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연세우유, 중국시장 공략, 우유 한류 이끈다 외

작성자
안 * * *


- 본인이 1980년대 가정학을 공부할 때 어느 여교수는 “ 좋은 김은 일본에 수출한다 ” 는 말을 했다. 그리고 또 다른 어느 여교수는 한국민은 “ 여행을 하려면 세계여행을 해야 한다” 고 하였다. 당시 이 말이 납득이 쉽지를 않아서 아직도 나의 뇌리에 남아 있는데 그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제야 짐작이 간다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지방행정 주사(6급), 안정은(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연세우유, 1급A 흰 우유로 중국시장 공략, 우유 한류 이끈다.


학교법인 연세대학교(이사장 : 김석수)에서는 ‘연세우유’ 를 생산해 왔다.
철저한 위생관리와 앞선 유통 시스템 등으로 꾸준히 연세우유를 생산해 왔는데 근년 한국의 흰우유를 선호하는(=한류) 중국엄마들의 뜻에 부응해서 2016년 5월 17일, 아시아 최대 유제품 생산기업인 중국 내몽고이리실업그룹과 10년간 총 4,000억 규모의 장기 전략 계약을 체결해서 식품안전국으로서의 한국의 면모를 보여줄 수 있을 듯하다.
‘연세우유’ 는 1962년 학교법인 연세대학교가 설립한 유가공업체로서 그동안 한국 우유의 자존심을 지켜왔다. 전국에 100여 곳의 전용목장을 가지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교수진으로 구성된 식품과학위원회를 중심으로 ‘ 건강한 우유’ 를 만들기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운영은 학교법인이 직접 맡고 있으며 수익금 전액은 교육재원으로 환원해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 2016. 5. 25(수), 조선일보, Biz & Market, 김시원 기자 --

등록 : 2016. 6. 3(금)
보건복지부(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서울시청(시장 : 박원순) - 자유 게시판 (※) : 등록불가
강원도청(지사 : 최문순) - 자유 게시판 (※)
제주도청 (지사 : 원희룡) - 자유 게시판 외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학교 단체급식소에서는 공영 농산물도매시장의 참기름과 들기름을 사용해야


근년 참깨는 중국에서 생산해서 잡티를 없애고 한번쯤 가볍게 씻어서 판매하는 듯했다 ( 예전에는 중국산의 참깨에 티가 포함되어 판매가 되었다)
그리해도 가정에서 깨소금으로 사용할 때는 두번정도 더 헹궈 볶아야 한다.
참깨도 씨앗식물이라 속에 기름성분이 많아 잘못하면(겉으로는 타서 검지 않아도) 속이 먼저 타므로 볶은 깨를 빻아서 타서 검지 않도록 볶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며칠 전 중국을 여행한 우리 팀은 2016. 5. 25일 마지막 날, 중국 장가계에서 연변산의 농산물을 판매하는 곳에 들러 나는 참깨 1봉(5Kg, 한화 38,000원)를 사왔다. 2012년 상해에서 사 온 참깨(5Kg)가 아직 김치냉장고에 많이 남아 있고 이를 잘 먹고 있어서 선물용으로 1봉 샀던 것이다(농산물의 수입은관세청에서 면세품). 이전 티가 섞인 참깨 한봉은 25,000원 ∼30,000원이었다. 제안자가 백두산 여행차 연변에 갔을 때였다. 제안자는 이후 몇차례 농산물유통공사(사장 : 김재수)는 이 중국깨를 각시도의 농산물도매시장에 들이고 각시도에서는 시도민들이 이 참기름과 들기름을 사서 먹도록 제안자로서 권한 바 있었다(당시 : 이명박 정부, 김재수 사장 ).
그리고 이후 각급 학교의 단체급식소에서는 어묵 등 튀긴 식품은 식재료로 사용치 말고 참기름과 들기름은 공영의 농산물도매시장의 것을 이용토록 했는데(2011년 부산대학교 기숙사 구내식당에 영양사 현장실습을 마치면서도 이 사항을 제출했다. 당시 생활원 원장이 윤00 교수, 영양사는 김00씨 ) ..... 각급학교에서는 현재 얼마나 그리하고 있는지........ 학교 급식의 현 실태는 잘 알 수 없으나 주위 병원의 간호사나 영영사가 설탕과 소금이 든 요플레(요구르트와 비슷한 유제품)를 병문안을 간 가족들에게 요구하고 튀긴 어묵국을 노인 요양병원(이사장 : 김대봉씨 - 이전 산부인과 의사)에서 내어 놓는 것을 보니 학교 단체급식소인들 별로 다르지 않을 것이다.

