1,006건) 순이었다.
상담 사유를 살펴보면 유사투자자문 품목에서는 계약 관련 상담이 빈번했고, 신유형상품권 품목은 계약불이행 관련 상담이 주를 이뤘다.
▲ <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 상담 증가율 상위 5개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신유형상품권이 972.9%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기타금융상품(175.5%), 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48.2%), 룸에어컨(35.9%), 자동차보험(23.6%)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 <연령별‧성별 상담 현황> 연령대별 상담현황을 보면, 30대‧40대 소비자는 신유형상품권(548건, 560건)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50대·60대·70대 이상 소비자는 유사투자자문(489건, 249건, 61건) 관련 상담 비중이 높았다.
▲ <판매방법별 상담 현황> 판매방법별로는 일반판매가 16,023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국내온라인거래(10,135건), 전화권유판매(1,761건), 방문판매(1,012건) 등의 순이며, 전년 대비 증감률은 전화권유판매가 52.2%로 가장 높았다.
조인권 시 일자리경제본부장은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연령별 맞춤형 교육, 지역 밀착형 소비자 피해구제를 통해 인천 시민의 소비자 권익 증진에 힘쓸 예정”이라고 말했다.
인천광역시가 한국소비자원 인천지원, 인천소비자단체협의회과 함께 발표한 「2021년 인천지역 소비자상담 맞춤형 정보 분석」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인천지역 소비자상담 건수는 총 35,989건으로 나타났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국번없이 1372)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함.
「2021년 인천지역 소비자상담 맞춤형 정보 분석」의 분야별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상담건수> 소비자상담 건은 전년 대비 1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인천시 소비자상담은 35,989건*으로 전년(2020년, 40,347건) 대비 10.8%(4,358건) 감소했다. 이는 전국 소비자상담의 약 5.8%를 차지한다.
* 2022년 1월 5일 조회기준이며, 상담 처리기한(30일) 내 수치 변동 가능
전체 35,989건에서 기초자치단체 확인이 가능한 15,833건 중 서구가 3,04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평구(2,879건), 남동구(2,721건), 연수구(2,293건) 등의 순으로 접수됐다.
▲ <상담 다발 품목> 소비자 상담 품목은 ‘유사투자자문’, ‘신유형상품권’, ‘헬스장·휘트니스센터’ 순으로 많았다.
상담 접수 상위 5개 품목으로는 유사투자자문(1,734건)이 가장 많았고, 모바일 할인권 등 신유형상품권(1,384건), 헬스장·휘트니스센터(1,341건), 의류·섬유(1,137건), 이동전화서비스(1,006건) 순이었다.
상담 사유를 살펴보면 유사투자자문 품목에서는 계약 관련 상담이 빈번했고, 신유형상품권 품목은 계약불이행 관련 상담이 주를 이뤘다.
▲ <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 상담 증가율 상위 5개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신유형상품권이 972.9%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기타금융상품(175.5%), 모바일정보이용서비스(48.2%), 룸에어컨(35.9%), 자동차보험(23.6%)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 <연령별‧성별 상담 현황> 연령대별 상담현황을 보면, 30대‧40대 소비자는 신유형상품권(548건, 560건) 관련 상담이 가장 많았으며, 50대·60대·70대 이상 소비자는 유사투자자문(489건, 249건, 61건) 관련 상담 비중이 높았다.
▲ <판매방법별 상담 현황> 판매방법별로는 일반판매가 16,023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국내온라인거래(10,135건), 전화권유판매(1,761건), 방문판매(1,012건) 등의 순이며, 전년 대비 증감률은 전화권유판매가 52.2%로 가장 높았다.
조인권 시 일자리경제본부장은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연령별 맞춤형 교육, 지역 밀착형 소비자 피해구제를 통해 인천 시민의 소비자 권익 증진에 힘쓸 예정”이라고 말했다.
- 첨부파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