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식점의 영양사 제도 도입인가, 아니면 저나트륨식 식단(?) 개발인가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각시도의 대표 음식 (로컬 푸드), 외식업체 지원
부산시 외식업체 지원
- ( 중간 줄임 ) -
부산시에는 부산발전연구원이 있다 (원장 : 부산대 행정대학원 교수, 강성철)
부산발전연구원은 충남도청처럼 프랜차이즈 음식을 개발한다면 제안자도 용기를 가지고 제안자의 빈 점포에서 음식점이나 운영해 볼텐데.........
......................................................................................................................
목 차
..................................................................................................................
참고 1 : 2003년부터 市정책개발실, 부산발전연구원 통합 운영
................................
첨부 1 : 충남의 대표 로컬 푸드 비빔밥, 외식업체 모집
첨부 2 : 부산의 대표 음식
0. 금정구 한우 직판장, 곰국 판매
0. 기장군 김순화 포기 김치 (찌개용)
...............................................................................................................
[ 참고 1 ] =================
제안
민선시대에 맞는 정책 개발실 운영 (김대중 대통령 , 2001. 12. 31)
제출자 (당시 소속 및 직성명 )
부산시 금정구 서1동 사무소, 주무
지방행정주사(행정 6급) 안정은
~~~~~~~~
이 행
~~~~~~~~
0. 부산광역시,
- 2003년부터 市정책개발실, 부산발전연구원 통합 운영
( 연구기획실, 경제 산업부, 도시 사회부, 도시 계획부,
도시 환경부, 항만교통연구부, 사무처, 정보자료센터 )
0. 정부
장관 정책 보좌관 신설 운영안 의결 : 부처별 2명
- 2003. 4. 1, 국무회의
[ 첨부 1 : 충남의 대표 음식, 비빔밥 ]=========
가. 충남의 대표 로컬 푸드 비빔밥, 외식업체 모집
충청남도(지사 : 안희정), 충남발전연구원(원장 : 강현수)은
충남도의 로컬 푸드 비빔밥을 외식업체로부터 모집한다.
1. 대상 : 충청남도 외식업체
1-1, 참가 자격 : 음식의 주재료와 부재료(양념 포함 )가 업체 인근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최소 60% 이상 사용하는 업체
1-2 , 식단 (=메뉴) : 비빔밥
2. 접수시간 : 2015. 4. 13일 ~ 5월 15일
3. 충남 발전 연구원에서 운영중인 ‘미더유’ 홈페이지
4. 선정 방법 : 1차 서유 심사, 2차, 현장 심사 후 결정
5. 주최 및 주관 : 충남 발전 연구원(원장 : 강현수) 외 농어업 6차 산업화 센터.
5-1 후원 : 충청남도 (지사 : 안희정)
-- 2015. 4. 22(수), 충남도정 713호 12면 --
.
.
☆
음식점을 프랜차이즈(독점 운영권, 연쇄점)로 운영하는 것이
최근 국회에서 입법화 되었다
[ 첨부 2 : 부산의 대표 음식, 가 ] ===============
가. 금정구 한우 직판장, 곰국 판매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에는 몇 년 전부터 한우 직판장이 생겼다. 한우를 파는 곳이다.
0. 금정구 한우 직판장, 곰국 판매
- 초심한우 직판장
- 문병항 / 부산 금정구 남산냇길 80 ( 전화 051, 508 - 9258, 9259 )
0. 위치
- 청룡 노포동 주민자치센터에서 100m 거리 내
- 지하철 1호선 범어사 역에서는 약 250m 거리
- 버스 노선(삼신여객- 범어사행) : 49번, 148번, 80번 등
[ 곰국 판매 ]
직판장에는 비교적 넓은 주차장이 있고 구이장도 있어서
가족들과 같이 갔다가 한우 불고기도 먹고 올 수 있다.
특히 맑은 곰국을 일정량 포장하여 팔고 있었다.
예전 노령기의 어르신들이 연탄불 위에 소뼈를 삶아 곰국으로 끓여서 드셔왔는데 이로써 그런 번거로움은 사라졌다.
1) 소곰국 1팩 : 10,000원
1-1 ) 판매 대상 : 개인 및 외식업체
2) 다른 곳에서 반입한 것이 아니고 직판장 바로 옆에서 직접 끓여 냉동시킨 것으로 가정에서도 냉동실에 보관하면서 먹어야 한다.
3) 다시 끓여서 먹을 때 신안 천일염과 쪽파나 부추, 대파를 작게 썰어 넣고 너무 담백하면 수육거리(소 살코기)를 따로 사와서 같이 넣어 먹으면 된다.
☆ 1
식품전문가들은
육류이던 생선이던 그 뼈를 갈아서 먹는 칼슘의 섭취 방법은 금지한다. 왜냐하면 뼈에는 중금속이 축적되어 있을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 굵은 뼈가 아닌 세멸치, 뱅어포는 제외)
* 식품학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식품학’ 교과서 : 1980년대)에서는 어머니의 골격이 약한 여성에게서 태어난 여성은 자신의 아기를 분만하기 5년 전부터 칼슘식품(우유, 곰국, 잔멸치 등)을
충분히 섭취해야 뼈대가 튼튼한 아기를 가질 수 있다고 한다.
-- 2013. 5. 2(목), 2014. 8. 4(월), 2015. 3. 14(토) / 9. 9(수) --
.
.
등록 : 2015. 3. 14(토) / 6. 9(화)/ 9. 9(수)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첨부 2 : 부산의 대표 음식, 나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
제안서 제4장, 1. 한국전통식품의 발전 방향
- 가. 한국전통식품의 제조를 가정에서 정부로 이관
- 2) 멸치젓(혹은 새우젓), 소금과 김치, 30쪽 중간
..................................................................................................................................
