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국민건강증진법 제 17조 어디까지 왔나 ?

작성자
안 * * *


큰 제목 : 국민건강증진법 제 17조 어디까지 왔나 ?

...........................................................................................................................

참고 : 지역사회영양학, 구재옥, 박혜련, 손숙미 공저, 부록365쪽 : 국민건강증진법


[ 국민건강증진법 ]

제17조 (구강건강 사업의 계획수립, 시행 )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구강건강에 관한 사업의 계획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제18조 (구강 건강 사업)

1항,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의 구강질환의 예방과 구강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다음 각호의 사업을 행한다 (개정 : 2003. 7. 29일)

1. 구강건강에 관한 교육사업
2. 수돗물 불소 농도 조정 사업(시행일 : 2004. 3. 1)
3. 구강건강에 관한 조사, 연구 사업
4. 기타 구강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대통령이 정하는 사업

2항,상기 제1항 각호의 사업내용, 기준 및 방법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 1997. 12. 31일)

.......................................................................................................
.
.
.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제 목 : ♬ 소금 치약 사용


폐렴으로 입원하는 전직대통령의 소식이 신문에 들리어 온다.
식품은 변함이 없는데 목이 쉐하다 싶으면 치약에서 오는 것이 분명하다.
* 꿀은 목에 좋다고 한다.

13년 동안 치약없이 사는데도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 이(광주시 남구, 손영동 님)가 있어 소개한다.
특수 제조 소금 덕분이라고 한다.
물 300 ml 와 소금 5큰술, 여기에 꿀 작은 1술을 더한다. 이것으로 양치질을 하면 치아 건강에도 좋고 경제적이어서 좋다. ( 공무원 연금지 2013년 8월호, ‘ 나만이 아는 생활의 지혜’ 52쪽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꿀은 목에 좋다고 한다................

꿀은 한의가 한약을 환약(=둥근 알약)으로 지을 때 필요하다.
꿀 한병의 현싯가는
꿀을 모을 때 설탕이 들어가면 30,000원 (잡화 꿀, 아카시아 꿀 등),
설탕이 들어가지 않는 꿀은 60,000원이라고 한다.

0. 잡화꿀, ‘ 한 벌꿀 ’
- 양봉자조금관리위원회 (경남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 )
- 전화 : 055, 972 - 8031


-- 2013. 9. 6(금), 2013년 산청 세계전통의약엑스포 주제관 --
.
.
등록 : 2013. 10. 15(화)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허남식)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등록 : 2014. 1. 1(수)
보건복지부(장관 : 문형표) - 참여 - 자유 게시판
....................................
등록 : 2014. 9. 4(목)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 정승), 국민소통, 여론광장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 * * * * * * * * * * * * * * * * * * * *

< 택배비 포함 4개입 22,500원 : 2016. 9. 20일 현재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프로폴리스 아이련 치약
- 약국 판매용 -

0. 프로폴리스 아이련 치약

1. 없음 : 파라벤, 트리클로산, 불소, 인공향, 광물성 오일, 동물유래원료
2. 임산부와 어린이도 사용할 수 있다.
3. 항균, 소염, 항산화 기능을 가진 한방 추출물
- 프로폴리스(봉랍), 감초, 황기, 박하, 천궁, 당귀, 쑥, 소나무

4. 잇몸질환 예방, 구취제거, 충치예방, 치은염 및 치주염 예방, 치태 제거, 이를 희게 한다.
5. 특허 : 2013. 9. 9일 출원/ 2014. 4. 25일 등록 (특허청장, 김영민)
- 특허 부문 :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
- 특허번호 : 아이련 치약 제 10 - 1391545호 / 한방 추출물 특허 :
제 10 -1033306호
6. 전시장 현장 판매가 : 180g, 4개입에 15,000원


0. 생산자 : 주. 경방 (어수옥 / 충북 제천시 / 전화 : 043, 648-3777 )

※ 2014년 충북 제천시 한방 축제에 전시했으며 생산처인 주, 경방의 직원(김도현씨)는 2년 전부터 이 치약을 소비자로서 사용해 오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상증세가 없음 (관능검사 : 이상없음 )

※ 프로폴리스 란 ? : 벌이 꽃이나 나무에서 추출하는 수지상의 물질로 벌집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항균물질

--2016. 6. 22(수), 부산국제식품전(벡스코)을 다녀와서 --
.
등록 : 2016. 6. 23(목)
보건복지부(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
재등록 : 2016. 7. 11(월 )
보건복지부(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 2016. 8. 3일, 보충

...................................................................................
↓ ( 2016. 10. 4, 화요일 작성 )
....................................................................................

