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 식품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실장 : 임병철 / 구청장 : 윤석천 )
지방행정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한국방송통신대학 5년과정 가정학과 가정학사 (1985년 )
-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년6개월 과정, 행정학과 행정학석사 (1990년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울릉도 간첩단 사건 그리고
[ 1961년 5. 16일 군사 혁명 - 박정희씨, 군사정변 ]
[ 박정희 대통령 ( 62년 4월 - 63년 11월 / 1963년 12. 17일 -1979년. 10. 26일 : 약 17년 5월 ) - 1967년 재임 선거, 헌정상의 중임기간은 1971년 6월 30일까지 ] ..........참고 문헌 : 대한민국 헌정사, 헌정연구원, 1996년, 443쪽.
* 1970년 7. 7일 경부 고속도로 개통
* 1970년 11. 13일, 노동자 전태일 분신 자살 (- 30대가 살아온 시대일지, 부산매일 )
- 참고 문헌 : 대한민국 헌정사, 헌정연구원, 1996년, 443쪽.
== 울릉도 간첩단 사건 : 중앙정보부에 의해 47명이 연루된 울릉도 간첩단 사건(1974년 3월~)으로 전영관씨 포함 3명이 77년 사형된 사건 ==
..................................................................
0. 1973. 6. 5일 : 본인 공무원 첫 발령
0. 1974. 3월 ~ : 울릉도 간첩단 사건 (전영관씨)
0. 1074. 5. 28 : 오촌 아저씨(안정열씨 -동래고교 졸업, 해경함장), 동해 속초에서 근무 중 함포사격을 받고 실종
0. 주민등록증 분실사건 (동래구 청룡동 사무소) : * 옥성선 동래구청장,
책임을 물어 남해군수로 발령( 76년 4월 7일부 ) - 박영수 부산시장 재임 시
* 울릉도 간첩단 사건으로 전영관씨 포함 3명 사형(1977년)
※ 박영수 부산시장(재임 : 1971년 6월 ~ 1977년 7월)
* 박영수 부산시장 부인, 병사 : 1977. 4. 22일 ~ 1977년 7월
* 본인 연탄가스로 의식 불명 : 1977. 4. 22일 ~ 1980년 9월 2일 (세무2과 근무)
___________________
* 옥성선 ........... 玉씨와 王씨, 全씨와 田씨는 모두 같은 성씨(姓씨)라는데
- 고구려의 창건은 고씨, 제주도에서 많이 살아왔다고 한다.
- 고려의 건국은 918년 왕건이며 1392년 이씨조선으로 넘어갔다. (474년간)
*
*
****
☆ 1
1. 부산 동래구청 세무1과 평가계 계장 (6급)의 딸이 서울 기거하는 방에서 변사체로 발견 (서울소재의 대학에서 재학 중 ) : 1977. 4. 22일 ~ 1980년 9월 2일
2. 서울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여간호원(김**씨)이 맞선을 보기 위해 본가인 경남 진해시(해군본부가 있었던 곳 - 대통령 별장도 있었다고 함)로 왔다가 비 오는 날 밤에 연탄가스로 사망 : (?) ~ 1977. 4. 22일 사이
............................................
☆ 2
1974년 시국이 어떠했나 ?
[ 박정희 정부 ]
(안보, 평화통일)
1970년 8.15 선언,
1971년 남북 이산가족 찾기 운동
1972년 남북 적십자 회담을 추진
* 1971년 12월, 국가 비상사태 선언 (안보를 위해서)
- 집회, 시위, 노동자의 단체 행동권 금지
[ 1972년 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 단독 출마하여 당선 ]
1972년 7. 4일, 7.4 남북 공동 성명
1972년 10월, 비상계엄 선포 - 국회 해산 → 10월 * 유신 선포
-- 1973년 2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과 야당이 비슷하게 표를 얻어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의 뜻이 반영 --
[ 제안자, 1973년 6. 5일 부산시 지방 공무원 공개 채용 ]
1973년 6. 23일 : 평화 통일 선언
- 야당과 재야 인사들이 개헌청원 서명 운동 -
1974. 1월 긴급조치 1호 발표 - 헌법 개정 논의 금지, 비상군법회의를 두어 위반자 처벌.
1974. 5월, 긴급조치 9호 - 유신헌법 부정, 반대, 왜곡, 비방자는 영장없이 체포가능)
(헌법 비방, 개폐선전 금지 - 긴급조치 9호에 관한 신문기사, 1974. 5. 14일 조선일보)
[ 1974년 5월 28일 - 제안자의 오촌 아저씨 안정열씨(해경함장)가 동해 속초에서 함포사격으로 실종 ]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기념식 행사에서 영부인 총격 사망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유신 선포 : 1972년 6월
- 대통령 임기 6년,
- 중임제한 폐지,
-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의 간접 선거로 국민의 참정권이 사실상의 부정됨,
- 대통령이 국회의원 1/3을 추천하고 국회 해산권을 가짐.
.
.
참고문헌 :
송찬섭, 김남윤, 윤대원 공저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년 475쪽 ~477쪽
.
.
~~~~~~
~~~~~~
등록 : 2015. 11. 16(일)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광주광역시청, 제주도청 - 시민(자유) 게시판 : 색조글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