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개편일(2020. 10. 21.) 이전 자료는 "이전자료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이전자료 보기
33 /
59 페이지(전체
584건)
-
인천시, 아동정책 제안할 아동참여위원 위촉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3일 아동친화도시 조성의 일환으로 운영하고 있는 ‘인천광역시 아동참여위원회’제2기 위원 위촉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인천광역시 아동참여위원회’는 각종 아동정책 사업들의 수혜자인 아
- 제공일자
- 2022-08-15
- 제공부서
- 아동정책과
-
通[통]했다, 인천시 섬 부흥책인천시가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출시한 섬 관광 상품이 매진과 높은 예약률을 기록하며 성황중이다. 인천시가 추진하는 다양한 섬 부흥 정책들이 지난 4월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함께 되살아난 관광수요와 맞물리면서, 코로나로 주춤했던 섬 관광이 활기를 되찾
- 제공일자
- 2022-08-07
- 제공부서
- 섬발전지원과
-
이미지 없음폭염, 노숙인·쪽방촌 주민에 더 위험! 인천시, 취약계층 집중케어 나서기상청은 올 여름 평균 기온은 평년(23.7℃)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노숙인과 쪽방촌 주민은 물론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는 최근 물가상승까지 더해져 삼복더위 중에도 더위를 식히기가 녹록치 않은 실정이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여름철 폭
- 제공일자
- 2022-07-25
- 제공부서
- 복지서비스과
-
인천시, 홀로사는 중장년 5천 가구 인공지능(AI)으로 돌본다인천시가 혼자 사는 중장년 가구에 인공지능(AI)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고 특이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1인가구의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 기술 기반 비대면 인공지능(AI) 케어콜 돌봄서비스를 내달 1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시 관내
- 제공일자
- 2022-07-22
- 제공부서
- 복지서비스과
-
유정복 인천시장,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 공급 위한 현장 행보인천광역시는 유정복 시장이 하절기를 맞아 수돗물 유충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공촌정수장을 방문, 정수장 위생관리 실태 및 운영 상황을 현장 점검했다고 20일 밝혔다. 유 시장은 2년 전 유충 사고가 발생한 공촌정수장의 사고 이후 고도정수처리시설 완공 등 개선된
- 제공일자
- 2022-07-20
- 제공부서
- 수질안전부
-
인천시, 도시하천 생태조사로 건강한 친수공간 조성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 보건환경연구원은 시민 여가공간이며 도심 생태공간인 도시복원하천의 수생태를 평가하는 건강성 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하천 수생태 건강성 조사는 환경지표생물로 널리 이용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저서동물)을 대상으로 해당지역의 수생태계가 제
- 제공일자
- 2022-07-19
- 제공부서
- 환경생태과
-
인천시, 이산화탄소 흡수하는 거머리말 600수 심는다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한국남동발전(주)과 함께 블루카본(Blue Carbon)사업의 일환으로 옹진군 어평도(섬업벌) 인근 해역과 옹진군 선재리 인근 해역에 6일부터 2개월간 거머리말(잘피)과 염생식물(칠면초) 이식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2021년 시와
- 제공일자
- 2022-07-07
- 제공부서
- 수산자원연구소
-
인천시,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위해 대기환경측정망 확충 나선다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계양구 효성동에 대기환경측정소 1개소를 추가로 설치하고 측정 자료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정도관리와 시운전을 거쳐 9월,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인천의 대기환경측정소는 기존 30개소에서 31개소로, 계양구는 1개소에서 2개소로
- 제공일자
- 2022-07-06
- 제공부서
- 환경조사과
-
람사르습지인 송도갯벌에는 10만여 마리 물새가 산다인천광역시는 30일(목) 오후 3시, 송도 G-타워 8층 회의실에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사무국 함께 ‘송도갯벌(람사르습지) 저어새 등 이동성물새 정기조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에는 조사 수행기관인 ‘저어새와
- 제공일자
- 2022-06-30
- 제공부서
- 환경기후정책과
-
인천시, 양계농장 닭진드기 관리로 안전한 계란 생산 중인천광역시는 지난해 인천지역 양계농장을 대상으로 닭진드기에 의한 질병 발생의 위험도 평가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닭진드기는 전 세계적으로 양계농장에 경제적 피해를 주는 외부기생충으로 닭을 흡혈해 빈혈을 유발하고, 계란의 생산성 감소 및 품질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 제공일자
- 2022-06-29
- 제공부서
- 방역관리과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최종업데이트 2025-08-2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