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 국산 햇마늘이 나왔다. ( 2012. 6. 3 )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 국산 햇마늘이 나왔다. ( 2012. 6. 3 )


-- 햇마늘 손질하기 --

마늘은 이모작이 안된다고 한다. 국산 햇마늘이 지금 나오고 있다.
올 겨울도 김장 안하고 전통시장에서 식품 전문가들이 내어 놓는 김치를 사서 먹을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그러므로 여성들은 까지 않은 통째 마늘을 여유있게 집에 사와서 틈틈이 까서 씻어 말려 방아에 찧어 적정량씩 뭉쳐 위생 비닐백에 넣어서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평상시의 조리시 사용하자.
김장용도 같이 별도로 준비해서 넣어두어도 좋다.
마늘은 깔 때에는 *두꺼운 면장갑을 끼고 까야만 손가락이 아리지 않는다. 남편의 도움도 얻자.
마늘을 사서 너무 오래 두면 안되므로 모두 까서 빻아
냉동고에 꼭 보관해야 한다.


--- 2012. 6. 3(일)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두꺼운 면장갑을 끼고 까야만 손가락이 아리지 않는다 -------

두꺼운 면장갑 안에
핑거넵(Finger Nap- 미니 위생장갑 : 080-203-7065)이나

1회용 비닐장갑에서 엄지와 집게 손가락을 잘라내어
양쪽의 면장갑 안에 끼고 마늘을 까야만 손가락이 아리지 않는다.

*
*
*


새 내기 깐 마늘 보관법
=====================


깐마늘을 사와서 물로 깨끗이 씻어서 꼭지를 딴다.
방아로 찧어서 냉동실에 나누어 넣어 두고 쓴다.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마늘을 갈아 달라고 하면
꼭지 채로 갈아서 준다.

(그런데 조리 전문가들은
마늘을 믹서기에서 칼날로 날려서 가는 것 보다는
방아에 찧어서 갈면 김치를 담글 때 등 조리식품에 마늘이 잘 달라 붙는다고 한다 )



방아에 찧은 마늘을 위생 비닐 백에 나누어 담아서 냉동실에 넣어두고
조리 시에 수시로 꺼내어 쓰고 김치를 담글 때는 미리 녹여서 쓰도록 한다.

마늘은 강한 향신료이기 때문에 만질 때는 꼭 비닐 위생 장갑을 끼고 다루어야 손이 상하지 않는다.

마늘을 생선의 비린내 성분 등으로 조리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마지막에 넣어야 한다.


-- 2012. 6. 9(토) --

*
*
*
**

^^^^^^^^^^^^^^^^^^^^^^^^^^^^^^^^^^^^^^^^^^
제안 추진 내용 2005년 셋-3 )

공영 농수산물 도매시장 (전국 32곳)
^^^^^^^^^^^^^^^^^^^^^^^^^^^^^^^^^^^^^^^^^^^



서울특별시 (2곳)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 서울. 송파구 가락동)
강서 농산물도매시장 ( 서울. 강서구 외발산동 )


광주광역시 (2곳)
각화 농산물도매시장 ( 광주시 북구 각화동)
서부 농산물도매시장 ( 광주시 서구 매월동 )


대구광역시 (1곳)
북구 농수산물도매시장 ( 대구시 북구 농수산로)


대전광역시 (2곳)
오정동 농수산물도매시장 (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노은동 농산물도매시장 (대전시 유성구 노은동 )


부산광역시 (2곳)
엄궁동 농산물도매시장 (부산시 사상구 화훼길 )
반여동 농산물도매시장 (부산시 해운대구 반여1동)


울산광역시 (1곳)
울산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울산시 남구 삼산동 )


인천광역시 (2곳)
구월동 농산물도매시장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삼산동 농산물도매시장 (인천시 부평구 삼산동)


강원도 (3곳)
춘천시 농산물도매시장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 )
강릉시 농산물도매시장 (강원도 강릉시 유산동 )
원주시 농산물도매시장 ( 강원도 원주시 단계동 )


경기도 (4곳)
수원시 농수산물도매시장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구리시 농수산물도매시장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안양시 농수산물도매시장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안산시 농수산물도매시장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





경상남도 (3곳)
창원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남 창원시 팔용동 )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남. 진주시 초전동)
마산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남 마산시 내서읍 중리 )


경상북도 (3곳)
안동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북 안동시 풍산읍 노리)
포항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학천리)
구미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북 구미시 고아읍 문성리 )


전라남도 (1곳)
순천시 농산물도매시장 (전남 순천시 해룡면 월전리 )


전라북도 (3곳)
전주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 2가)
익산시 농수산물 도매시장 (전북 익산시 목천동 )
정읍시 농산물도매시장 (전북 정읍시 농소동 )


충청남도 (1곳)
천안시 농산물도매시장 ( 충남 천안시 신당동)


충청북도 (2곳)
청주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충북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
충주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충북 충주시 목행동)
-------------------
* 상기 현황은 2006. 1월 현재


-- 농림부, 유통정책과 -1113호(2007. 3. 13)에 의거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