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영양교사 외 090105 ( 이명박 대통령 )

작성자
안 * * *


[ 식품의약품 안전처, 국민 소통, 여론 광장 : 2014. 9. 13일자 등록 / 제 목 : 교육 현장 살펴 보기 - 부산 금정구] 와 관련됩니다


제안자(여성)가 학교(동래여중, 부산여상)에 다닐 때에는 중등 및 고교의 교과 과정에 ‘ 가정’ 과목이 있었다 (초등학교 제외). 그리고 그 과목에서는 조리실습 시간도 포함되어 있었다. 요즈음은 중고등학교의 교과목에서 ‘가정’ 과목이 없다면 남녀학생들에게 대신 영양교육을 시키면 될 것이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 기초 영양학에서부터 시작해서..........중고교과정에서 ‘가정’ 과목이 현재 있던 없던, 영양학에 대한 교육자는 전공이 식품 영양학이라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의 단체급식소에서는 단체급식소의 영양사를 영양교사화 하여 단체급식도 제공하고 그 영양사는 학생들의 성장과정에 맞는 영양 지식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리하자면 영양사이면서 교원자격증을 가진 영양사를 최우선으로 채용해야 할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잣대가 없어서야 되겠는가 ? 요즈음은 대학의 교과 과정에 영양교육 과목이 분리되어 있다.


0. 관련 건의 및 보고
- 영양교사 외 090105( 이명박 대통령, 2009. 1. 5 )
- 제안 건의 080523-3(이명박 대통령, 2009. 1. 19 )
- 업무보고 111230 (이명박 대통령, 2011. 12. 30 )

-- 2014. 9. 14(일) --

[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 소통, 여론 광장 : 2011. 11. 22일자 등록 - 제목 : 학교 단체 급식 (2009. 1. 5) ]

[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 소통, 여론 광장 외 : 2014. 6. 8일자 등록 - 제목 : 교육 현장에 잣대가 없어서야 되겠습니까 ? ]

............................................................................................................................
[ 파일명 : 영양교사 외 090105 ]
...................................................................


1999년 10월 20일, 정부 제안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 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관련 추가 제안 및 건의







2009. 1. 5. (월)






제출처 이 명박 대통령


제안자 부산광역시 금정구 등선로 24, 102-1205
안 정은 ( 051, 582-5330 )


.................................................................................................................................


0. 학교의 영양교사 채용시 교원자격증 소유자 우선 채용


각시도 교육청에서는 각급 학교에서 집단급식소를 운영하고 또 초등학교에서는 영양교육을 실시할 영양교사를 채용할 때 4년과정의 식품영양사로서 교원 자격증을 가진 영양사를 우선 채용하도록 합니다.
초등학교는 영양사를 2명 채용하여 학생들에게 교과 외의 영양교육도 맡으면서 여타 직장의 식당처럼 학교 식당에서 교직원들의 아침과 저녁을 먹을 수 있도록 합니다.
또 기숙형 학교의 학생들의 아침과 저녁도 먹을 수 있도록 합니다.




0. 취학 연령의 고아원은 기숙형의 초중고교에서 수교

1.
교육부는 농산어촌의 낙후된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기숙형 고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주로 변두리의 고아원에서 초중고 구분없이 숙식하며 등교하는 고아들도 학교에서 기숙하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연령의 고아들은 현재는 취학기간 동안 초중고 구분없이 몇 곳(주로 변두리)에 흩어져 고아원(사회복지시설)에서 숙식하며 또 학교에까지 등교하고 있어 교통편이 불편한 곳이 많고 등하교 시간이 오래 걸려 공부도 효율적으로 할 수 없습니다.

이들을 저출산으로 남게 되는 교실 공간을 개조하여 초중고교의 지정된 학교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별로 달리 하여 보육사와 같이 기숙하면서 교육을 받고 학교 도서관에서 공부하고 운동장에서 뛰어 놀 수 있게 합니다.
밤과 일요일 공휴일 방학에는 보육사와 함께 생활합니다.



2.
취학 전의 고아들은 교통 여건이 좋은 쾌적한 고아원을 선정하여 그 곳을 증개축해서 지금처럼 함께 거주하도록 합니다

.............................................................................................................................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