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친환경차 주차구역과 충전시설 더 많이 설치해야 한다

-- ‘인천시 환경친화적 자동차 보급 촉진 및 이용 활성화 조례’ 일부 개정 --

담당부서
에너지정책과 / 김동일 (032-440-4359)
제공일시
2022-04-21
조회수
1551

전기자동차 충전구역

인천시가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의 전용주차구역과 충전시설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인천광역시는 환경친화적 자동차 보급을 촉진하고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환경친화적 자동차 보급 촉진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일부 개정해 4월 2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환경친화적 자동차는 전기자동차, 수소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자동차법」제2조에 정의된 자동차를 말한다. 지난해 말 기준 인천시에는 13,841대의 전기차와 수소전기자동차가 등록*돼 있다.

* 전기차 12,820대, 수소전기자동차 1,021대(2021.12.31.일 기준)

 

이번에 개정된 조례의 주요내용은 ▲전용주차구역 및 충전시설 설치대상 ▲전용주차구역의 설치기준 ▲충전시설의 설치수량 ▲급속충전시설에 대한 의무설치 수량 기준 등이다.

 

개정된 조례에 따르면 전용주차구역 및 충전시설 의무 설치대상을 공공건물, 공중이용시설, 공영주차장은 총 주차대수 100개 이상에서 50개 이상으로, 아파트는 500세대 이상에서 100세대 이상으로 확대했다.

※ 설치대상





















구 분 개 정 전 개 정 후 비 고
공공건물, 공중이용시설,

공영주차장
총주차대수

100개 이상
총주차대수

50개 이상
 
아 파 트 500세대 이상 100세대 이상  

 

전용주차구역과 충전시설 설치 수량은 신축시설의 경우 총 주차대수의 5%, 2022년 1월 28일 전에 건축허가를 받은 기축시설은 총 주차대수의 2%로 상향했다. 신축시설의 충전시설 5%는 급속충전시설로 설치하도록 했다.

 

※ 설치수량





















구 분 개 정 전 개 정 후 비 고
신축시설 총주차면수의 1% 총주차면수의 5% 충전시설의 5%(급속)
기축시설* - 총주차면수의 2% 국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은 5%(전용주차구역)

* 기축시설: 법 시행일(2022.1.28.) 이전 건축허가 받은 시설

 

기축시설은 친환경자동차법 시행일인 2022년 1월 28일부터 공공건물 1년, 아파트 3년, 그 외 시설은 2년 내에 총 주차면수의 2%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시민들의 접근성이 높은 공영주차장에 충전시설의 20%이상을 급속충전시설로 설치하도록 했다. 급속충전시설이 확대되면 전기차 이용자들의 충전 대기시간이 단축되고 빠르게 충전할 수 있어 충전 만족도가 향상되고 충전사각지역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준호 시 에너지정책과장은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시민들의 생활공간 속에 전기차 충전시설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우리시는 충전시설 확충을 통해 탄소중립과 그린뉴딜의 기반을 다져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미지파일

첨부된 이미지 파일이 없습니다.

첨부파일

첨부된 파일이 없습니다.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