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안전한 겨울 보내는 방법
- 담당부서
- 작성일
- 2015-01-14
- 분야
- -
- 조회
- 8311
대설 발생 시 시민행동요령
가. 눈이 많이 내릴 때
○ 설해 대비용 안전 장구(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를 준비합시다.
○ 어린이 및 노약자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30cm이상 눈이 쌓이면 자동차, 대문, 지붕, 비닐하우스 위의 눈을 수시로 치웁시다.
○ 내 집 앞, 내 점포 앞, 우리 동네 골목길은 스스로 치웁시다.
○ 집 주변 빙판 길에는 모래 또는 염화칼슘 등을 뿌려서 미끄럼 사고를 예방합시다.
○ 라디오․텔레비전․인터넷을 통해 기상청 정보를 알아봅시다.
○ 자가용보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합시다.
《대설 주의보, 경보 발령기준》
○ 어린이 및 노약자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30cm이상 눈이 쌓이면 자동차, 대문, 지붕, 비닐하우스 위의 눈을 수시로 치웁시다.
○ 내 집 앞, 내 점포 앞, 우리 동네 골목길은 스스로 치웁시다.
○ 집 주변 빙판 길에는 모래 또는 염화칼슘 등을 뿌려서 미끄럼 사고를 예방합시다.
○ 라디오․텔레비전․인터넷을 통해 기상청 정보를 알아봅시다.
○ 자가용보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합시다.
《대설 주의보, 경보 발령기준》
❖ 대설 주의보 : 24시간 신적설량이 5㎝이상 예상될 때
❖ 대 설 경 보 : 24시간 신적설량이 20㎝이상 예상 될 때, 다만 산지는 30㎝이상 예상될 때
❖ 대 설 경 보 : 24시간 신적설량이 20㎝이상 예상 될 때, 다만 산지는 30㎝이상 예상될 때
나. 대설주의보 또는 경보 발령 시
1) 도시지역
○ 자가용보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합시다.
○ 자가용차량을 이용할 때 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 안전장구와 고립에 대비하여 담요와 양초를 휴대하고 안전하게
운행합시다.
○ 염화칼슘, 모래 등을 준비해둡시다.
○ 등산객이나 관광객은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시다.
○ 오래되거나 약한 주택에서는 이웃, 친지 집으로 대피합시다.
○ 노약자 및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제설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로 주변에 자동차를 세우지 맙시다.
○ 라디오, TV 등을 청취하여 교통통제 및 교통상황에 대해 알아둡시다.
○ 자가용차량을 이용할 때 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 안전장구와 고립에 대비하여 담요와 양초를 휴대하고 안전하게
운행합시다.
○ 염화칼슘, 모래 등을 준비해둡시다.
○ 등산객이나 관광객은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시다.
○ 오래되거나 약한 주택에서는 이웃, 친지 집으로 대피합시다.
○ 노약자 및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제설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로 주변에 자동차를 세우지 맙시다.
○ 라디오, TV 등을 청취하여 교통통제 및 교통상황에 대해 알아둡시다.
2) 농촌지역
○ 자가용차량 이용 시 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의 안전장구를 휴대하고 안전하게 운행합시다.
○ 등산객이나 관광객은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시다.
○ 오래되거나 약한 주택에서는 이웃, 친지 집으로 대피합시다.
○ 노약자 및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비닐하우스 등의 농작물재배시설은 받침대를 보강하거나 비닐을 찢어 재배시설이 무너지는 것을 예방합시다.
○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빈 하우스의 비닐은 걷어냅시다.
○ 눈 녹은 물이 하우스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합시다.
○ 라디오, TV 등을 청취하여 기상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 외딴 집에 살고 있는 주민에게 비상연락을 합시다.
○ 등산객이나 관광객은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시다.
○ 오래되거나 약한 주택에서는 이웃, 친지 집으로 대피합시다.
○ 노약자 및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비닐하우스 등의 농작물재배시설은 받침대를 보강하거나 비닐을 찢어 재배시설이 무너지는 것을 예방합시다.
○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빈 하우스의 비닐은 걷어냅시다.
