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개편일(2020. 10. 21.) 이전 자료는 "이전자료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이전자료 보기
16 /
59 페이지(전체
583건)
-
인천에 있는 4개 국가공사, 지난해 485톤 대기오염물질 절감인천광역시는 4월 2일 시청 소통회의실에서 「인천클린공사협의회」 간담회를 개최하고 2023년 환경개선사업 추진실적이 우수한 기관과 유공자에서 표창장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인천클린공사협의회」는 인천시와 인천 소재 국가공사*가 대기환경개선을 위해 체결한 자발
- 제공일자
- 2024-04-02
- 제공부서
- 대기보전과
-
다가오는 여름,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위해 모기 모니터링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모기 매개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모기 활동 시기인 4월부터 10월까지 모기밀도 조사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매년 질병관리청과 함께 매개 모기 조사 감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사 결과는
- 제공일자
- 2024-04-01
- 제공부서
- 매개체감염병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서울 시내버스 파업 대비해 임시열차 5대 투입인천시는 3월 28일(목) 서울 시내버스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해 시민불편 최소화에 만전을 기한다. 인천광역시는 서울 시내버스 파업에 따라 막차시간대를 중심으로 인천지하철 1호선과 2호선, 서울 7호선에 총 임시열차 5대를 투입한다고 밝혔다. 서
- 제공일자
- 2024-03-28
- 제공부서
- 교통정책과
-
인천창업포럼, 대학주도형 창업플랫폼 조성 방안 모색인천광역시는 3월 25일 오라카이 송도파크호텔에서 2024년 인천창업포럼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인천창업포럼은 인천시의 창업생태계를 고도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자는 취지에서 민·관·학·연의 창업
- 제공일자
- 2024-03-25
- 제공부서
- 창업벤처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인구정책 단계적으로 추진해 인구 유입 기대인천시가 인구정책 활성화를 위해 단계적인 인구정책을 추진한다. 인천광역시는 지난해 처음으로 「인천시 인구정책 종합계획(2024~2028)」 마련한 데 이어, 연도별 계획인 「2024년 인천시 인구정책 시행계획」과 「2024년 인천시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 제공일자
- 2024-03-21
- 제공부서
- 인구가족과
-
인천시,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 응급의료협의체 개최인천광역시는 19일 시청 회의실에서 의료계 집단행동 대응 응급의료협의체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응급의료협의체는 시, 인천소방본부, 응급의료기관, 전문병원*으로 구성 운영되고 있다. * 전문병원 : 병원급 의료기관중에서 특정진료 과목이나 특정질환 등에 대 하여
- 제공일자
- 2024-03-19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인천시, 어린이집 종이 회계서류도 이제 온라인으로인천광역시는 올해부터 ‘인천시 어린이집 관리시스템’을 활용해 어린이집 회계서류 디지털화와 온라인 모니터링(점검)을 전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인천시 어린이집 관리시스템’은 인천시가 어린이집 회계 투명성과 시설 운영의 편의를 위해 2020년 7월에 도입한 것으로,
- 제공일자
- 2024-03-19
- 제공부서
- 영유아정책과
-
인천 상수도본부, 소방본부와 상수도 정보 공유해 빠른 진화 돕는다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소방본부와 협력해 화재현장 인근의 상수도 관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화재가 발생하면 소방용수 조달을 위해 소화전을 사용하게 되는데, 장시간 소화전을 사용하면 수도관의 수압이 떨어져 주변의 수용가에서 수돗물이
- 제공일자
- 2024-03-07
- 제공부서
- 급수부
-
인천시, 국토부 드론 실증 사업 3년 연속 선정인천광역시가 지난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올해도 국토교통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 선정됐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은 드론 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서비스 모델을 발굴·지원하는 사업으로 한 해 동안 국비 12
- 제공일자
- 2024-03-04
- 제공부서
- 항공과
-
인천시,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생태도시 첫발 내딛어인천광역시는 겨울을 지내고 다시 찾아오는 저어새 등 여름철새를 위해 오는 3월 1일 남동유수지 내 조성된 저어새 섬에서 둥지를 정비한다고 밝혔다. 저어새는 전 세계 약 6천여 마리 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종(Ⅰ급)이자 천연기념물이다. 대만, 홍콩 등에서 겨울을 나
- 제공일자
- 2024-02-29
- 제공부서
- 환경안전과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최종업데이트 2025-08-2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