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인천 남동산단, 에너지 자급자족 기반시설 갖춘다
-산자부,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사업’공모 선정, 국비 200억원 확보-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진행한 ‘에너지자급자족 기반시설(인프라) 구축사업’공모에 인천남동스마트그린산단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사업기간은 이달부터 2025년 12월 까지며, 국비 200억 원을 포함해 총사업비는 300억 원 규모다.
‘에너지자급자족 기반시설(인프라) 구축사업’은 산업단지의 디지털화·에너지자립화·친환경화를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스마트그린산단 조성사업의 세부사업이다. 산단 탄소저감 실현 등 그린전환을 위한 신재생 분산전원 보급 및 통합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한 에너지 자급자족 실증단지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시는 2020년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지정된 남동산단에 △소부장 실증화 지원센터 구축, △산단 통합관제센터 구축, △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 △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구축 등의 세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조업 디지털화·기술혁신 지원, △통합관제시스템·스마트서비스 제공으로 안전강화 및 근무여건 개선, △스마트 인재양성 등 입주기업과 산단 전반의 경쟁력 강화에 힘써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지난해 11월 남동산단은 정부에서 발표한 ‘산업단지 혁신 종합대책’에서 탄소저감이 필요한 3대 대표모델 산업단지* 중 전력소비가 많은 ‘전력중심형 대표산단’으로 지정돼, 폭넓은 탄소저감 사업을 통한 친환경 산단으로의 전환이 절실한 상황이다.
* (전력중심형) 인천남동산단, (화석연료형) 여수산단, (혼합형) 구미산단
시는 이번 공모 사업에 ▲실현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확보, ▲에너지자립화 모델 구축, ▲산단과 기업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8개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시는 태양광발전 설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관리시스템 구축 및 시설 개선 등 친환경 에너지자립화를 통해 남동산단을 그린산단으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이남주 시 미래산업국장은 “글로벌 저탄소 정책이 사실상의 규제로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산단 입주기업의 탄소중립·RE100 이행을 지원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산단의 친환경 그린전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