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15억원, 전통시장 임대료 ( 2- 2)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미완성의 완성( 0 )

제 목 : 15억원, 전통시장 임대료
(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윤상직 장관 )

☆ 먹을 거리에 지리적 표시제 있는데 천연기념물이란 또 무엇인가 ?


먹을거리가 아닌 진돗개는 천연기념물 제 53호로 되어 있다.
천념기념물의 계승유지를 위해서 천연기념물에만 재정적 지원을 하기가 뭣해서 그랬다면
제주돼지는 정부식품으로서 지원하겠다고 하고,
지원 범위를 밝혀주던지.......

먹을거리에서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 지리적 표시제이다. 별첨 1 에서와 같이 제주돼지는 지리적 표시제의 축산물로 되어 있는데 천연기념물이란 명칭은 또 무엇인가 ?

제안자의 제안서는 일찌감치 농림부의 식품관련부서에서
1권을 구입했다. 구입한 공무원은 안**씨,
농림축산부의 당해부서에서는 지금이라도 제안서를 읽어보고
다시 검토하라 !

그리고 중앙정부는 먹을거리에 재정을 투입하겠다면
박근혜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추진 기구를 구성해서 해야 한다.
그리해야 각 부서에서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다.
-- ( 중간 줄임 ) --

1. 하동녹차에 지원할 15억원의 국고는 각시도에서 김치를 판매할 재래전통시장의 임대료로써 지출토록 해야 한다.
17곳 시도에서 세종시를 제외하면 16 곳이다.
충북, 충남, 대전은 한데 묶어서 2곳의 전통재래시장에서 김치를 팔도록 한다. 1곳에 1억원씩 지원한다.

2. 15억원 임대료의 관리는 부산시 공영 반여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김치를 팔 경리가 맡는다.
각시도에서의 김치의 판매는
각 시도공영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적절한 곳을 선정하고
기타 15개소의 재래전통시장에서 김치를 판매토록 하며
전통시장에서 판매할 장소의 임대료 (각 1억원)는
현재 김치 생산연구소(광주로 지정)와 소장이 없으므로
부산시 공영 반여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김치를 팔 경리가 당분간
각시도별, 전통시장별로 대장(15개)을 만들어서 관리 보관토록 한다.
( 대장의 작성자는 1억원의 돈을 받은 시도지사가 작성하고 날인해서 부산시장에게 넘긴다 )
이곳의 경리는 파견 근무기간이 2년씩이며 직급은 7급,
세무부서에서 통계보조나 통계주무를 1년 이상 본 경험의 여성 공무원 (=세무직 공무원)을 부산시장이 발령한다.


첨부
1. ♬ 제주 돼지
2. 제주 흑돼지, 천연 기념물 된다.

참고 : 시도지사 및 인구 (2013년 1월 현재 )
.
.
.
============= 첨부 1, 2 ===================
.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년 10월 20일, 김대중 정부)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실장 : 임병철 / 구청장 : 윤석천 )
지방행정 주사 안정은(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 제주 돼지


[ 제안 추진 내용 2007년 2 ]

품질 돼지, 맛도 돼지, 영양 돼지


' 황금 돼지 해‘ 를 맞아 제주산 돼지고기가 ’ 국민 돈육‘ 으로의 부상을 꿈꾸고 있다.
청정 이미지와 뛰어난 맛으로 명품 반열에 오른 제주산 돼지 고기는 새해부터 시행되는 (*)지리적 표시제 라는 새로운 날개를 달아 명성을 이어가게 되었다.
제주산 돼지고기는 2006년 9월 국립 농산물 품질 관리원에 지리적 표시제 대상 품목으로 등록했다.
2007년 3월부터는 제주산 돼지고기의 생산농장, 생산자, 품종, 생년월일, 유전정보, 출하일, 체중, 급여사료, 약품정보, 도축일, 도축 등급 등 모든 정보를 소비자가 바코드로 파악할 수 있는 생산 이력 제도가 도입된다.
고두배 제주도 친환경 농축산국장은 󰡒생산에서 가공, 유통단계까지 철저한 품질 관리를 통해 제주산 돼지고기를 국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국민 돈육󰡒으로 만들어나가겠다󰡓 고 말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지리적 표시제
농.축산물과 가공품의 명성, 품질,특성이 특정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경우 그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특산품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는 제도다.
축산물이 지리적표시제 대상 품목에 선정된 것은 ‘횡성 한우고기‘ 와 함께 ’ 제주 돼지 고기‘ 가 처음이다.


