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구청장 : 윤석천 )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부 제안 추진 내용 나 9-3 ( 2003년)
친환경 농산물, 정부서 인증 마크
친환경 농산물 중의 하나인 ‘유기 농산물’임을 인증받으려면
3년 이상 유기농을 해야 하며 유기농을 한 3년째의 해부터 유기농 제품이라는 표시를 할 수 있다.
1년이 지났을 때부터는 ‘전환기 유기농 제품’이라고 표시한다.
유기농에도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국가가 품질을 인증한 제품이고 다른 하나는 영농 조합 등에서 국가에 신고를 한 제품이다.
포장지에는 모두 ‘유기농’이라고 표시되었어도 이 둘간의 차이는
크다.
국가에서 품질을 인증받은 제품은
복잡한 심사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지만, 신고 제품은
생산자의 양심을 믿을 수밖에 없다.
이는 정부가 친환경 농법을 육성하기 위하여 한시적으로 만든
제도에 따른 것이며 2003년 6월 말에는 모든 친환경 농산물이
인증 제품으로 바뀌게 된다.
현재로서 이 두가지의 차이는 친환경 마크와 함께 인증번호가 함께 쓰여진 게 정부가 보증한 제품이고, 신고한 제품은 마크가 없다고 보면 된다.
한편 유기농산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잎사귀가 지나치게 큰 작물은 퇴비가, 일반 농산물의 경우 화학 비료가 과다 사용된 것으로 보면 된다.
-- 2003. 3. 19 국제신문 --
* * * * * * * * * * * * * * * * * * * *
정부 제안 추진 내용 2007년 1 )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 개선
2007년 3월 28일부터 현재 4종류인 친환경 농산물 인증 종류가 유기농 농산물, 무농약 농산물, 저농약 농산물 등 3가지로 간소화된다.
축산물의 경우는 무항생제 축산물이라는 인증 종류가 신설된다.
-- 2007. 1. 2 (화), 서울신문, 올해 달라지는 것들--
* * * * * * * * * * * * * * * * * * * * * *
제안 추진 내용 2010년 8) ※ 2007년 1
♬ 거창 사과
경남 거창(군수 : 양동인)은 지대가 높고 산에는 나무도 많아 여름에도 시원하며 공기도 청정하다.
과거 이곳에서 양민학살이 있었다고 그럼인지 진입로에는 거창의 상징을 사과로 하여 붉은 사과를 거창과 함께 그려 놓았다.
또 이 청정지역에서는 사과를 주요 품목으로 생산한다. 사과를 생산하는 농가는 1,745 곳이다. 친환경의 저농약 사과(인증)를 생산하여 판매한다.
2009년 11월부터 저온 저장고(500평)를 사용하고 있으며 거창군을 포함한 3개군에서 지원을 하였다고 한다.
0. 서북부 농산물 거점 유통센타 : 055, 945 - 3204
1. 홍로 ( 8월, 9월에 거두어 들임 )
- 14개 ~ 16개입 상자 23,000원 ~25,000원
- 17개 ~ 20개입 상자 20,000원 ~23,000원
2. 후지 (= 부사 : 초겨울에 거두어 들임)
- 14개 ~ 16개입 상자 23,000원 ~25,000원
- 17개 ~ 20개입 상자 20,000원 ~23,000원
※ 택배비는 5kg 에 3,000원 별도 부담하여야 한다.
거창에는 ‘자연 휴양림’이 있다. 피서철이 되면 외지의 사람들이 많이 찾아 온다. 휴양림은 면(위천면)에서 운영하며 수도와 화장실이 곳곳에 있고 주차공간도 제법 마련되어 있다. 입장료를 받으며 사람과 차 모두 유료이다. 계곡의 물도 맑고 차다.
취사지역이 있어 며칠간 쉬어 갈 수 있다. 자연 휴양림으로 오르는 길이 넓고 일방통행이라 새벽에는 조깅이나 산책로로써도 만점.
피서철에 산(山)아래에서는 연극제를 개최하고 산속에서도 무대가 있어 그 즈음이면 군수, 면장이 피서객들에게 인사를 하러 온다.