상기 프로폴리스 아이련 치약은 택배비 포함 4개입 22,500원 : 2016. 9. 20일 현재 ..................

치약의 용량 180g은 포장재를 합한 무게이다. 20g을 사용했는데 인후에 자극성이 있다. 2016. 9. 30일 현재 치약 무게가 160g이므로 20g을 사용한 셈이다. 어느 약국에서는 약국에서 파는 치약은 하루 두 번을 사용해야 한다고 했는데 제안자는 집에 있으면서 하루 3번을 사용해서 그러할까 ?
그러나 치약에서는 그런 문귀는 없다. 그런데 정작 치약을 사고 보니 주요 성분이 많다. 즉 인산수소칼슘수화물, 침강탄산칼슘, 아미노카프론산, 아란토인히드록시크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0. 제조자 : 주, 그린원일 (경남 함안군 칠서면 삼칠로 547 )

0. 기술 제공 및 연구개발 판매원 : 주, 경방 ( 충북 제천시 바이오밸리 2로 41 왕암동 충북 테크노파크 한방 사업관

0. 소비자 상담실 : 043, 648 -3777

※ 특허 출원일 : 2013. 9. 9일

........................................................
작성자 의견 (소비자 의견)
.........................................................

목에 자극성이 있다고 버리지 말고 하루에 한번(저녁식사 후) 사용하면 도움이 될 듯하나.........
구강건강을 위한 치약에서도 ‘미완성의 완성’ 이 요구된다.
그것이 바로 ‘ 유종의 美’ 라고요 ?

* * * * * * * * * * * * * * * * * * * * *

제목 : 기능성 치약 - 충치 예방용 치약


0. 상품명 : 페리오 (의약외품)
0. 제조사 : 엘지 생활건강 (충북 청주시 흥덕구)
0. 충치 치료 : 활성 불소 (치태 제거/ 치은염 예방 / 충치 예방)
0. 고객 상담실 : 080-023-7007

※ 충치 예방용의 기능성 치약이므로 상용하면 인후에 자극이 된다. 치약의 양이 적은 상기 치약(즉 50g )은 GS, CU 등 편의점에서 구할 수 있다.

-- 2016. 10. 6(목 ), 페리오 50g --
.
.
※ 제안서 114쪽 ∼115쪽
1977년경 (박정희 정부, 영부인 1974년 사망), 오른쪽 어금니 및 왼쪽 어금니에 충치가 왔다. 음식은 달라진 것도 없는데 어금니 곳곳이 까뭇까뭇해져 왔다. 나의 고등학교 후배인 한 동료 여직원한테 이상하여 이야기하니 그녀가 근무하는 동사무소 앞에 유능한 치과의사(서울대 치대 졸업 ? - 최00씨 )가 있다고 하였다. 의료장비도 최신의 장비였고 젊은 의사였다. - (중간 줄임) - 치료를 받으면서 나는 의사에게 물었다.
“ 칫솔질을 열심히 하는데도 왜 이에 충치가 옵니까 ? ” 하고 물은 즉,
“ 양치질만 열심히 한다고 충치가 오지 않는 것이 아니오 ” 라고 퉁명스럽게 대답하였다. 나는 그때 그 의사의 솔직하면서도 의외의 답변에서 더 이상의 질문을 할 수 없는 진실함을 느꼈기 때문에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겨 놓았다.
-- 2016. 10. 10(월) 기록 --

**
*
*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 민들레즙을 가그린으로 사용


제안자는 요즈음 시중의 치약이 불안해서 상기의 ‘소금 벌꿀 치약’ 을 애용하고 있다. 그리고 제안자는 부분 틀니를 가지고 있다. 이곳에는 칫솔질을 해도 칫솔모가 잘 들어가지를 않아 좀 심하게 칫솔질하면 잇몸이 헐기도 하고....
궁(窮)하면 방도( 方道 : method )가 생긴다더니........
그래서 삼일 전 양치를 한 후, 김치 냉장고에 있는 민들레즙(양구 민들레즙) 1봉을 떼어 입에 한참 물고 있다가 넘겼다. 1봉을 모두 머금고 있다가 먹으면 장내 유용한 세균을 혹시 죽일까 하여 그 2/3만 사용하고 일부는 냉장고에 남겨 두었다. 그런데 그런 후 3일이 지났음에도 이렇게 입안이 깔끔할 수가 !

