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개편일(2020. 10. 21.) 이전 자료는 "이전자료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이전자료 보기
108 /
163 페이지(전체
1,627건)
-
인천시, 우리 모두의 푸른 하늘을 위한 실천 약속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7일 시청 애뜰광장에서 ‘제3회 푸른 하늘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푸른 하늘의 날’은 2019년 유엔 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해 지정된 최초의 국제 기념일이다.
- 제공일자
- 2022-09-07
- 제공부서
- 대기보전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전기이륜차 시승체험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7일 시청 애뜰광장에서 친환경 전기이륜차 홍보를 위한 시승‧체험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관심있는 시민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제3회 푸른하늘의 날』기념행사에 맞춰 한국전기이륜형 자동차협회와 함께 시민이 같이 참여하고
- 제공일자
- 2022-09-06
- 제공부서
- 에너지정책과
-
추석연휴 인천에서 즐겨볼까?추석연휴 인천에서 즐겨볼까?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추석 연휴기간 다양한 즐길 거리와 볼거리를 마련해 관광객을 손짓한다. 한가위 정취를 담은 전통춤 공연을 비롯해 민속전통놀이와 전통공예 만들기 체험, 가족과 함께 관람할 수 있는 색깔 있는 전시까지 오감만
- 제공일자
- 2022-09-06
- 제공부서
- 문화유산과
-
이미지 없음아프리카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희망한다면?○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천테크노파크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글로벌 혁신 스타트업의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에 앞장선다. ○ 지난달, 한·아프리카재단의 MOU 체결 후, 처음으로 재단과 손을 맞잡고 아프리카를 비롯한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스타트업을
- 제공일자
- 2022-09-05
- 제공부서
- 스마트시티과
-
이미지 없음이음카드, 지속가능성을 위한 종합적 제도 개편방안 마련235만명이 가입해 사용하고 있는 인천지역화폐(인천이음)에 모바일 간편 결제가 도입되고, 사용 가맹점에 따라 5~17%의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바뀐다. 인천광역시는 9월 5일 유정복 시장이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이음카드의 문제점 개선과 지속가능성 확보 등의
- 제공일자
- 2022-09-05
- 제공부서
- 소상공인정책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아시아 문화교류전 개최로 해외교류의 장 펼쳐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9월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시청 본관 중앙홀에서 「아시아 문화교류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류전은 그동안 코로나19로 위축됐던 해외국가들과의 문화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 제공일자
- 2022-09-05
- 제공부서
- 국제평화협력담당관
-
인천시, 외국인 주민 문화체험으로 지역적응 돕는다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관내 거주 외국인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는 인천외국인종합지원센터에서 오는 10월 강화도와 강원도로 문화체육활동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문화체험행사는 인천시가 지난 5월 행정안전부 외국인주민 문화체육활동 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돼 1천 5
- 제공일자
- 2022-09-02
- 제공부서
- 가족다문화과
-
인천시,‘스마트 인천’널리 홍보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와 인천경제청(이하 IFEZ)은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2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2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이하 WSCE 2022)’에 참가해 인천의 우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와 육성 스타트업의 혁신적인
- 제공일자
- 2022-09-02
- 제공부서
- 스마트도시담당관
-
인천시, 국민 안전교육 우수기관 선정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2년(’21년 실적) 국민 안전교육 실태점검 결과 17개 시·도 중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법」에 따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교육 정책 추진상황의 평가·점검
- 제공일자
- 2022-09-02
- 제공부서
- 안전정책과
-
9월 해양유물은 ‘염전 무자위(수차)’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9월의 해양유물로 선정된‘염전 무자위(수차)’를 소개했다. 무자위는 천일제염을 하던 염전에서 바닷물을 끌어들이는데 사용했던 물건으로, 지역에 따라 ‘무자새’·‘자새’·‘물자새’·‘수리차’·‘수차’ 등으로 불린다. 무자위는 수차(水
- 제공일자
- 2022-09-01
- 제공부서
- 해양항만과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