경남도에는 2개의 도립대학이 있다. 거창대학과 남해대학이 그것인데 거창에는 거창대학이 있으며 2년 전문과정이고 여기에는 평생교육원이 있다.
-- 2010. 3. 9(화), 거창군청, 농업기술센터 --
-- www. geochang. go. kr (거창군청) --
-- 2007. 8. 1~ 8. 5, 거창 자연 휴양림(여름 가족캠핑) --
* * * * * * * * * * * * * * * * * *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제안 추진 내용 2010년 14 )
부산 강서 대저 토마토
강서구는 경상남도에서 1989년 부산시에 편입되었다.
강서구의 위치는 부산에서 낙동강을 건너 경남과 닿은 구역으로 낙동강과 남해바다가 만나서 이루어진 삼각주의 위치로 물이 흔해 토마토와 꽃들을 많이 생산해 낸다.
강서구청(구청장 : 강인길)에서는 해마다 대저토마토 축제를 개최하여 왔는데 축제 때마다 1,500만원 ~1,900만원의 예산지원을 해 왔다고 한다.
토마토는 수박과 함께 수분함량이 많아 포만감을 주는 식품이다.
대저 토마토는 키울 때 받침대를 세워야 하므로 정성이 들고 여름철에는 벼농사를 하고 추운계절, 쉬는 땅에 비닐하우스에서 키워내므로 연료비가 있어서 가격이 다소 높다고 한다. 그리하여 토마토의 출하도 2월, 3월, 4월, 5월에 걸쳐 대부분 이루어진다고 한다.
토마토는 채소와 가까운 과일이라고 하여 웰빙식품으로 인정되어 왔다. 대저토마토는 같은 분량( 5kg, 1상자)이라도 생산자가 생산해 내는 토마토의 맛에 따라 또 친환경여부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이날 축제에 방문한 사람들에게 내어놓은 토마토 1상자는 모두 25,000원선. 친환경 토마토가 사람들에게 먼저 판매되었다.
토마토를 생산해 내는 농가는 400여 농가이며 이 중 친환경 토마토를 생산해 내는 농가는 30여 농가라고 한다.
이날 오후 축제장의 한편에서는 강서구 관내 학생 장학금 마련을 위한 부추전 판매 행사를 하였다. 부추전 1접시는 2,000원.
대저토마토는 토마토가 자라는 땅에서의 해수(海水)의 영향 때문인지 “짭짤이 토마토”라고 불리어지고 실제 그 맛이 싱겁지 않다고 한다.
0. 친환경 토마토
- 생산자 : 배윤택 /부산 강서구 대저동
- 저농약 농산물 인증 : 02-00-4-24호(국립 농산물 품질관리원)
- 소비자가(특품) : 35,000원 (택배비 무료) - 특, 상, 보통
- 주문 전화 : 070 - 7796 - 56**
0. 대저 토마토 구입 문의 : 대저농협, 080-3000-1**
등구 엽채 영농(營農) 조합법인( 051, 973-5553, 강서구 대저2동 1311) 에서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인증받은 친환경 엽채를 생산하여 판매한다. (무농약 인증번호 02-00-3-08)
품목은 불상추(적상추), 쑥갓, 열무, 들깻잎, 치커리, 오이 등이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0 품목 및 판매가
- 불상추 : 200g, 2,000원 (무농약 인증번호 02-00-3-08)
0. 친환경 채소 연구회 ......... (생산자 실명제 - 개인 )
- 오이 : 2개, 2,000원 (무농약 인증번호 02-00-3-04)
- 생산자 : 이우성 (부산 강서구 강동동 3811 )
-- 2010. 4. 3(토), 강서 대저 토마토 축제 (강서 체육공원)
강서구청 농산과 김동수, 대저농협 유통센터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제안서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제4장 2, 대체식품 및 기타식품 / 다. 쌀 등 농산물과 채소류, 과일 180쪽∼181쪽(친환경 재배법).
.
.
등 록 : 2010. 4. 22일
부산시청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