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개편일(2020. 10. 21.) 이전 자료는 "이전자료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이전자료 보기
3 /
17 페이지(전체
164건)
-
이미지 없음경기 서북부권 최초로 인천에 소아중환자실 개소인천을 포함한 경기 서북부권에 소아중환자실이 최초로 문을 열었다. 인천에 소아중환자실이 생기면서 어린 환자들은 물론 부모들의 부담도 한결 덜 수 있게 됐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2월 2일 인하대병원에서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 소아중환자실 개소식을 개최했다
- 제공일자
- 2024-12-02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책임의료기관 심포지엄, 인천 필수의료 과제 해결 나섰다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1월 26일 오라카이 송도파크 호텔에서 인천 소재 5개 책임의료기관* 및 인천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함께 지역완결형 필수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2024년 인천 책임의료기관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
- 제공일자
- 2024-11-26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인천시, 시민과 함께한 심폐소생술 경연대회성료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응급처치 교육 및 홍보 사업의 일환으로 인천 시민을 대상으로 한 일반인 심폐소생술 경연대회를 11월 16일 길병원 가천홀에서 개최했다. 이번 대회는 일상 속 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하고,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를
- 제공일자
- 2024-11-17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인천시, 재난의료 현장 대응 능력 강화 교육 실시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재난 사고 발생 시 현장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보건소 신속대응반과 소방 구급대원 총 46명을 대상으로 ‘2024년 하반기 재난의료 대응체계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10개 군·
- 제공일자
- 2024-10-27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덕적도에 전하는 건강의 손길…인천시, 무료진료 현장 방문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광역시 중 유일하게 의료취약지로 지정된 강화군과 옹진군 도서지역 주민들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10개 민관의료기관과 협력해 ‘1섬 1주치병원’ 민관협력 도서지역 무료진료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15년에 처음 시작됐으며
- 제공일자
- 2024-10-23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인천시, 중앙아시아 의료관광객 유치 위한 2개국 설명회 개최인천광역시와 인천관광공사(사장 백현)는 15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17일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현지에서 인천 의료관광 단독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인천시가 주최하고 인천관광공사가 주관한 이번 설명회는 인천 의료관광의 특장점과 여건을 홍보하고 잠재적 수요를
- 제공일자
- 2024-10-18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인천시, 마약중독 예방과 치료 위해 유관기관과 협력 강화인천광역시는 지난 16일 ‘2024년 하반기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관계기관 협력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상반기에 이어 각 기관의 마약류 중독 예방 및 치료보호 사업 현황을 공유하고, 마약범죄 예방과 치료·재활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 제공일자
- 2024-10-17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인천시, 서해 최북단 백령도 찾아 의료체계 점검에 나서인천광역시는 10월 7일부터 8일까지 이틀 동안 서해 최북단 백령도를 방문해 의료체계를 점검하고, 백령병원 및 백령보건지소의 의료진과 공중보건의사의 노고를 격려했다. 백령병원은 지난 4월 정형외과 전문의를 채용해 정형외과 진료를 시작했으며, 7월부터는 산부인과 진
- 제공일자
- 2024-10-08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인천시, 치료가능사망률 개선을 위한 토론회 개최인천광역시는 9월 27일 홀리데이인 송도에서 ‘인천광역시 치료가능사망률 개선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인천광역시가 주최하고 인천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이 주관했으며, 인천의 치료가능사망률* 현황을 점검하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 제공일자
- 2024-09-30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이미지 없음(기획) 지역행사에 이동형 자동심장충격기 빌려드려요~인천시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2024년 자동심장충격기 보급 사업에 의미 있는 변화를 시도한다. 자동심장충격기를 사고 발생위험이 높고, 유동 인구가 많은 시설에 설치해 상시(24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지역 축제 등 대규모 인파가 모이는 행사에
- 제공일자
- 2024-09-26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