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과자를 만드는 업종은 그만 두면 안되나 ?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불안한 먹을거리 수출하면 보복 당한다.
제 목 : 과자를 만드는 업종은 그만 두면 안되나 ?


롯데 부회장 이인원씨(61세)가 자살했다고 ?
이인원 부회장은 현 신동빈 회장의 최측근이며 롯데를 위해서 20년간 일해왔다고 한다. 그리되면 김영삼 정부 때부터이고 김영삼 대통령과 롯데의 집안은 사돈지간이다.
상기 유명인들의 죽음은 ‘생물학적인 죽음’ 이 아니고 ‘ 사회적인 죽음’ 이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식품안전의 과도기에 한국산의 과자류에 흔하게 첨가되는 소금, 기름성분, 설탕이 어떠한 사유로던 불안했는데 과자를 만드는 기업들은 이를 뻔히 알고도 국내에서 그 과자를 판매하고 또 외국에도 수출을 계속했다. 그리하면 국내인들은 그런 과자를 먹지 않으면 된다지만 외국인들은 그렇지 아니한 것이다.
한국은 글로벌 국가라서 와국인들은 한국을 신임하고 그래서 과자를 먹고 계속적으로 이상이 있으면 그 상대국은 한국에 보복한다. 인도에서 생산하는 카레가루가 그 예이다. 당시가 2015년 7,8월 경이었다.
과자를 만드는 대표적인 기업이 롯데이다. 전두환 정부에서는 당시 공공기관청에 일본산의 롯데 복사기를 수입해서 곳곳에서 사용을 했는데 본인은 이것을 이상하게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롯데 회장(신격호씨)의 전부인이 노씨라서 그리했는가 보았다. (두 전직 대통령인 전두환씨와 노태우씨는 ‘ 정치적인 동지’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다 )
제안자는 과자를 먹으면서 자란 시대가 아니다. 두 전직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세인 들 중에서는 ‘ 전쟁 중에는 과자가 식량’ 이라는 말도 있었지만 이렇게 첨가물(소금, 설탕, 정제된 식용유)이 불안한 한국에서 롯데 등 과자 회사는 과자 및 라면 만드는 장사는 좀 접으면 안되나 ?
식자층에서 아이들에게 과자를 먹지 말라고 하지 말고 과자 바구니를 없애라고 한 것이 1999년경으로 제안서를 제출한 그해였다.
제안자 주위의 어느 젊은 신씨의 처(정다운씨)가 ‘ 고도 비만’ 이여서........그 젊은이와 처에게 무슨 잘못이 있나? 현대가는 정씨이고 자동차는 만들어도 과자장사는 안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옛 부산시청의 자리를 롯데에다 팔았고 또 그 이전 옛 부산상업고교(공립)의 자리였던 도심에서의 금싸라기의 땅에는 롯데호텔이 들어왔다. 노무현 대통령이 부산상업고교 출신이다.
한국은 민주공화국이지 자본가들의 공화국은 아닌 것이다.

-- 2016. 8. 27(토) --

등록 : 2016. 8. 27(토)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