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 관내 서식 야생조류 항생제 내성균 확인

-- 해안주변, 도심공원 등 서식지별 야생조류 분변 조사 --

담당부서
질병조사과 / 김경애 (032-440-7982)
제공일시
2021-12-03
조회수
456

해안가 및 철새도래지

인천광역시는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이 항생제 사용과 무관한 야생조류에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항생제 내성은 세균이 특정 항생제에 저항력을 가지고 생존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사람, 가축, 양식업 등 다양한 분야에 내성균이 발생하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오염된 환경은 야생생활을 하는 동물에게 병원성 및 내성을 전달할 수 있어 공중보건학적으로 중요하다.

 

조사대상은 해안가(철새 도래지 포함)에 서식하고 있는 갈매기, 철새 및 도심공원 비둘기와 구조 야생조류(솔부엉이, 흰뺨검둥오리 등)이며,

 

이들의 배출분변과 직장도말로 선정된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대장균(E. coli),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pneumoniae) 등을 조사했다.

* 대상 항생제

(콜리스틴) 다제내성 병원균 감염의 최종 억제 수단으로 사용되는 항생제 (시프로플록사신) 非인체 영역 WHO 지정 최우선 관리 항생제

(광범위베타람탐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생제

 

이번 조사 결과 ‘최후의 보루’로 알려져 있는 콜리스틴 내성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항생제 사용과 무관한 갈매기, 비둘기 등 다양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내성균이 확인됐다.

 

한편 인천시는 질병관리청 용역과제로 사람, 가축(분뇨)에 대한 항생제 내성균 조사연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이번 야생조류 결과를 구축된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사람, 가축(분뇨)에서 분리된 내성균과 동일한 유전형의 내성균을 야생조류에서 확인했다.

 

권문주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항생제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원헬스(One Health) 차원의 포괄적 관리와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으로, 인천시는 지속적인 항생제 내성균 조사를 통해 시민들이 내성 문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 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미지파일
해안가 및 철새도래지.png 미리보기 다운로드
첨부파일
(1)7 인천 관내 서식 야생조류 항생제 내성균 확인.hwp 미리보기 다운로드
(1)7 인천 관내 서식 야생조류 항생제 내성균 확인.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