○ 눈 녹은 물이 하우스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합시다.
○ 라디오, TV 등을 청취하여 기상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 외딴 집에 살고 있는 주민에게 비상연락을 합시다.
3) 해안지역
○ 각종 선박의 적하물을 내리고 단단히 묶어둡시다.
○ 양식시설의 물고기에게 줄 사료를 준비합시다.
○ 염화칼슘, 모래를 준비하고 내 집 앞, 우리 동네의 눈은 스스로 치웁시다.
○ 방파제, 선착장 등에 가까이 가지맙시다.
○ 해안도로 운행은 가급적 자제하시고 체인 등 안전장치를 부착합시다.
○ 오래되거나 약한 주택에서는 이웃이나 친지 집으로 대피합시다.
○ 노약자 및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라디오·TV·인터넷을 통해 기상정보를 잘 알아둡시다.
○ 외딴집에 살고 있는 주민에게 비상연락을 합시다.

○ 양식시설의 물고기에게 줄 사료를 준비합시다.
○ 염화칼슘, 모래를 준비하고 내 집 앞, 우리 동네의 눈은 스스로 치웁시다.
○ 방파제, 선착장 등에 가까이 가지맙시다.
○ 해안도로 운행은 가급적 자제하시고 체인 등 안전장치를 부착합시다.
○ 오래되거나 약한 주택에서는 이웃이나 친지 집으로 대피합시다.
○ 노약자 및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라디오·TV·인터넷을 통해 기상정보를 잘 알아둡시다.
○ 외딴집에 살고 있는 주민에게 비상연락을 합시다.

한파 발생시 국민행동요령
가. 한파 대비단계
○ 손가락, 발가락, 귓바퀴, 코끝 등 신체 말단부위의 감각이 없거나 창백해지는 경우에는 동상을 조심해야 합니다.
○ 심한 한기·피로, 기억상실, 방향감각 상실, 불분명한 발음 등을 느낄 경우에는 저체온증을 의심하고 바로 병원으로
가야합니다.
○ 급작스런 기온 강하 시 심장 및 혈관계통, 호흡기 계통, 신경계통, 피부병 등은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아·노인·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난방에 유의해야 합니다.
○ 혈압이 높거나 심장이 약한 사람은 노출부위의 보온에 유의하고 특히 머리 부분의 보온에 신경 써야 합니다.
○ 외출 후 손발을 씻고 과도한 음주나 무리한 일로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당뇨환자, 만성폐질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 동상에 걸렸을 때는 꼭 죄는 신발이나 옷을 벗고 따뜻하게 해주며 동상부위를 잘 씻고 말려야 합니다.
○ 심한 한기·피로, 기억상실, 방향감각 상실, 불분명한 발음 등을 느낄 경우에는 저체온증을 의심하고 바로 병원으로
가야합니다.
○ 급작스런 기온 강하 시 심장 및 혈관계통, 호흡기 계통, 신경계통, 피부병 등은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아·노인·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난방에 유의해야 합니다.
○ 혈압이 높거나 심장이 약한 사람은 노출부위의 보온에 유의하고 특히 머리 부분의 보온에 신경 써야 합니다.
○ 외출 후 손발을 씻고 과도한 음주나 무리한 일로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당뇨환자, 만성폐질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 동상에 걸렸을 때는 꼭 죄는 신발이나 옷을 벗고 따뜻하게 해주며 동상부위를 잘 씻고 말려야 합니다.
나. 겨울운동에 주의
○ 운동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실시하여 관절의 부상을 방지하여야 합니다.
○ 준비운동은 몸에서 약간 땀이 날 정도가 적당합니다.
○ 운동은 가능한 실내에서 하는 것이 부상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옷을 겹쳐 입되 많이 입지 말아야 합니다.
○ 고혈압 등 만성병 환자는 오후 시간대에 다른 사람들이 있는 실내에서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겨울엔 체온 유지를 위해 10~15%의 에너지가 더 소비되므로 운동강도를 평소의 70~8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 술은 이뇨(利尿)·발한(發汗) 작용으로 체온을 떨어뜨리므로 등산, 스키 등 운동 중에는 술을 마시지 맙시다.
