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들의 가계부채를 제외한
정부와 공기업의 부채가 지난해 1년 사이에 6. 5%가 증가되어
957조원에 이르렀다. (기획재정부 발표)
국민 총생산(GDP)의 64.5% 수준이고 국민 1인당 1천858만원씩 빚을
떠 안은 꼴이다. 올해도 공공부채는 계속 늘어나 지금쯤 1,000조원 근처까지 불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부채는 1,200조원 육박해 가계부채까지 합치면 이미 2,100조원을 넘어서 나라전체가 빚더미에 갇힌 형국이 되었다.
- 2015. 12. 26(토), 조선일보 A27면, 사설(社說)
.
.
.
글쓴이 : 안정은 ( 제안자 )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년 10월 20일, 김대중 정부)
제안자 : (소속 및 직성명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목 : ♬ 가계부를 씁시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소비자가 왕이고 소비가 미덕이다.
그러나 가계에서 빚을 가지고 사는 사람이 왕이 되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경제권을 여성이 가지고 있다. - 여성이 가정의 전체 경제권을 가지고 있던 일부(생계비)를 가지고 있던 - 가정살림을 하는데에는 여성이 경제권을 가지지 않고는 가정 살림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여성이 직장을 가지고 있다고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그 이유는 생활비에는 식비, 교육비 등의 필수 경비도 있지만 대부분 경조사비, 교제비 등의 문화비가 많이 차지한다.
장롱 가득 들어있던 옷을 수선해 입고 전기세, 수도세, 가스비도 매월 점검하고 아끼며 생활해야 한다. 저축왕은 돈을 쓰지 않아야 저축왕이 되는 것이다.
집이 없어도 자동차는 가질 수 있지만 빚으로 집을 사기를 나는 권하지 않는다.
빚쟁이가 되지 않으려면 가계부를 쓰자 ! 가계부를 쓰다보면 사소한 잇점이 많다. 이것도 나의 개똥철학(?)이다.
벌써 서점가에는 12월 여성 잡지가 다 나왔다. 12월 여성잡지에는 특별부록으로 가계부가 함께 나온다. 가계부에 따라서는 살림의 지혜, 요리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물론 광고도 있다.
나는 올해부터 * 양지사(대표 : 이**)에서 나온 전용 가계부(총 87쪽)를 쓰고 있다. 정해진 연도의 가계부가 아니므로 두권 함께 사서 두었다가 다음해에도 쓰도 된다. 사용하다 보면 하루쯤(30일 또는 31일 마지막 날)이 부족하면 앞으로 가서 쓰면 된다. 2010년 올해에는 5월달과 8월달이 앞으로 갔다.
특히 신용카드와 같이 사용하는 가계에도 편하게 되어 있다.
뒷면에는 영수증을 붙이는 공간이 별도로 있다. 중요한 영수증과 음식비와 관련되는 영수증을 꼭 붙여두자.
나이가 들고 건망증이 심해지면 책상 달력을 이용하자!
업무일지는 관공서 주변에 많다. 여성은 직장일과 가정의 대소사를 챙겨야 하는 일인다역( 一人多役)을 맡고 있다. 엄마와 아내, 직장인. 며느리 등등이다.
나의 경험에는 양지사(관공서의 업무일지 등을 만들어 온 회사)에서 나온 책상 달력(낱장으로 떨어져 있는 달력, A4 또는 그보다 큰 규격)이 가장 유용하였다. 자영업을 하는 사람은 사업장에서는 흑판을 이용하지만.....
돈을 무조건 쓰지 않아야 저축왕이 된다. 내 주위에는 휴대폰 안 가진 알부자도 있다.
철학자가 되려면 일기를 쓰고 빚지지 않으려면 가계부를 쓰자 !
그리고 가정 살림권을 가지 한국 여성들, 뜻 모우면 식품안전 실현된다.
.
.
등록 : 2010. 11. 26일 / 2012. 7. 5(목)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양지사(대표 : 이**)에서 나온 전용 가계부..............( 2016년 9. 5일 보충 기록 )
양지사 : 서울특별시 금천구 소재 (전화 : 02, 865 - 0041) / 판매처 (부산 중구 구덕로 ) : 모닝글로리 문구 (전화 : 051, 256 - 6000 ) 외
.
.
.
.
* * * * * * * *
글쓴이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기억 술
일년 12개월 중 어느 달이 크며 어느 달이 작은가 ?
[ 감별법 ]
0. 왼쪽손의 주먹을 쥐고
1) 왼쪽 손등에서 튀어 나온 부분은 큰달. ( ← 집게 손가락 방향에서)
2) 세끼 손가락 부분(튀어나온 부분)은 7월에 해당된다
- 이 세끼 손가락 부분은 한번 더 짚고 8월로 한다. 즉 7월과 8월은 모두 큰달이다. 맞습니까 ?
3) 그리고 다시 되돌아 나오면서 짚는다 ( 세끼 손가락쪽에서 → 방향 )
12월달이 큰달이다. 맞습니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