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제 목 : ♬ 벌꿀차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 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제안일 : 1999년 10월 20일
제안자 : 안정은 ( 소속 : 부산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
......................................................................................................
제 4장, 2. 대체식품 및 기타식품 / 사. 약초의 재배 및 검사 226쪽 ~228쪽.
2013 산청 세계전통의약엑스포를 찾아서
2013. 9. 6일 - 10. 20일(45일간)까지 경남 산청군(군수 : 이재근)에서
‘ 2013년 세계전통의약엑스포’가 개최되고 있다.
개장식에는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참석했다고 한다.
‘ 동의보감 박물관’ 이 있는 주제관 아래의 부주제관에는 넓은 주차장이 있으며 ‘약초 판매장’ 이 이미 자리해져 있다. 약초를 파는 곳이다.
이곳 부주제관에는 행사기관 동안 ‘혜민서’를 설치하여 내방객들에게 침을 놓아주고 있다고 한다.
부주제관에서 셔틀버스를 타고 좀 올라가면 주제관이 나온다. 주제관은 ‘동의보감 박물관’(2층 규모)이 있는 곳이며 박물관 입구에는 의관과 의녀의 큰 금색 동상이 나란히 세워져 있으며 의관은 동의보감의 책을 들고 있다. 이 박물관은 새로 세운 듯했다.
주제관에의 입장에는 입장료가 있다. 65세 어르신은 입장료가 8,000원이다.
동의보감의 저자는 의관 허준이다.
한의약에 관한 서적은 조선시대의 동의보감 1개뿐인 것은 아니라고 하지만 동의보감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은 태의 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고 집필을 시작하여 광해군때 완성하였으나 광해군 즉위 즉시 무고로 쫓겨났다가 광해군의 특명으로 다시 풀리어 이책을 완성하였다. 허준은 의학에 밝았으나 동의보감을 집필 중 쫓겨났다가 다시 풀리어 집필을 계속하여 1610년 동의보감을 완성한 그 이력이 특이해 보인다.
이러한 내용은 ‘동의보감 박물관’ 에서도 비교적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 참고 :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허준, 한국 익생양술연구회 엮어 옮김, (서울 /글로북스), 2012년 초판 발행, 서문 --
제안자는 둘러보고 나오면서 꿀 한병( 잡화 꿀 24kg, 60,000원)을 사 왔다.
꿀은 한의가 한약을 * 환약(=둥근 알약)으로 지을 때 필요하다. 꿀 한병의 현싯가는 꿀을 모을 때 설탕이 들어가면 - 이하 줄임,
설탕이 들어가지 않는 꿀은 60,000원이라고 한다.
0. 잡화꿀, ‘ 한 벌꿀 ’
- 양봉자조금관리위원회 (경남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 )
- 전화 : 055, 972 - 803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환약(=둥근 알약) ...............환약의 흔한 예로서 연령고분탕이 있다. 이 약은 어르신(남)의 보약으로 일반적으로 남성들이 고령이 되어 노쇠함에서 오는 부분을 보하는 보약으로 집안 어르신들이 복용해 온 보약이다.
암 등은 피할 수 없겠으나 잡병을 없애주고 복용하는 어르신들은 장수하시었다. 한의원에서 손쉽게 지을 수 있는 보약이다.
-- 2013. 9. 6(금), 2013년 산청 세계전통의약엑스포 주제관 --
등록 : 2013. 9. 7(토), 2013. 10. 1(화)
보건복지부 ( 장관 : 진영) > 참여 > 자유 게시판
.
.
.
.
※
조청은
포도당 2분자가 합쳐진 이당류(즉 맥아당)이다. 그래서 많이 달게 느껴지지 않는다.
그러나 꿀에는 과당(단당류)이 많아서 매우 달게 느껴진다.
과당은 천연 당류 중에서 단맛이 가장 높고 찬 음식에서도 달게 느껴져서 각종의 단 식품과 음료수에 많이 첨가해온 천연 감미료였다.
-- 참고 문헌 : 조영, 김영아, 김미정, [ 식품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09년 163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