첨부 : ♬ 민간 조약과 건강보조 식품

===== 첨 부 ========

[ 제안 추진 내용 , 2011년 2 ]

2010년 부산 국제 음식 박람회

벡스코(부산 전시컨벤션센터)에서는 2010. 11. 10~13일까지 2010년 부산국제 음식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주최는 부산광역시(시장 : 허남식), 부산국제음식박람회 조직위원회
( 위원장 : 신정택), 한국 음식업 중앙회 부산지회(지회장 : 서성철) 이다. 이 기간에는 부산 국제 수산 무역 엑스포도 개최되었다.

-- ( 중간 줄 임 ) -

0. 민들레즙, 경 민들레 : 051, 317 - 4410,

민간의 조약인 민들레즙이 나왔다. ( ※ 2010년 30 )
벡스코 전시장에는 민들레즙이 많이 나와 있었다. 한국 산하(山河)에 토종 민들레 종자가 없어지면 안 되므로 재배를 한다고 한다.
“경 민들레 ”( 김성민 /부산시 부산진구, 051, 317-4410 ) 에서는 재배한 토종 민들레를 전시장에 함께 전시하였는데 재배하여서인지 잎과 뿌리가 다소 굵었다. 경 민들레즙은 민들레와 대추만를 넣어서 짠즙인데도 맛이 순하였다.(특허 및 LIG 손해보험 1억원 가입)
또 한곳에서도 역시 *민들레(양구 토종 민들레)를 재배하여 민들레즙을 고체의 둥근환으로 만들어서 내어 놓았다.
인간에게 부스럼이 어찌 몸밖에만 있겠는가 ! 몸속에도 있을 수 있다.
우리의 전통식품 “약식동원”이 그것이다. 그래서 우리조상들은 산하에 약용의 식물들을 두어 왔던 것이다. 쑥과 민들레 등. 대표적인 것이 *삼(蔘)이다
( 그러나 이들 식물들을 너무 과하게 먹어서 몸에서 해독하는 간에 부담을 주면 역효과이다. 주위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민간 조약을 잘못 사용하여 돌아가신 어른도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한의사가 있는 것이다 )
- ( 중간 줄임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민들레(양구 토종 민들레 ).................. 제조원 : 천보 한방식품 (경기도 남양주시, 전화, 033, 482 - 96** )
- 성분 (국산) : 흰꽃 민들레 추출물 97% (강원도 양구산 ), 식물성 혼합 농축액 (고형분 60% 이상 : 인진쑥, 엉겅퀴, 대추) : 맑은 액체 즙
※ 삼성화재 1억원 생산물 배상 책임보험 가입

-- 2016. 5. 12(목), 안정은 기록 --
.
.



( 감식초와 소주)

막힌 구두를 사시사철 신는 남자들과 함께 살았음인지 내 발에는 무좀이 와서 잘 낫지를 않았다.
약국에서 산 약으로 부지런히 바르면 낫다가도 화장실 등 공동신발을 신으면 또 증세가 나타나는 것이었다.
그리하자 나의 일터 주위에서 식초와 소주를 섞어 발을 담구어 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어느 날, 감식초에 소주를 적당히 부어 발을 담그고 그 시간 동안에는 TV를 보았다. 이후 무좀이 없어졌다. 재발도 않았다. 무좀균의 뿌리를 뽑기 위하여 한달 후. 더 한번 그리하였다.
요즈음은 발을 씻은 후 발가락 사이의 물은 잘 닦아준다. 이후에는 화장실에 들어가기 위해 공동 신발을 간혹 신어도 무좀은 재발하지 않았다.
산성식품인 식초가 생선회에서 식초장으로 곁들여 나오는 경우의 원리와 같이 식초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
※ 「식품 저장 및 가공」안장우, 양철영, 심상국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서울), 2010년 85쪽

미생물은 생육에 가장 적합한 pH영역을 벗어나면 생육하기가 어려워지는데
특히 산성 (pH 값이 7이하)에서 현저하다.
일반적으로 곰팡이와 효모의 최적 pH는 약한 산성,
세균의 경우에는 최적 pH가 중성( pH 값이 7) 에서 알칼리성이다. 그러나 젖산균이나 초산균처럼 낮은 pH영역(= 산성 영역)에서 생육하는 세균도 있으며 육류, 생선, 패류, 우유, 두부 등 잠재적인 위해식품의 pH값은 4.6~ 7.0이다.

