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안철수 의원님의 ‘ 광야에 죽어도 (?) 좋다 ’
요즈음 한국의 정치에서 사용하는 ‘ 광야’ 라면 정치적으로 야당이 많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는
1. 주인의식이 없다 (- 노태우 대통령)
2. 국민들의 대통령에 대한 투표율이 아주 저조하다.
( 본인이 십여년 전 국민들이 투표율이 너무 낮다며 선거에서 국민들이 투표하도록 독려해야 한다고 하니 ‘ 자유 선거’ 라는 말이 나왔다. 글쎄 ! )
현재 헌법 제 67조에는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선거 (1인 1표),
평등선거 (남녀 평등),
직접선거 (대리 선거 불가),
비밀선거 등에 의해 선출한다. (즉 자유 선거란 없다. )
의 의미와 같다.
노태우씨가 대통령이 될 당시가 여소 야대의 정국, 역시 광야였다. 그리고 장기 집권의 정부를 이어 받은 정부가 운영하기 어려운 것은 이 때문이다 (예 : 전두환 정부)
공직자들과 제안자는 이에 대해서는 산증인에 속한다. 제안자는 선거에서 기권을 잘 않는다. 그리고 우리 인류사에서 살펴보면 여성이 투표권을 남성과 같이 동등하게 취득한 것은 그렇게 쉽지 않았었다.
참고로
제 69조 : 대통령 취임 선서
..........................
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며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국민의 자유와 복리의 증진 및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며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
.............................
일제 치하에서 일본에서 공부를 하고 같이 공부를 한 어느 유부남을 사랑한 일제 강점기 및 해방전후의 여성 선각자 윤심덕씨의 노래, ‘ 사의 찬미’ 를 다시 올려 본다.
일제치하 일본의 압제는 해방 전에 가장 심해서 소설가 이광수씨, 김활란 박사(여성 - 이화여대 총장 역임, 독신여성) 등 지식인들이 (공개적으로) 변절 (발언 )했다, 즉 항일 독립에 동조하지 않는 발언을 했다.
4,5년전 대학 주위에서는 ‘ 다람쥐 채바퀴 돈다 ’ 는 말이 나왔다.
사(死)의 찬미
♬ ♬
광막한 ‘ 광야’ 를 달리는 인생아 !
너는 무엇을 찾으러 왔는가 ?
이래도 한평생, 저래도 한세상
돈도 명예도 사랑도 다 싫다 !
♬ ♬
-- 2016. 3. 7(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