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시 코로나19 발생 및 대응 상황(‘22. 2. 9.)

담당부서
대변인 / 이인숙 (032-440-3069)
제공일시
2022-02-09
조회수
592
인천시 코로나19 발생 및 대응 상황(’22.2.9.)

 

○ 인천광역시 코로나19 발생 및 대응상황입니다.

 

< 코로나19 발생 현황 >

○ 2월 9일 0시 기준 인천시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0시) 67,849명 대비 3,931명이 증가한 71,780명입니다.

< 최근 10일 간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추이 >



























1.31(월) 2.1(화) 2.2(수) 2.3(목) 2.4(금) 2.5(토) 2.6(일) 2.7(월) 2.8(화) 2.9(수)
1,226 1,381 1,400 1,535 1,783 2,500 2,238 2,376 2,982 3,931

 

○ 신규 확진자 3,931명은 국내 발생 3,912명, 해외 유입 19명입니다.

 

○ 입원환자는 26,914명(전일대비 +3,599명), 누계 퇴원자는 44,522명(전일대비 +330명)입니다.

자가격리자는 9,914명(전일대비 -224명), 재택치료자는 10,777명입니다.

 

○ 사망자 발생 상황입니다.

- 확진자의 접촉에 따른 확진자 2명이 각각 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사망해 누계 사망자는 344명(전일대비 +2)입니다.

 

○ 2월 8일 PCR 검사건수는 총 26,224건(임시 선별검사소 6,033건 포함)입니다.

<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 2월 9일 0시 기준 인천시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은 1차 접종 2,544,951명(86.9%), 2차 접종 2,514,532명(85.9%), 3차 접종 1,626,871명(55.6%)입니다.

 

 

< 전담 병상 및 생활치료센터 현황 >

○ 2월 8일 18시 기준 인천시 감염병 전담 병상은 보유병상 1,733병상 중 562병상(전일대비 +7)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32.4%입니다.

- 중증환자 전담 치료병상은 보유병상 378병상 중 41병상(전일대비 ±0)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10.8%입니다.

- 준중환자 치료병상은 보유병상 501병상 중 234병상(전일대비 +5)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46.7%입니다.

○ 생활치료센터(7개소)는 입소가능인원 1,482명 중 현재 392명(전일대비 -55)이 입소해 있으며, 가동률은 26.5%입니다.

 

 

< 코로나19 재택치료방식 개편 안내 >

○ 2월 7일부터 코로나19 역학조사가 간소화됐으며, 격리관리 방식도 개편됐습니다.

(조사효율) 확진사실 통보 시 자기기입식 확진자조사서 안내, 조사항목 단순화

(격리방식) 자가격리앱 관리 폐지 → 별도 통보없이 7일 후 자동 격리 해제

(격리관리) 동거가족 격리 간소화(접종미완료자 7일 격리, 접종미완료자 7일 수동감시)

병·의원 방문, 의약품·식료품 구매 등 필수목적 2시간 이내 외출 허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318b86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93pixel, 세로 169pixel

○ 재택치료 키트는 집중관리군 환자(60세 이상, 먹는 치료제 대상자 등)에게만 지급됩니다.

- 동거가족 등 비확진자에게는 키트가 제공되지 않으며, 동거가족의 필수 외출이 허용돼 생필품 등을 직접 구매할 수 있습니다.

○ 2월 10일부터 재택치료 전화 모니터링이 집중관리군 중심으로 변경됩니다.

- 집중관리군에게는 1일 2회 유선 모니터링이 실시되며,

- 일반관리군은 스스로 관리하고, 진료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비대면 진료 및 상담센터를 통해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 비대면 약 처방 : 동거가족 수령 원칙, 독거노인 등 수령이 어려운 경우 보건소에서 배송

 

 

< 코로나19 백신 접종 안내 >

○ 코로나19 백신은 병원 등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을 받으시면 됩니다.

&n
첨부파일
(2) 220209 인천시 코로나19 발생 상황(0시 기준).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2) 220209 인천시 코로나19 발생 상황(0시 기준).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