-- 2010. 11. 11(목), 부산 해운대 벡스코를 다녀와서 --
.

등록 : 2016. 5. 12(목)
보건복지부 ( 장관 : 정진엽 ) - 참여 - 자유 게시판
강원도청 (지사 : 최문순) - 자유 게시판
부산시청 ( 시장 : 서병수 )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
*
~~~~~~~~~

~~~~~~~~~
등록 : 2016. 10. 10(월)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충남도청 (지사 ; 안희정), 광주광역시청(시장 : 윤장현), 제주도청(지사 : 원희룡) - 자유 게시판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중국여행, 장가계를 갔다와서 (8 -2)


“ 칠흑같이 어두운 야반의 심산(深山 - 깊은산)”

상기의 글귀는 중국 무협소설인 ‘비룡’ 의 첫머리에 나오는 글귀이다.
한국어로 번역이 된 소설로 5.6권의 장편소설이지만 읽어도 재미가 있어
책을 들었다하면 중단없이 끝까지 읽어야 하는 무협소설이었다.

중국이
심산(深山)이며 기암절벽의 천문산 일대를 개발하여 근년부터 부산사람과
인천사람들이 많이 가는 곳으로 해외 여행상품으로는 ‘ 장가계’ 로 통한다.
부산에서는 요즘 부산(김해공항)과 장가계(허화공항)간의 비행기가 직항이 개설되어 장가계에는 많은 부산사람들이 다녀간다고 하고 실제 가보니 1/2은 부산사람, 그리고 남은 일부인은 인천사람, 대구사람, 중국인은 전체의 1/3쯤 되었다. (하나여행사 - 부산)

-- ( 중간 줄임) --


제안자는 호텔(봉황호텔 = 봉황주점= 피닉스 호텔 )의 편의점(= 初市)에서
치약 3개를 샀다. 개당 7,000원의 죽탄(竹炭) 흑아고 치약으로 성분이 한약 성분인 듯했으나 중국 글을 익히지 못해 알 수 없었다. 양치 후 입안이 상쾌했으나 이후 인후를 자극하는 성분이 있는지는 더 사용해 보아야 할 것이다. 기능은 미백효과도 있다고 표시되어있다. (※ 현 중국 총리, 리커창씨)

그리고 2016. 5. 23일, 우리 여행팀은
편백나무(나무에서 향이 나는 나무)로 만든 상품(여름 방석 등)을 대량 생산하는 곳과 죽(竹- 대나무)제품으로 직물 등을 생산하는 곳 등 2곳을 둘러보았는데 대나무로 만든 직물은 물빠짐이 좋아서 입마스크, 부엌행주, 여름 운전자 장갑 등으로 국내에서도 이미 판매하고 있는 제품들이다. 제안자는 이곳에서 가이드의 권유로 * ‘ 죽탄왕(竹炭王)’ 이란 치약을 3개 샀다(한화 개당 6,000원) 그리고 국내 전남 담양군(군수 : 최형식), 죽녹원에서는 대나무와 관련된 행사(해마다의 행사)를 개최해 온지 제법 되었고 제안자는 2015년 5월경 국내 여행사편으로 이곳을 다녀온 적(여행상품의 경유지)이 있었으나 당시 대강 둘러보았다.

