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개편일(2020. 10. 21.) 이전 자료는 "이전자료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이전자료 보기
24 /
55 페이지(전체
546건)
-
유정복 시장, 독거노인 세대와 경로당 방문해 폭염대응 점검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연일 호우와 무더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4일 미추홀구 주안동을 방문해 취약계층의 안전을 살피고 폭염 대응상황을 점검했다. 유 시장은 독거노인 세대와 무더위 쉼터로 운영 중인 주안7동 분회경로당을 방문해 어르신들의 애로사항을 듣고 쉼터 현황을 살
- 제공일자
- 2022-08-04
- 제공부서
- 안전정책과
-
인천시, 대이작항 공유수면 매립사업 준공인천광역시는 주차장 조성사업을 위해 옹진군(매립면허취득자)에서 추진한 ‘대이작파일럿부두지구 공유수면 매립사업’을 6월 27일자로 매립 준공 고시했다. 이 사업은 해양수산부 선정 어촌뉴딜 300 중 하나로, 2020년 8월부터 약 1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면적 1
- 제공일자
- 2022-06-27
- 제공부서
- 해양항만과
-
이미지 없음수변산책로·물놀이 시설 확충…솔찬공원 캠핑장·공원 재단장○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바다와 석양이 어우러져 멋진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송도국제도시 소재 솔찬공원 캠핑장·공원 정비 사업을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 이 사업에는 3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며 지난해 8월 착공돼 10개월여만에최근 완공됐다. ○ 캠핑
- 제공일자
- 2022-06-13
- 제공부서
- 환경녹지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시민과 함께 도시문제 해결책 모색인천광역시는 2022년도에 추진할 5개의 스마트도시 리빙랩·실증 사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리빙랩은 시민생활과 연관된 다양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시민과 함께 모색하는 현장 중심의 문제해결 방안으로, 인천시는 다수의 시민들이 공감하는 지역 현안문제를 발굴하고 시민참
- 제공일자
- 2022-06-09
- 제공부서
- 스마트도시담당관
-
이미지 없음농기계 안전사고 철저히 대비하세요인천광역시는 본격적인 봄 작물 수확기를 맞아 경운기, 트랙터 등 농기계 이용이 증가함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5년(2016~2020)동안 전국에 발생한 농기계 사고는 연 평균 1,273건으로 농기계 안전사고로 매년 93명이 사
- 제공일자
- 2022-06-03
- 제공부서
- 농촌자원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디지털물류 실증사업 참여기관 업무협약 체결인천시가 국토교통부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사업’공모에 선정돼, 당일배송 택배서비스를 실증한다. 인천광역시는 26일 시청 접견실에서 인천연구원, 인하대학교(물류전문대학원), ㈜브이투브이와 함께 ‘V2V(Vehicle to Vehicle)* 기반 공유물류망 구축을
- 제공일자
- 2022-05-26
- 제공부서
- 택시물류과
-
인천시, 가족과 함께 어린이 재난대응 체험캠프에서 만나요인천광역시가 시민참여 사회재난 프로그램인 ‘어린이 재난대응 체험캠프’에 참여할 초등학생 또는 동일연령의 어린이를 둔 20가족을 모집한다. 긴급구조지원기관 중 하나인 대한적십자사 인천지사와 공동 주관하는 이번 캠프는 어린이가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일상화된 재난 속
- 제공일자
- 2022-05-24
- 제공부서
- 사회재난과
-
이미지 없음“송도 7공구 첨단산업클러스터단지 4호 근린공원 준공”○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송도국제도시 7공구 내 유일한 미조성 공원인 “첨단산업클러스터단지 4호 근린공원”을 2022년 5월 3일 준공하고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 인천글로벌캠퍼스 인근 송도동 187-6번지 일대 36,436㎡에 총 사업비 45억
- 제공일자
- 2022-05-16
- 제공부서
- 환경녹지과
-
「노후 산단에 새 활력 넣어 줄」 남동산단 재생사업 본궤도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인천광역시는 총 368억 원 규모의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생시행계획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총사업비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남동국가산업단지는 1980년도 수도권 내 이전대상 중소기업의 용지제공을 위해 조성된 산업단지로, 30년 이상
- 제공일자
- 2022-05-11
- 제공부서
- 산업진흥과
-
총괄‧공공건축가, 인천의 랜드마크를 그린다지역의 랜드마크로 대표되는 건축물은 안전과 성능은 물론, 디자인과 품격을 갖춰야하는 만큼 건축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인천시는 공공건축과 도시환경의 수준향상 및 시민중심의 도시공간 창출을 위해 지난 2019년 7월 공공건축가제도를 도입하고, 지난해 4월한종률 총괄
- 제공일자
- 2022-05-10
- 제공부서
- 도시경관건축과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