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한국이민사박물관, 한민족 전체 이민 역사를 담는 공간으로 재탄생
-장소 이전 대신 월미도 현 위치에서 증축, 콘텐츠 확충 추진-
2023년 이후 첨예하게 대립해 온 ‘송도 이전’과 ‘월미도 현 위치 유지’ 의견은 지난해 8월부터 추진한 ‘한국이민사박물관 확대 개편 타당성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 위치 증축안을 확정하며 일단락됐다.
용역 결과에 따르면 증축 후 면적은 5,579㎡ 규모로, 기존보다 31% 증가한다. 자료조사 및 수집비 21억 원을 포함한 총사업비는 275억 원, 공사와 리모델링 등 사업 기간은 약 39개월로 추산됐다.
인천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공립박물관 증축을 위한 사전평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행정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박물관은 진출 이민사의 일부만 전시하던 현재의 한계를 넘어, 전 세계 한인 이민사를 망라하는 종합 이민사 박물관으로 확대된다. 특히 재외동포청 인천 개청 이후 강화된 재외동포 환대 정체성도 함께 반영한다.
기본 방향은 ▲전 세계 한인 이민사 콘텐츠가 있는 박물관 ▲관람객이 머물고 싶은 박물관 ▲제물포 르네상스를 통한 방문객 유치 ▲재외동포가 찾는 박물관 등 네 가지로 설정했다.
이번 사업에서는 전 세계 한인 이민사 자료 수집을 우선 추진해 이를 바탕으로 상설 전시실을 구성하고, 누구나 온라인으로 관람할 수 있는 이민사 전자박물관(e-뮤지엄)도 운영한다.
수집과 전시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방문객이 보다 오래 머물며 즐길 수 있는 환경 조성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전시실, 교육실, 강당은 물론 옥상정원과 카페 등 편의 공간을 마련해 체류형 관람 환경을 갖춘다.
또한 개항장, 상상플랫폼, 한국이민사박물관, 월미도를 잇는 ‘이민의 길’을 조성해 제물포 르네상스와 연계하고, ‘제물포르네상스 with 월미도’라는 주제로 다양한 문화행사를 선보인다. 재외동포와 시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교육·행사·전시 프로그램도 운영해 재외동포들이 찾는 교류의 장으로 발전시킨다.
아울러 낮은 접근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교통 대안을 마련하고, 자료 수집과 전시·교육 콘텐츠 강화에도 힘쓸 예정이다.
김상열 시 한국이민사박물관장은 “이번 사업은 한민족의 이민 역사를 온전히 담아내고, 재외동포와 시민이 함께하는 열린 공간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이미지파일
-
첨부된 이미지 파일이 없습니다.
- 첨부파일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