○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습니다.
○ 준비운동은 몸에서 약간 땀이 날 정도가 적당합니다.
○ 운동은 가능한 실내에서 하는 것이 부상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옷을 겹쳐 입되 많이 입지 말아야 합니다.
○ 고혈압 등 만성병 환자는 오후 시간대에 다른 사람들이 있는 실내에서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겨울엔 체온 유지를 위해 10~15%의 에너지가 더 소비되므로 운동강도를 평소의 70~8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 술은 이뇨(利尿)·발한(發汗) 작용으로 체온을 떨어뜨리므로 등산, 스키 등 운동 중에는 술을 마시지 맙시다.
○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습니다.
다. 수도관 및 계량기 관리
○ 수도계량기의 보온을 위해서 보호함 내부는 헌옷으로 채우고 외부에는 테이프를 붙여서 찬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합시다.
○ 복도식 아파트는 수도계량기 동파가 많이 발생하므로 수도계량기 보온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경우에는 수도꼭지를 조금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여야 합니다.
○ 마당 및 화장실 등의 노출된 수도관은 보온재로 감싸서 보온해야합니다.
○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헤어드라이어, 따뜻한 물 등으로 서서히 가열하여 녹여야 합니다.
○ 복도식 아파트는 수도계량기 동파가 많이 발생하므로 수도계량기 보온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장기간 집을 비우게 될 경우에는 수도꼭지를 조금 열어 물이 흐르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여야 합니다.
○ 마당 및 화장실 등의 노출된 수도관은 보온재로 감싸서 보온해야합니다.
○ 수도관이 얼었을 때는 헤어드라이어, 따뜻한 물 등으로 서서히 가열하여 녹여야 합니다.
1. 지금 바로 확인합시다.
- 외관상 수도미터 보호통의 뚜껑부분에 틈새가 있는지
- 보호통 내에 누수가 있거나 지하수 등으로 물이 고여 있는지
- 보호통내에 보온재가 잘 설치되어 있는지
- 다세대, 빌라 등의 경우 건물 입구, 옥상 출입문은 닫혀 있는지
- 공사장, 공원, 옥외화장실 등 외부에 노출된 수도관이 보온재로 덮여 있는지
2. 이렇게 조치합시다.
- 수도미터함 내부 수도관 관통구 등 틈새를 밀폐하여 찬 공기를 막습니다.
- 수도미터 보호통내에 고인 물을 제거 합니다.
- 보온을 위해 젖지 않게 비닐로 감싼 헌옷 등으로 채웁니다.
- 수도미터 보호통의 뚜껑부분은 보온재로 덮고 비닐 카바 등으로 넓게 밀폐 합니다.
- 다세대, 빌라 등의 건물 입구, 옥상 주출입문은 동파예방을 위하여 반드시 닫아 주세요.
3. 이렇게 대처합시다.
- 수도미터가 얼었을 때 헤어드라이기로 서서히 녹이거나 수건으로 수도관을 감고 위에 부터 따뜻한 물로 천천히 녹입니다.
(토치 등으로 직접 불을 대면 파열이나 화재의 위험)
- 수도미터는 뜨거운 열을 가하시면 파손이나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 영하의 날씨가 계속될 때에는 수돗물을 조금씩 흐르게 하여 받아서 사용합니다.
- 수도미터의 파손, 고장이나 공지 상에 설치된 보호통(뚜껑파손 등)이 불량 할 때에는 수도사업소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4. 미추홀 콜센터 032)120 이나 관할 수도사업소에 신고
사업소명 | 관할지역 | 대표전화 | 사업소명 | 관할지역 | 대표전화 |
---|---|---|---|---|---|
중부수도 | 중구, 동구, 남구 | 720-3300 | 북부수도 | 부평구, 계양구 | 720-3600 |
서부수도 | 서구 | 720-3800 | |||
남동부수도 | 연수구, 남동구, 영흥면 | 720-3500 | |||
강화수도 | 강화군 | 720-3900 |
라. 보일러 관리
○ 보일러 밑의 노출된 배관은 헌 옷 등으로 감싸서 보온합니다.
