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전국 공영 농산물 도매시장 현황

작성자
안 * * *

- 서병수 부산시장이 부산시 및 산하 구군청 4급이상의 부산시 공무원을 부산시 인재 개발원(=부산시 공무원 교육원) 모았다고 한다. 잘한 일이다. 4급이상이면 구청에서는 국장급이다. 북구청에서 만든 구포국수를 부산시의 동주민자치센터에서 팔 계획을 받아야 한다. 재래전통시장 지붕개량도 했는데 그것도 못하랴 ! / 학교의 기성회비는 현정부에서 합법화 되었다.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안전

제 목 : 학교급식지원센터에 어디에 두나 ?


김영삼정부에서 본격적으로 실시한 학교급식에서의 식재료의 공급이 생활협동조합과 연계하여 운영이 되었다. 정부식품으로 감식초가 나왔어도 기업체의 식초를 사용했고 점심 후 요구르트는 무료로 내어 놓았다. 식재료로 첨가물이 든 소세지도 사용하고 유탕처리식품인 어묵도 나왔으며 시중의 식초가 들어가는 마요네즈소스도 식재료로 사용했다.
이러한 학교에서의 식습관이 밖으로 연결되어 식품안전의 과도기에 학생들은
학교앞에서 유탕처리된 만두, 오뎅을 먹었다. 그리하여 학교 앞에서 다년간 노점상을 하던 어묵, 만두, 떡볶이를 팔던 여성(문00)에게 뇌종양이 오고 그리고 죽었다. (이명박 정부) 이전 생활보호대상자였다.
제안서 제출 후 각시도에는 공영의 농산물도매시장이 생겼다. 그곳에는 시도에서 파견한 보건환경연구원의 연구원들이 근무하고 있을 것이다.
각시도에서의 학교급식지원센터는 공영의 농산물도매시장에 두고
정부식품으로 생산하는 품목은 정부식품으로 우선 사용해야 한다. 즉 신안소금, 순창장류, 기장멸치액젓, 어간장, 오양 새우젓, 감식초, 조청, 꿀 등을 사용하고 시중에 나오는 올리고당류, 물엿, 마요네즈소스는 식재료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행정의 일관성이다.
흰우유는 선정에서 당해지방자치단체와 별도의 공급계약을 맺고 공급해야 한다. 단백질 식품 중에서도 우유와 계란은 민감한 식품이므로 그러하다.
마트에는 바나나로 페루산의 유기농 바나나가 나오고 있다. 간식으로 낼 수 있다. 점심시간에 제공하는 친환경의 과일류는 식후 디저트가 아니고 간식으로 양이 다소 충분해야 하고 칼이 달리 필요치 않은 과일류(바나나, 밀감, 수입 오렌지 등)로 제공하고 가져가서 퇴교 전 먹도록 해서 퇴교하는 길목에서 배가 고파서 불량식품을 사먹지 않도록 해야한다.
그리고 조리에서 식용유의 사용을 줄이고 수입의 올리버 식용유로 사용하고 참기름, 들기름, 참깨, 들깨도 공영 농산물도매시장에서 압착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제안자가 중국에 여행했을 때 어느 호텔에서는 밥, 배추김치, 간에 절인 계란, 익은 감자, 중국찐빵 등 단순 식품이 나왔는데 아침으로 부족하지 않았다.
여행은 먹기 위해 하는 여행은 아닌 것이다. 학생들도 공부하기 위해서 학교에 가므로 화려한 점심이 아니지만 배가 고파서는 안된다. 제안자가 학교 구내식당에서 고구마를 삶아서 내라는 이유이다. 요즈음 계란과 우유가 민감해서 간식이 못되면 과일류보다 구근식품이 보다 안정하므로 고구마를 삶아서 내어 놓으라는 것이다.
식품전문가들이 정제된 식용유를 금지시키면서 견과류(땅콩, 호두, 잣, 수입 아몬드)를 단백질과 지방분의 섭취로 권장하고 있지만 이 식품들이 유통기한이 지나고 곰팡이 등이 피면 발암물질로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학생들은 삼식을 잘 챙겨먹고 과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 제안자는 과자와 사탕을 먹지 않고 자랐다. 당시 과일은 제사, 명절에나 먹을 수 있는 과일이었다.
과일에 생리활성물질이 많아 항암식품이라 해도 수박, 진영단감, 밀감, 올해의 딸기, 홍삼, 유기농 계란, 유기농 우유에서도 먹은 후 입마름 증세가 있어서 제안자는 삼끼 외 간식은 잘 먹지 않고 있고 점심에 한번씩 끓여 먹던 구포국수도 냉장고에는 없으며 올 설 아래 부전시장에 가서 만들어진 떡국거리를 살려고 떡국에 소금의 성분이 표기되어 있지 않아 따져 물어보니 그걸 왜 묻느냐면서 당신한테는 떡국을 팔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참 한심한 노릇이었다. 부산진구청(구청장 : 하계열) 재래시장 현대화의 성적표이다.

참고 : 충남도정 제 770호(2017. 2. 15일), 7면, “ 보령, 예산 학교급식센터 개소 ”

-- 2017. 2. 13(월) --

등록 : 2017. 2. 13(월)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부제안 추진 내용 2005년 셋-3)

........................................................................................
전국 시도별 공영 농수산물 도매시장 (32곳)
.........................................................................................

서울특별시 (2곳)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 서울. 송파구 가락동)
강서 농산물도매시장 ( 서울. 강서구 외발산동 )

광주광역시 (2곳)
각화 농산물도매시장 ( 광주시 북구 각화동)
서부 농산물도매시장 ( 광주시 서구 매월동 )

대구광역시 (1곳)
북구 농수산물도매시장 ( 대구시 북구 농수산로)

대전광역시 (2곳)
오정동 농수산물도매시장 ( 대전시 대덕구 오정동)
노은동 농산물도매시장 (대전시 유성구 노은동 )

부산광역시 (2곳)
엄궁동 농산물도매시장 (부산시 사상구 화훼길 )
반여동 농산물도매시장 (부산시 해운대구 반여1동)

울산광역시 (1곳)
울산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울산시 남구 삼산동 )

인천광역시 (2곳)
구월동 농산물도매시장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삼산동 농산물도매시장 (인천시 부평구 삼산동)

강원도 (3곳)
춘천시 농산물도매시장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 )
강릉시 농산물도매시장 (강원도 강릉시 유산동 )
원주시 농산물도매시장 ( 강원도 원주시 단계동 )

경기도 (4곳)
수원시 농수산물도매시장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구리시 농수산물도매시장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안양시 농수산물도매시장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안산시 농수산물도매시장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

경상남도 (3곳)
창원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남 창원시 팔용동 )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남. 진주시 초전동)
마산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남 마산시 내서읍 중리 )

경상북도 (3곳)
안동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북 안동시 풍산읍 노리)
포항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학천리)
구미시 농산물도매시장 (경북 구미시 고아읍 문성리 )

전라남도 (1곳)
순천시 농산물도매시장 (전남 순천시 해룡면 월전리 )

전라북도 (3곳)
전주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 2가)
익산시 농수산물 도매시장 (전북 익산시 목천동 )
정읍시 농산물도매시장 (전북 정읍시 농소동 )

충청남도 (1곳)
천안시 농산물도매시장 ( 충남 천안시 신당동)

충청북도 (2곳)
청주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충북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
충주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충북 충주시 목행동)
-------------------
* 상기 현황은 2006. 1월 현재

-- 농림부, 유통정책과 -1113(2007. 3. 13)호에 의거 --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