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공짜가 없는 것인지, 공짜를 좋아하는 것인지 ....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공짜가 없는 것인지, 공짜를 좋아하는 것인지 ....



현재 경남도에서의 학교 무상급식의 재정으로 ' 주, 경남김치' (대표: 홍준표)를 생산하려고 한다. 이는 경남도에 식품생산 연구소가 들어서기 전까지의 과도기 체제이다.

경남과 울산, 부산이 합심한 빅딜체제(소비체제)로 운영하면
이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보수에서는 정부 재원이 투입되지 않아도 될 듯 싶다.
그러나 김치를 생산할 장소(임대료)에 대한 재원은
이명박 정부에서 재래 전통시장 활성화의 재원으로
지원했어야 했다. 부산시의 경우에는 도심에서 김치를 판매할 장소(재래 전통시장)에 대한 임대료이다.
그리했다면 한국 전통식품 김치생산 연구원장을 기용할 수 있었고
연구원장은 중앙에서 지원한 지원금을 관리할 수도 있고
그리고 친환경 배추의 수급에도 조정 역할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해도 김치를 생산하는 생산자나 감독자에 대한 보수는 줄 수가 없으므로 임용권은 없다.
제안자는 김치생산 연구원장이 근무할 장소를 광주광역시로 정했다.
감칠배기의 김치가 공항김치(수출김치)로 나왔고 김치를 가장 먼저 생산한 곳이다. 수출김치의 배추는 판매지(국외)에서 배추를 생산해도 되므로 중지가 되었다.
동시에 매년 개최되는 광주김치 축제의 재원은 이곳에 투입하도록 한다.
그러나 원장의 보수(600만원)은 중앙의 재정이다. ( 돈에는 꼬리표가 없다 )


- 기초 영양교육 -

예전에는 중고등학교 과정에
여학생은 ‘가정’, 남학생은 ‘실업’이라는 교과목이 있었다.
부활해서
교육과정에서 남녀가 구분되는 보편성을 지닌 교육을 시켜야 한다.
입시에서 문제가 된다면
입시과목 또는 내신 성적에서 가정 과목과 실업 과목을 제외하면 된다. 중등교육과정에서 영양교육을 맡을 영양교사가 남녀 중등학교 과정(1학년부터 3학년까지)에서 이론을 가르칠 영양교육처럼................맞나 ?
그리하지 않겠다면 식품전문가들도 제안자처럼 대국민 영양교육(무상교육)을 실시해야 하는데 어느 누가 할 수 있나 ? 그리한다고 해도 ‘ 기초 영양학 지식’ 이 없으면 수강자가 이해하기 어렵다.
앞으로 대국민 영양교육(=식품의 안전과 관련된 교육)의 통로는 많을 것이다. 중요한 교육은 KBS 저역 9시 뉴스 뒤에 각시도 식품생산연구원장이 하도록 했다.
기타 식품과 관련된 교육은
가계부, 정부식품 목록, 식품 위생 교육, 부녀자 교육 등을 통해서
식품 전문가들( 기간직이 아닌 각시도 유전성 질병 연구원이 연구원장의 지시를 받아서 )이 교육할 통로로 활용하면 된다.
즉 수교자가 기초 영양학 지식(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을 갖추고 있다면 문제 없다.

-- 2015년 3월 15(일) --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