집안에서도 살림살이를 해야 할 주부가 맨날 바깥 나들이나 다니면 집구석이 바로 될 리가 있나 ?
그리고 제안자가 일주일 전쯤, 본인을 식품안전의 과도기에 만일 식품안전처장으로 임명장을 주려면 대통령은 본인에게 사전 단체급식소의 영양사들로부터 처장의 ‘영양지도’ 를 수렴하겠다는 각서를 미리 받고서야 임명장을 받겠다고 했다. 그것은 제안자가 수차례 정부조직에서 식품안전처를 우선 분리해 줄 것을 요구해 왔기 때문이다. 말만으로 국민들을 위한다고 그것이 가능한 것인가 ? 선거에서의 표는 말로써도 얻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첨부(참고) : ♬ 참기름, 들기름 외

-- 2016. 6. 4(토) --

=========== 첨부 (참고 )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제목 : ♬ 참기름, 들기름 외


[ 제안 추진 내용 2009년 16 ]

수행도량에서 출가 승려가 참기름, 들기름 생산


2009. 5. 1(금)~5. 5(화), 부산 전시컨벤션센터(벡스코)에서 농수산물 희망 장터를 열었다. 금강정사에서 “복 참기름”과 “복 들기름”을 생산하여 전시하고 판매하였다.
이 참기름과 들기름은 수행도량 금강정사(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소재)에서 출가한 여승려인 비구니 스님들이 참기름과 들기름을 짠다고 한다.
깨를 깨끗하게 씻고 또 정성을 들여서 짜며 기름을 짜는 압착기계를 수행도량에 직접 들여놓고서 짠다.
참기름의 깨는 중국 수입산의 깨로써 짜며 들기름의 깨는 국산이다. 수입산의 참기름을 짤 깨는 중국 조선족이 경작하는 깨를 우선으로 쓰겠다고 한다.
0. 복 참기름 350㎖ 8,000원
0. 복 들기름 350㎖ 13,000원
0. 볶은 깨 250g 4,000원
- 주문전화 : 금강정사, 054) 261-9761

-- 2009. 5. 4(월), 부산 전시컨벤션센터 “농수산물 희망장터” --
.
.
.
[ 제안 추진 내용 2009년 16-1 ]

참기름, 들기름, 참깨

부산 반여 농산물 도매시장은 부산광역시 공영(公營)도매시장이다.
이전 그린벨트지역에서 건립하여 2,000년 12월 개장하였다.
부지가 151,642제곱미터(약 46,000평), 사업비가 876억원 (국비 299, 시비 74, 농안기금 503),
지상과 지하에 1,395면(지상 1,129면, 지하 266면)의 주차장과 서비스동을 갖추고 있으며 농협도 들어와 있다.
도매시장 내에는 관리사업소가 있어 소장을 합쳐 22명의 직원이 근무하며 농산물검사소 반여지소(부산보건환경연구원 소속)에는 현재 9명의 직원이 근무한다.

도매시장 양념동에서는 고추, 마늘, 생강, 참기름, 들기름을 팔고 있다. 참기름과 들기름은 참깨와 들깨로써 여기서 직접 압착한 기름이다.

1. 반여 농산물 도매시장 양념동

가. 판매가격 ( 5만원 이상 구매 시에는 택배비 면제 )

- 참기름 350㎖ (유리병) : 8,000 원 (중국산)
- 참기름 1.8ℓ (패트병) : 35,000원 (중국산)
- 들기름 350㎖ (유리병) : 12,000원 (한국산)
- 볶은 통참깨 1 kg (비닐) : 10,000원 (중국산)


나. 생산자 및 주문전화 ( 상호 )
- 김정태 : 051, 666 - 5373 ( 우정 농산 )
- 조성권 : 051, 666 - 6674 ( 영진 상회 )
- 곽종택 : 051, 666 - 6673 ( 대일 상회 )

※ 주문 접수 시간 : 07:00 ~ 오후 6시까지, 일요일은 쉼

2. 반여 농산물 도매시장, 관리 사업소, 관리팀 : 051, 550 - 8211

-- 2010. 4. 4~4. 6, 반여 농산물 도매시장 양념동, 반여농산물 도매시장 관리사업소, 해운대구청 위생관리계 --
.
.
☆ 1
상기 압착 식용유 생산자 곽종택씨 (대일상회 / 051, 666 - 6673 )는
중국산의 들깨로써 들기름을 압착하여 생산하고 있다.
들기름 가격은 7,000원 (- 2014년 10월 현재 )
*
*
*
[ 제안 추진 내용 2008년 64 ]

대한민국 축제 박람회

2008. 6. 20 ~24일, 5일간 부산 전시컨벤션센터(벡스코)에서
‘대한민국 축제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주최는 대한민국 축제 박람회 조직위원회이다. 입장료는 성인 4,000원.
이번 행사에서는 초.중.고 학생들과 장애인은 무료 입장으로 당일이 21일, 토요일이라 그랬음인지 많은 학생들이 줄을 서서 개장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중간 생략 )

충북 보은 황토 대추, 참기름과 들기름, 고추씨 기름을 생산하는 “보은 전통식품” ( 김인각 / 충북 보은군 산외면 산대리, 043, 542 -1460 ).
보은전통식품은 우체국의 ‘우편 주문 상품’으로 거래되고 있는 식품이다. 거래 가격은 우송료가 포함된 가격이다.

o. 큰병( 330ml) 참기름1병 + 들기름 1병+고추씨 기름 1병= 26,000원,
o. 작은병(160ml) 참기름1병 + 들기름 1병+고추씨 기름 1병 = 15,000원,
o. 참기름 큰병 2개= 30.000원,
o. 참기름 큰병 2개 + 들기름 큰병 1개= 35,500원이다. (2008. 6. 21현재)
(이하 생략 )

-- 2008. 6. 21(토), 부산 벡스코 --
.
.

☆ 2

- ( 내용 모두 줄임) -
================================================

등록 : 2016. 6. 4(토)
보건복지부(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서울시청(시장 : 박원순) - 자유 게시판
강원도청(지사 : 최문순) - 자유 게시판
제주도청 (지사 : 원희룡) - 자유 게시판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