[ 제안 추진 내용 31 (2011년) - 2011. 부산 국제 음식 박람회 ]
나. 김순화 포기김치 (찌개 김치)
부산 기장 우남 김치
2011. 10. 6일부터 10월 9일, 나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2011년 부산국제 음식 박람회를 개최하였다. - (중간 줄임) -
0. 우남 김치
* 우남김치는 명품 김치라고 한다.. 국내산 재료로 깨끗하고 정직하고 맛있게 김치는 담는다고 자부한다 ( 김순화 /부산 기장군, 051, 722-9869 )
-- 2011. 10/6(목), 부산 국제 음식 박람회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우남김치 ............. 기장군(군수 : 오규석)에서 생산하는 기장멸치액젓과
신안소금, 국내산의 배추, 고춧가루, 찹쌀풀, 마늘, 생강 (무 화학색소, 무설탕, 무 보존제, 무 화학조미료)
O. 김치 재료 : 국내산
배추, 고춧가루, 신안 소금, 찹쌀풀, 마늘, 생강, 기장 멸치액젓,
식재료는 국내산으로 영양 고추 등 정부식품을 사용한다.
-- 2014. 10. 23(목)/ 11. 2(일) --.
.
등록 : 2014. 10. 23(목)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 정승)>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
~~~~~~~
등록 : 2016. 1. 24(일)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부산) 어묵의 발전방향
기존의 부산 어묵이 인공 조미료, 보존제 등을 넣고 이를 유탕 처리하여 (즉 뜨거운 기름으로 익혀서) 해삽의 인증식품으로 그동안 생산해 왔으나 국민들이 각종 첨가물, 정제된 식용유에 대한 인증자가 없어서 그 불신으로 부산어묵의 생산자(=제조업자)들이 어려움이 많았을 것이다. 식품안전의 과도기에 부산어묵이나 각시도의 어묵이 살아남는 길 즉 발전방향을 제안자로서 제시해 본다.
어묵은 밀가루에 야채, 생선살, 신안소금 등을 넣은 단백질 식품(제안자 추정)으로 생선과 대부분의 단백질 식품이 그러하듯이 부패가 빠르다.
그러하므로 보존제 및 인공첨가물이 들지 않고 찌거나 구운 즉석의 어묵을 생산하여 생산처에서 소비처(즉 식품접객업소 등)에 직접 배달하면 (즉 택배 등으로 직거래 하면 ) 그 소비가 가능하다.
구운 어묵은 복판에 구멍이 있는데 생선이 포함된 단백질은 태우면 발암물질이 형성이 되므로 복판에 구멍을 내어 빨리 익히기 위함인 듯하다.
밀가루와 생선은 구수한 맛이 있으므로 맛내기의 첨가물이 달리 들어가지 않아도 영양가가 있고 맛이 있는 식품이다.
부산 어묵은 현재 제조식품이지만 부가가치세가 면세되므로 소비하는 영업점에서도 세금 부담이 적은 식품이다.
이 부산어묵이 인증자가 없는 과도기의 식품이지만 부산시(시장 : 서병수), 부산발전연구원(원장 : 강성철 교수)에서 상기의 요건(원산지 및 성분 명시)을 갖춘 업체를 선정해준다면 이 업체는 식품접객업소와 어묵 판매점(비공인 포장마차 제외)에 즉석 어묵을 빠른 시간 안에 배달하면 될 것이다. 프랜차이즈 유통 구조이다. 취급부서는 부산발전연구원의 경제 산업부에서 보다 도시 사회부에서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
※ 현재 부산진구 소재 부전시장 내의 간판 ‘ 고래사 어묵’ 은
대표가 2007년 부산 국제 수산 무역 엑스포(제안 추진 내용 2007년 92) 에 출품된 부산 명품 수산물의 대표인 것으로 알고 있다. 제안자가 허남식 부산시장 당시 부산시청을 통해 업체(즉 늘푸른 바다)의 대표에게 불필요한 첨가물을 넣지 않은 즉석 어묵 (즉 구운 어묵이나 찐 어묵)등으로 생산해 내면 제안자가 아를 명품 부산 어묵으로 홍보해 주겠다고 하였지만 회사 사정이 어려웠던지 대답이 없었다.
..........................[ 내 용 ] ...........................................................
제안 추진 내용 2007년 92)
2007년 부산 국제 수산 무역 엑스포
- 부산시 명품 수산물 -
부산광역시가 지정한 부산 명품 수산물, “ 명품 부산 어묵 ”
( 주, 늘푸른바다 /부산. 사하구 장림동, 대표 : 김형광, 051, 266-5599)은 합성 보존료를 첨가하지 않았고 연근해산 어육살(조기, 갈치)을 50%이상 함유하였으며 깨끗하고 안전한 미강유(쌀겨로써 만든 식용유로 비타민 E가 많다고 알려져 있음)로 튀겨 위생적인 탈유기와 냉각기에서 처리하였다고 한다.
- ( 이하 줄임 )
-- 2007. 11. 15(목), 조선일보, 권경훈 기자 --
-- 2007. 11. 17(일), 벡스코 --
.
등록 : 2016. 1. 11(월)
전북도청 (지사 : 송하진) - 소통민원 - 자유 발언대, 나도 한마디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민원, 참여, 소통 - 시민 게시판
.................................................................................................................
-- 2016. 1. 27(수)/ 1. 30(토)/ 1. 31(일) --
등록 : 2016. 1. 27(수)/ 1. 30(토)/ 1. 31(일)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충남도청(지사 : 안희정) - 충남넷 - 일반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