-- ( 이하 줄임) --

-- 2016. 5. 26(목) / 5. 29(일), 6. 4(토) 내용 보충 --
__________________________
* ‘ 죽탄왕(竹炭王)’ ........... 함량 160 克의 치약으로 집에서 2/5를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 불편한 증상이 없다.( 2016년 10월 10일 현재까지 사용 중 ) 가이드(중국 조선족 가이드 : 천성복씨)의 권유로 산 것이다.
※ 장가계의 숙소였던 봉황호텔의 편의점에서 구입한 ‘ 죽탄 흑아고 ’ 치약은 사용한 후 목이 걸걸한 증상이 와서 세면기의 청소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6. 9. 29일 목요일 보충 기록)

가 ) 판매처 1곳
상기 죽탄왕 치약을 한국에서 팔겠다면 우선 각시도의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의 소재지에서 직수입해서 판매하도록 한다. 부산시에서는 부산시 동구에 소재한 상록회관에 공무원 연금관리공단이 있으니 그곳에서 미국산의 아이보리 비누와 상기 치약을 중국에서 직수입해서 판매하도록 한다.

나 ) 상기 부산에서 판매하기가 곤란하다면 전남 담양군 소재의 죽녹원에서 직수입해서 판매 할 수도 있다. 중국은 수년전부터 ‘ 동인당’ 이라는 한의원이 수도인 북경(=뻬이징), 상하이 등으로 뻗어 나가고 있는데 중국정부와 무관하지 않은 듯 했다.
상기 죽탄왕의 치약에는 한약 성분이 포함되는 듯하고 그로써 상기의 치약도 품질이 좋을 듯하며 실제 제안자도 2016년 5월 중국 장가계에 여행하면서 사서 가져와 현재까지 하루 2, 3회 사용하고 있는데 치약의 농도(무른 정도)도 적절하고 입안에서의 감촉도 좋으며 사용 후에도 이상증세가 없어서 품질을 상품(上品)으로 분류할 수 있다. 1개 6,000원이라면 가격으로 보아서도 품질이 상품이다. 그리고 치약은 가정에서 한묶음씩 사서 두고 사용해도 되므로 죽녹원에서 팔겠다면 택배로 받아 사용할 수 있는데 다만 이 치약을 판매할 죽녹원에서 치약의 품질을 계속 관리하고 이상이 있으면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 즉 죽녹원에서 치약이 직수입되면 치약에서 이상이 있는지 관능검사하고 이상이 없으면 판매를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죽녹원에서 가능할 것인지.........
제안자는 상기의 치약을 중국 장가계에서 당시 가이드(조선족 가이드 천성복씨)의 권유로 치약 3개를 사왔는데 상품 종류 및 번호는 XK 16-108 7595 / GB 8372 이다. (2016. 7. 12일 내용 보충 )
.
**
등록 : 2016. 5. 29일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2016. 5. 27일, 5. 28일, 내용 일부 보충
.............................
등록 : 2016. 6. 4(토)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전남 담양군청 (군수 : 최형식) - 자유 게시판
..........................
등록 : 2016. 7. 4(월)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충남도청, 광주광역시청, 인천시청, 제주도청 - 자유 게시판
.........................
재등록 : 2016. 7. 11(월)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등록 : 2016. 7. 12일(화)
전남 담양군청 (군수 : 최형식) - 담양군청에 바란다.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2016. 7. 12일, 10. 10일 내용 보충 / 2016. 8. 3(수) 내용 일부 삭제

**
*
*
*
[ 제목 : 중국여행, 장가계를 갔다와서 (8 -1) / 2016. 7. 12일, 전남 담양군청 (군수 : 최형식) - 담양군청에 바란다 ] 에서의 회신

...........................................................................................................................................
0. 답변일 : 2016. 7. 13일
0. 답변자 : 민원봉사과 채충기

0. 답변 내용

1. 우리군 군정발전을 위해 소중한 제안을 주신 점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 제안하신 수입물품(죽탄왕 치약)을 판매코자 하는 경우, 사업자(판매업자)가 직접 수입품 통관 관련 검사기관 등에 성분검사를 통한 승인 절차를 거쳐 판매 가능함을 알려 드리며, 수입물품에 대해서는 행정기관인 우리군에서는 직수입, 판매 등을 할 수 없음을 알려 드립니다.

3. 다시 한번 귀하의 제안에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과 행운이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끝.
.............................................................................................
.
.
재등록 : 2016. 7. 27(수)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하루 5건 이상 등록 불가 )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충남도청, 인천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제주도청, 경북도청 - 자유 게시판
.....................................
재등록 : 2016. 8. 3(수)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