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시, 개항광장 주변 폐선부지 정비 … 시민 접근성·경관 품격 높인다
-- 보안구역 해제·철도 운행중단 지역 환경 정비 … 시민공간으로 전환-
개항광장은 인천 개항의 역사를 품은 원도심 핵심 문화공간으로, 이번 정비는 2022년 6월 운행 중단된 축항선로와 2023년 10월 보안구역 해제 구간의 주변 정비를 통해 안전하고 개방적인 시민 공간으로 다시 돌려준다는 데 목적이 있다. 오랜 기간 방치되면서 경관 훼손과 안전 문제가 지속 제기되던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조치다.
정비 계획의 핵심은 시민들이 개항광장으로 자연스럽게 진입할 수 있는 보행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인천시는 개항광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에 보행로를 개설하고, 그 외 구역에는 보행자 안전을 위하여 보안철책 및 철도휀스를 저층‧개방형 휀스로 정비*해 시각적 경관 개방감을 확보한다.
* 개항광장 진입로 개설(L=12m, B=10m), 기존 철책 정비(개방형 휀스, L=400m, H=1.5m)
또한 철책 정비 구간과 연결되는 인중로 방향 폐선부지에는 기존 보행로와 이어지는 임시보행로를 개설*해 상상플랫폼과 개항광장을 찾는 시민들과 관광객들의 보행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 ‘기존 보도~폐선부지’ 임시보행로 개설(L=277m, B=3m)
인천시는 현재 해당 부지 소유자인 인천항만공사, 철도 관리 주체인 국가철도공단과 정비를 위한 토지 사용과 철책 개선 등 세부 사항에 대해 협의 중으로, 협의를 조속히 마무리해 안전한 시민 공간 조성을 차질 없이 추진할 예정이다.
유정복 시장은 “이번 철책 정비는 1883 개항광장 개방에 이은 또 하나의 시민 공간 확대로, 원도심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조치”라며, “앞으로도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 등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더 많은 시민 공간을 되돌려드리겠다”라고 말했다.
- 이미지파일
-
첨부된 이미지 파일이 없습니다.
- 첨부파일
-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