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년 10월 20일- 김대중 정부)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지방행정 주사 안정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1 : 시도청의 식품안전에서 여성이 설 자리, 그리고
상기 제안서에서는
식품생산연구소에서 근무하는 98% 가 여성이라고 해도 거짓말이 아니다.
6.4지방선거가 다가오고 있다.
17곳 시도지사 선거에서 살펴보니 여성의 시도지사가 당선될 곳이 별로 눈에 뜨이지 않는다. 결과야 투표함을 열어보아야 알겠지만.
만일 그로 하여 시도 아래 정무부지사 자리를 여성에게 주겠다면
시도지사는 이번 선거에서 ‘ 시도민들의 식품안전을 위해 노력하겠다’ 고
분명하게 약속하고 그리하고서 정무 부지사의 자리에 여성을 앉히어야 한다.
그리해야 여성의 부지사가 재임하는 동안 여성으로서의 자신이 중요하게
해야할 일과 서야 될 자리가 분명해 질 것이다.
-- 2014. 5. 29(목) --
........................................................
제 목 2 : 부시장 및 부지사에 여성으로
제 목 3 : 여성 공무원, 부구청장 맡을 수 있어
현재 시도지사 아래 행정부지사를 대통령이 발령한다고 하는데 그리하면 민선의 시도지사는 지역의 상공회의소 회장이 되어야 하나 ?
(행정)부지사는 당해의 시도지사가 임명해야 한다. 시도지사가 유고되면 부지사가 직무대리가 되므로 행정에도 밝아야 한다.
이 부지사를 전직의 여성 공무원으로 외부에서 영입한다. 전직에서 시도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되면 유능한 전직의 공무원을 발탁(타시도청 근무자, 중앙청 근무자도 포함) 하는 인사가 된다. 물론 당해시도청에서 일한 전직의 유능한 여성 공무원이면 금상 첨화이다.
1970년대 및 80년대 부산시 구청에서의 상위 직급인 부구청장직에서 살펴보면 그 직은 여성이 직급(3급)만 되면 수행할 수 있는 자리였다.
주로 중앙정부에서 부산시에 낙하산 인사로 내려와서 부산시청에 머물다가 각구청으로 내려와서 부구청장을 맡았다. 부산시(=지방)의 행정에 낯선 중앙 행정고시의 공무원(3급 - 연령은 50대 )들이 많이 맡았는데 이로써 김영삼 정부 및 김대중 정부에서 조직개편과 관련하여 부구청장 무용론이 조직내에서 흘러나오기도 했다. 현재 여성 공무원들이 공채로 많이 들어오므로 부구청장직은 고위직으로 진급한 여성공무원들이 맡을 수 있는 자리이다. 이명박 정부(허남식 부산시장)에서 부산시청의 윤순자 국장이 퇴직 전 부산진구청 및 연제구청에서 부구청장직을 수행한 바 있다.
첨부 : 모든 중앙행정 기관 ‘여성정책 책임관’ 둬야
========== [ 첨 부 ] ===================
정부 제안 추진 내용 나 57(2002년 )
모든 중앙행정 기관 ‘여성정책 책임관’ 둬야
‘여성발전 기본법 개정안’이 2002. 11. 8, 국회에 통과됨에 따라
2003년부터 모든 중앙행정기관은
여성정책책임관을 의무적으로 두어야 한다.
그러므로 46개 중앙행정 기관은 2002년 올해 안에
1~3급 공무원을 여성정책책임관으로 겸임 발령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각부처는 기획관리실장급,
청급은 2~3급이 각각 여성관련 업무를 맡는다.
또 국무총리 산하 상설 기구로 각 부처 장관이 위원이 되는
‘여성정책 조정회의’를 신설하여
여성관련 업무 및 정책을 조정토록 했다.
~~~~~~
끝
~~~~~~
등록 : 2016. 1. 28(목)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