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개편일(2020. 10. 21.) 이전 자료는 "이전자료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이전자료 보기
8 /
18 페이지(전체
176건)
-
인천시, 야외활동 시‘진드기 매개 감염병’주의 당부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 보건환경연구원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며,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진드기에 의해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
- 제공일자
- 2023-09-22
- 제공부서
- 매개체감염병과
-
인천시 보건환경연구원, 역학조사관 전문과정 수료자 배출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 보건환경연구원은 역학조사관 교육훈련 전문과정 수료자를 3명 배출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9월 15일 질병관리청장, 한국 보건복지인재원장 등 약 100여 명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2023년도 역학조사관 교육 수료식’에서 수료증을 받았다.
- 제공일자
- 2023-09-19
- 제공부서
- 신종감염병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생애주기별 감염병에 주의하세요!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인천시 감염병관리지원단(단장 엄중식)이 시민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감염병 정보 제공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감염병관리지원단 홈페이지(www.icdc.incheon.kr)를 새롭게 개편하고, 매일 업데이트된 최신 감염병 정보를 제공 중이라고
- 제공일자
- 2023-09-17
- 제공부서
- 감염병관리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시작…20일, 어린이부터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오는 9월 20일(수)부터 어린이(생후 6개월 이상부터 13세까지)를 시작으로 임신부, 어르신 대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임산부는 10월 5일부터, 75세 이상은 10월 11일, 70세 이상은 1
- 제공일자
- 2023-09-15
- 제공부서
- 감염병관리과
-
이미지 없음일본뇌염 매개 모기, 인천에서 올해 첫 발견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 보건환경연구원은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인근과 중구 을왕산 일대에서 올해 처음 발견됐다고 밝혔다. 올해 인천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발견된 시기는 8월 1
- 제공일자
- 2023-08-15
- 제공부서
- 매개체감염병과
-
인천시, 서구에 말라리아 경보 발령…연수·계양 이어 올해 세 번째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계양구, 연수구에 이어 7월 25일 자로 서구에도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다. 시는 서구에 3명의 말라리아 군집추정사례가 발생해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하고, 해당 지역 거주자와 방문객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군집추정사례란 말라
- 제공일자
- 2023-07-25
- 제공부서
- 감염병관리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계양구·연수구에‘말라리아 경보’발령인천시에 올해 첫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됐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계양구에 군집사례, 연수구에 군집추정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계양구와 연수구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하고, 거주자와 방문객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nb
- 제공일자
- 2023-07-12
- 제공부서
- 감염병관리과
-
인천시, 도서지역 피부과 무료검진 실시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6월 22일 옹진군 영흥도에서 도서지역 무료검진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한센병 환자 관리사업의 일환으로 인천시가 한국한센복지협회 경기·인천지부와 연계해 추진해왔으며, 도서지역 무료 검진은 코로나 19로 2020년 중단 이후
- 제공일자
- 2023-06-22
- 제공부서
- 감염병관리과
-
HIV 감염이 의심된다면, 무료익명검사 받아보세요!인천시가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 의심자의 조속한 진단·검사와 치료를 권장했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지난 5월 22일 중순 옹진군 보건소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무료 익명검사가 재개되면서 인천시 10개 군·구 모두에서 무료 익명검사가 가능해
- 제공일자
- 2023-06-18
- 제공부서
- 감염병관리과
-
부모님 폐렴구균 예방접종, 꼭 챙기세요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부모님의 건강을 위해 “65세 이상 어르신은 가까운 지정의료기관에서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예방접종을 챙겨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2022년 폐렴구균 감염증 발생 신고 339건 중 65세 이상 연령대는 약 60%인
- 제공일자
- 2023-05-25
- 제공부서
- 감염병관리과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