○ 장기간 외출 시에는 보일러를 끄지 말고 동파방지 또는 외출 기능으로 두어야 합니다.
○ 배관이 얼었을 경우에는 따뜻한 물이나 온열기(헤어드라이어 등)를 이용하여 서서히 녹여야 합니다.
○ 장기간 외출 시에는 보일러를 끄지 말고 동파방지 또는 외출 기능으로 두어야 합니다.
○ 배관이 얼었을 경우에는 따뜻한 물이나 온열기(헤어드라이어 등)를 이용하여 서서히 녹여야 합니다.
마. 외출을 할 때
○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 낮에 외출하고 가급적 혼자 움직이지 말아야 합니다.
○ 가족·친지에게 행선지와 시간계획을 미리 알려 둡시다.
○ 되도록 간선도로를 이용하고 지름길이나 이면도로를 피합시다.
○ 만약 자동차에 고립될 경우에는
- 휴대전화 등 가능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조요청을 하고
- 동승자가 있을 경우 서로의 체온으로 추위를 막아야 합니다.
- 차례로 수면을 취하면서 깨어있는 사람은 차량 내 온도와 체온을 유지하고 구조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 야간에는 실내등을 켜서 구조요원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 구조요원이나 항공기에서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색깔 옷을 눈 위에 펼쳐 놓아야 합니다.
○ 낮에 외출하고 가급적 혼자 움직이지 말아야 합니다.
○ 가족·친지에게 행선지와 시간계획을 미리 알려 둡시다.
○ 되도록 간선도로를 이용하고 지름길이나 이면도로를 피합시다.
○ 만약 자동차에 고립될 경우에는
- 휴대전화 등 가능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조요청을 하고
- 동승자가 있을 경우 서로의 체온으로 추위를 막아야 합니다.
- 차례로 수면을 취하면서 깨어있는 사람은 차량 내 온도와 체온을 유지하고 구조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 야간에는 실내등을 켜서 구조요원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 구조요원이나 항공기에서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색깔 옷을 눈 위에 펼쳐 놓아야 합니다.
바. 자동차를 운행할 때
○ 도로의 결빙에 대비하여 스노우체인 등을 준비합시다.
○ 시트를 높이고 앞 유리 성에를 제거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야를 넓혀서 빙판길 등 돌발사태에 대비합시다.
○ 미끄러운 길에서 수동변속기 차량은 2단 기어에 반 클어치를 사용하고 자동변속기 차량은 가속기를 서서히 밝으면서
출발해야 합니다.
○ 앞바퀴를 직진상태로 하고 출발해야 헛도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커브 길에는 미리 속도를 줄이고 커브를 돌면서 기어변속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빙판길에서 멈출 때에는 엔진브레이크(저속엔진+저속기어)로 속도를 충분히 줄인 후 서서히 풋브레이크를 밟아
멈춰야 합니다.
○ 저속 운행, 충분한 차간거리 확보 등 안전운전수칙을 준수합시다.
○ 시트를 높이고 앞 유리 성에를 제거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야를 넓혀서 빙판길 등 돌발사태에 대비합시다.
○ 미끄러운 길에서 수동변속기 차량은 2단 기어에 반 클어치를 사용하고 자동변속기 차량은 가속기를 서서히 밝으면서
출발해야 합니다.
○ 앞바퀴를 직진상태로 하고 출발해야 헛도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커브 길에는 미리 속도를 줄이고 커브를 돌면서 기어변속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빙판길에서 멈출 때에는 엔진브레이크(저속엔진+저속기어)로 속도를 충분히 줄인 후 서서히 풋브레이크를 밟아
멈춰야 합니다.
○ 저속 운행, 충분한 차간거리 확보 등 안전운전수칙을 준수합시다.
사. 농업시설
○ 맥류, 채소류, 과일류 등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보온해야 합니다.
○ 온실의 작물이 동해를 입지 않도록 조치해야 합니다.(난방, 온실커튼·물커튼 축열주머니 설치 등)
○ 온실 출입문은 2중으로 설치하고 북쪽에는 보온벽(방풍벽)을 설치합니다.