-- 2007. 1. 3(수), 서울신문, 제주 황경근 기자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제주 흑돼지, 천연 기념물 된다.


제주 흑돼지가 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청장 : 나선화)은 예로부터 제주도에서 사육해 온 제주 흑돼지를 국가 지정 문화재인 천연 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6일 밝혔다.
앞으로 제주 별미인 흑돼지 요리를 못먹게 되는 것은 아니냐는 걱정은 안해도 된다.
식용으로 유통되는 돼지는 아니고 제주 축산진흥원에서 특별관리 중인 260여 마리만 문화재에 해당된다.
문화재청은 " 3세기 중국 고문헌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 18세기 성호사설 등 옛문헌에 제주에서 흑돼지를 길렀다는 기록이 있어 제주 흑돼지가 유서깊은 전통종임을 알 수 있다 “ 며 ” 육지와 격리된 제주도의 지역적 여건상, 제주지역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 고 했다.
일제 강점기와 근대화를 거치면서 외국에서 도입된 개량종과의 교잡으로 순수 재래돼지는 개체수가 급감하며 절종 위기에 처하게 됐다.
제주 축산진흥원에서는 1986년 우도 등에서 재래종 돼지 5마리를 확보해 현재까지 순수 혈통을 관리 중이다.
외형상으로 육지 흑돼지는 귀가 크고 앞으로 뻗은데 비해 제주 흑돼지는 귀가 작고 위로 뻗은 점이 다르다고 문화재청은 덧붙였다.
이로써 축양동물 천연 기념물은 진도의 진돗개, 경산의 삽살개. 연산 화악리의 오계, 제주도의 제주마와 흑우, 경주개 동경이를 포함해 모두 7종이 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면 시설 설치, 축사 관리, 먹이 구입 등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 며 “ 더욱 안정적으로 혈통이 보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고 했다.


-- 2015. 1. 27(화), 조선일보 A14면, 허윤희 기자 --


등록 : 2015. 1. 28(수)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 정승 ) > 국민 소통 > 여론 광장 (등록 불가)
보건복지부 (장관 : 문형표)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
.
=============== 참 고 ======================


시도지사 및 인구 ( * 시도별, 인구순 ) - 2013년 1월 현재

( 단위 : 명)
~~~~~~~~~~~~~~~~~~~~~~~~~~~~~~~~~~~~~~~~~~~~~~~~~~~
시도 / 시도지사 / 총인구수 / 세대수 / 증감, 인구(전년도 대비)
~~~~~~~~~~~~~~~~~~~~~~~~~~~~~~~~~~~~~~~~~~~~~~~~~~~~~
서울특별시 오세훈 박원순 10,195,064 / 4,178,537 / -54,615
부산광역시 허남식 3,538,191 / 1,390,482 / -12,772
인천광역시 송영길 2,846,899 / 1,098,867 / +45,625
대구광역시 김범일 2,504,945 / 949,135 / -2,326
대전광역시 염홍철 1,525,888 / 576,298 / +10,285
광주광역시 강운태 1,470,061 / 556,033 / +6,597
울산광역시 박맹우 1,148,130 / 422,783 / +12,636
세종특별시 유한식 113,911 / 46,817 / .
.............................................................................................................
경기도 김문수 12,107,216 / 4,644,387 / +169,801
경상남도 김두관, 홍준표 3,318,979 / 1,301,794 / +10,214
경상북도 김관용 2,698,263 / 1,126,044 / -932
충청남도 안희정 2,029,769 / 843,309 / -71,515
전라남도 박준영 1,907,945 / 808,285 / -6,394
전라북도 김완주 1,872,500 / 760,097 / -1,531
충청북도 이시종 1,565,670 / 633,577 / +2,767
강원도 최문순 1,537,704 / 654,872 / +1,256
제주특별자치도 우근민 584,045 / 232,399 / +7,889
~~~~~~~~~~~~~~~~~~~~~~~~~~~~~~~~~~~~~~~~~~~~~~~~~~~~
계 : 50,965,180 명 / 20,223,716 세대 / + 230,896 명
~~~~~~~~~~~~~~~~~~~~~~~~~~~~~~~~~~~~~~~~~~~~~~~~~~~~~

.
.


~~~~~~~~

~~~~~~~~~
등록 : 2015. 4. 1(수)
식품의약품안전처 > 국민 광장 > 여론 광장 (등록 불가 )
보건복지부 (장관 : 문형표 ) > 참여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등록 : 2015. 4. 15(수)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