○ 온실의 둘레는 단열재를 두르고 위쪽은 보온덮개를 덮어야 합니다.
○ 정전으로 난방시설 가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숯 등을 태우거나 난로를 피워서 난방 해야 합니다.
○ 기온이 급강하할 것에 대비하여 난방·보온재 등을 사전에 철저히 정검·정비합시다.
○ 축사 등은 바람구멍을 막고 보온재와 난방기를 준비합시다.
○ 축사, 하우스 등의 급수시설에 대한 사전 점검과 보온으로 동파를 방지합시다.
○ 한파 관련 기상특보를 수시 청취하고 미리 미리 대비합시다.
○ 온실의 작물이 동해를 입지 않도록 조치해야 합니다.(난방, 온실커튼·물커튼 축열주머니 설치 등)
○ 온실 출입문은 2중으로 설치하고 북쪽에는 보온벽(방풍벽)을 설치합니다.
○ 온실의 둘레는 단열재를 두르고 위쪽은 보온덮개를 덮어야 합니다.
○ 정전으로 난방시설 가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숯 등을 태우거나 난로를 피워서 난방 해야 합니다.
○ 기온이 급강하할 것에 대비하여 난방·보온재 등을 사전에 철저히 정검·정비합시다.
○ 축사 등은 바람구멍을 막고 보온재와 난방기를 준비합시다.
○ 축사, 하우스 등의 급수시설에 대한 사전 점검과 보온으로 동파를 방지합시다.
○ 한파 관련 기상특보를 수시 청취하고 미리 미리 대비합시다.
아. 수산시설
○ 축제식 양식장은 한파가 닥치기 전에 어장 면적의 1%이상을 확보하여 월동장을 설치합시다.
○ 육상양식장은 방풍망 설치 등 보온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 장기 기상예보를 청취하고 한파가 예상될 경우에는 양식어류를 조기출하 하여 피해를 예방해야 합니다.
○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하여 한파가 임박한 경우에는 수위를 높게 하고 어류를 월동장으로 집어하여 동사를 방지하여야
합니다.
○ 어류가 동사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냉동·저장하였다가 판매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 합시다.
○ 육상양식장은 방풍망 설치 등 보온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 장기 기상예보를 청취하고 한파가 예상될 경우에는 양식어류를 조기출하 하여 피해를 예방해야 합니다.
○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하여 한파가 임박한 경우에는 수위를 높게 하고 어류를 월동장으로 집어하여 동사를 방지하여야
합니다.
○ 어류가 동사한 경우에는 신속하게 냉동·저장하였다가 판매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 합시다.
자. 전기시설
○ 전열기나 난방기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에서 용량이 큰 전기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1시간 사용 15분 정지」를 생활화하여 과부하(정전)
를 방지해야 합니다.
○ 인화성 물질이나 가연성물질을 전열기 부근에 두지 않아야 합니다.
○ 하나의 콘센트를 다시 여러 개의 콘센트로 분리시켜, 많은 플러그를 문어발식으로 꽂아 쓰지 말아야 합니다.
○ 전기 고장 시 즉시 전문 업체에 수리를 의뢰하고 개인이 임의로 조작하지 맙시다.
○ 전기 부품은 정품을 사용하고 구리선 등을 퓨즈로 사용하지 맙시다.
○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에서 용량이 큰 전기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1시간 사용 15분 정지」를 생활화하여 과부하(정전)
를 방지해야 합니다.
○ 인화성 물질이나 가연성물질을 전열기 부근에 두지 않아야 합니다.
○ 하나의 콘센트를 다시 여러 개의 콘센트로 분리시켜, 많은 플러그를 문어발식으로 꽂아 쓰지 말아야 합니다.
○ 전기 고장 시 즉시 전문 업체에 수리를 의뢰하고 개인이 임의로 조작하지 맙시다.
○ 전기 부품은 정품을 사용하고 구리선 등을 퓨즈로 사용하지 맙시다.
- 첨부파일
-
- 이전글
- 구제역 백신접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